• 제목/요약/키워드: super 해상도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2초

광각 영상을 위한 ELBP 분류기를 이용한 초해상도 기법과 CUDA 기반 가속화 (CUDA Acceleration of Super-Resolution Algorithm Using ELBP Classifier for Fisheye Images)

  • 최지훈;송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0호
    • /
    • pp.84-91
    • /
    • 2016
  • 최근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보안 시스템 등에서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광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보다 넓은 범위의 장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에 왜곡이 존재하고 특히 영상 외곽 부분은 초점이 맞지 않아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광각 영상에 대하여 초해상도 기법을 적용할 경우 영상 외곽에서의 블러 영향이 그대로 남아 있어 고해상도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고 아티팩트가 발생하는 등 결과적으로 초해상도 기법의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기 유사성 기반의 전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 외곽부에서의 화질 저하를 개선하고자 한다. 추가로 전체 알고리즘에 대하여 GPU 환경에서의 가속화를 수행하여 알고리즘의 가속성을 확인한다.

적응적 가중치 보간법과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효율적인 초해상도 기법 (Effective Image Super-Resolu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Weighted Interpolation and Discrete Wavelet Transform)

  • 임종명;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3호
    • /
    • pp.240-2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과 적응적 가중치 보간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초해상도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단일 영상에 적용되는 초해상도 기법들의 경우, 영상에서의 고주파 대역을 찾기 위하여 확률 기반의 방법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따라서 연산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처리시간 증가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고주파 대역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DWT와 적응적 가중치 보간법을 이용한다. 먼저 주어진 영상에 대하여 DWT를 수행하고, 생성된 고주파 부대역(sub-band)들을 적응적 가중치 보간법을 이용하여 입력 받은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고주파 부대역을 생성한다. 이 부대역들과 입력 받은 영상을 조합하여 이산 웨이블릿 역변환(Inverse DWT : IDWT)을 수행함으로써 고해상도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실험을 위하여 원본 영상($512{\times}512$)을 다운 샘플링하여 실험 영상($256{\times}256$)을 획득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보간법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보이며, 확률 기반의 기법들과 비슷한 성능을 갖지만 처리시간에서 많은 이득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arse-Neighbor 영상 표현 학습에 의한 초해상도 (Super Resolution by Learning Sparse-Neighbor Image Representation)

  • 엄경배;최영희;이종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946-2952
    • /
    • 2014
  • 표본 기반 초해상도(Super Resolution 이하 SR) 방법들 중 네이버 임베딩(Neighbor Embedding 이하 NE) 기법의 기본 원리는 지역적 선형 임베딩이라는 매니폴드 학습방법의 개념과 같다. 그러나, 네이버 임베딩은 국부 학습 데이터 집합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빈약한 일반화 능력으로 인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화 능력이 뛰어난 Support Vector Regression(이하 SVR)을 이용한 Sparse-Neighbor 영상 표현 학습 방법에 기반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저해상도 입력 영상이 주어지면 bicubic 보간법을 이용하여 확대된 영상을 얻고, 이 확대된 영상으로부터 패치를 얻은 후 저주파 패치인지 고주파 패치 인지를 판별한 후 각 영상 패치의 가중치를 얻은 후 두 개의 SVR을 훈련하였으며 훈련된 SVR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해당 화소 값을 예측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보간법 및 네이버 임베딩 기법 등에 비해 정량적인 척도 및 시각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시차의 신뢰도를 이용한 플렌옵틱 영상의 초고해상도 복원 방법 (Super-resolution Reconstruction Method for Plenoptic Images based on Reliability of Disparity)

  • 정민창;김송란;강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25-43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시차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플렌옵틱 영상의 초고해상도 복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플렌옵틱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생성한 서브어퍼처(sub-aperture) 이미지는 TV_L1알고리즘에 기반한 시차 추정과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에 활용된다. 특히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차가 부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경계 역역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시차 벡터의 신뢰도는 서브어퍼처 이미지의 상하좌우 각 위치별 영역에 따른 분산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신뢰도가 낮은 시차벡터는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시 제외된다. 제안된 방법은 바이큐빅 보간 방법과 기존의 시차기반방법 그리고 사전기반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성능 평가에서 초고해상도 영상복원의 결과는 PSNR, SSIM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하여 최상의 성능을 보여준다.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Super Resolution Reconstruction Using Stochastic Approach)

  • 박재민;권혁종;김병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263-266
    • /
    • 2005
  • 고해상도 영상은 원격탐사, 의료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향후에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초해상도 영상복원은 동일한 지역을 촬영한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으로 복원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이며, 공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의 초해상도 영상복원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영역에서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CCD 영상의 초해상도 영상복원을 수행하였다.

  • PDF

다층 선형 매핑 기반 단일영상 초해상화를 위한 강화 예측법 (Enhanced Prediction for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Using Multi-Layer Linear Mappings)

  • 최재석;김문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7-118
    • /
    • 2016
  • 최근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가 가정에 보급이 많이 되고 있는 추세지만, UHD급 콘텐츠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해상도 FHD(full high definition)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변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초해상화(super-resolution, SR) 기술의 필요성이 커졌다. 그 중, 다층의 레이어로 구성된 다층 선형 매핑(multi-layer linear mappings, MLLM)을 기반으로 하는 제안된 초해상화 기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복잡도로 좋은 품질의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강화 예측법을 추가하여 복원된 고해상도 영상의 품질을 더 향상시키는 기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제안했었던 MLLM 기법을 위한 강화 예측법 기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제안하는 초해상화 기법은 기존 MLLM 기법과 딥러닝 기반 초해상화 기법보다 높은 품질의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개선된 네이버 임베딩에 의한 초해상도 기법 (Super Resolution Technique Through Improved Neighbor Embedding)

  • 엄경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37-743
    • /
    • 2014
  • 단일 영상 초해상도 기법에는 보간 기반 방법과 표본 기반 방법 등이 있다. 보간 기반 방법들은 간결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 방법들은 선지식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톱니 모양의 윤곽선을 가진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표본 기반 초해상도 기법에서는 최근방 기반 알고리즘들이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다. 그들 중, 네이버 임베딩은 지역적 선형 임베딩이라는 매니폴드 학습 방법의 개념과 같다. 그러나, 네이버 임베딩은 국부 학습 데이터 집합의 크기가 너무 작은데에 따른 빈약한 일반화 능력으로 인하여, 시각적으로나 정량적인 척도에 의해 취약한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네이버 임베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저해상도 입력 영상이 주어지면 고해상도 버전의 화소 값들은 개선된 네이버 임베딩 알고리즘에 의해 구해진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바이큐빅 보간법이나 네이버 임베딩에 비해 정량적인 척도 및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재가중치 ℓ1-최소화를 통한 밀리미터파(W밴드) 전방 관측 초해상도 레이다 영상 기법 (Millimeter-Wave(W-Band) Forward-Looking Super-Resolution Radar Imaging via Reweighted ℓ1-Minimization)

  • 이혁중;전주환;송성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636-645
    • /
    • 2017
  • 실 개구(real-aperture)를 사용하는 스캐닝 레이다(scanning radar)는 지상을 감시하거나 재난 구조를 하는 등 폭 넓게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스캐닝 레이다의 특성상 거리 방향의 분해능은 송신하는 신호의 대역폭에 의해 제한되며, 거리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분해능은 빔 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해상도(super-resolution) 레이다 영상 기법을 제안한다. 산란체가 스캔 영역에 드문드문 존재한다면 반사율의 분포를 sparse 신호로 간주할 수 있게 되고, '압축 감지(compressive sensing)' 문제로 수식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가중치 ${\ell}_1$-최소화'를 통해 2차원 레이다 이미지를 얻는다. 모의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으로 얻은 이미지와 더불어 기존에 널리 쓰이는 Orthogonal Matching Pursuit(OMP), 합성 개구 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 : SAR)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다중 스케일 얼굴 영역 딕셔너리의 적대적 증류를 이용한 얼굴 초해상화 (Face Super-Resolution using Adversarial Distillation of Multi-Scale Facial Region Dictionary)

  • 조병호;박인규;홍성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608-620
    • /
    • 2021
  • 최근 딥러닝 기반의 얼굴 초해상화 연구는 일반적인 영상에 대한 초해상화 연구와 달리 인간의 얼굴이 가지는 구조적 혹은 의미론적인 특성을 반영한 안면 랜드마크 정보, 주요 영역 딕셔너리와 같은 사전 및 참조 정보를 사용하여 우수한 초해상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얼굴에 특화된 사전 정보를 사용할 시 추가적인 처리 소요 시간과 메모리를 요구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지식 증류 기법을 활용한 효율적인 초해상화 모델을 제안한다. 주요 얼굴 영역 기반의 딕셔너리 정보를 사용하는 선생 모델에 지식 증류 기법을 적용하여 추론 시 랜드마크 정보와 부가적인 딕셔너리 사용이 필요 없는 학생 모델을 구축하였다. 제안하는 학생 모델은 특징맵 기반의 적대적 지식 증류를 통해 얼굴 주요 영역 딕셔너리를 가지고 있는 선생 모델로부터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제안하는 학생 모델의 실험 결과를 통해 정량 및 정성적으로 우수함을 보이며 선생 모델의 연산량에 비해 90% 이상 절감되는 효율성을 증명한다.

ESCPN을 이용한 초해상화 시 활성화 함수에 따른 이미지 품질의 비교 (Comparison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activation function during Super Resolution using ESCPN)

  • 송문혁;송주명;홍연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32
    • /
    • 2022
  • 초해상화란 저화질의 이미지를 고화질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ESPCN 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해상화 심층 신경망에서 각 노드를 거칠 때 가중치를 결정하는 활성화 함수에 따라 같은 입력 데이터를 받더라도 다른 품질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함수 ReLU, ELU, Swish를 적용시켜 같은 입력 이미지에 대한 출력 이미지의 품질을 비교하여 초해상화에 가장 적합한 활성화 함수를 찾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초해상화를 위한 Dataset은 BSDS500 Dataset을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이미지를 정사각형으로 자른 뒤 저화질화 하였다. 저화질화된 이미지는 모델의 입력 이미지에 사용되었고, 원본 이미지는 이후 출력 이미지와 비교하여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학습 결과 머신 러닝에 주로 쓰이는 ReLU보다는 그 단점이 개선된 ELU, swish가 훈련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