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drying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8초

건조방법에 따른 비지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Curd Residue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김동수;설명훈;김현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53-459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nges in quality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the optimum drying condition for utilizing soybean curd residue. The quality criteria for soybean curd residue were acid value, peroxide valu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icrobial concentration. The acid values of soybean curd residue were 7.5, 4.5 and 5.9 KOH mg/g upon 12 hour drying with open-air sun, ambient-air blast and warm-air blast, respectively. Th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molds increased remarkably during drying with open-air sunlight, ambient-air blast and warm-air blast except for hot air blast. Among different drying methods, the hot air blast drying(1kg of sample)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which completed in three hours. Also, the drying method demonstrated a typical drying curve ; settling down, constant rate drying and falling rate drying period were shown within one hour, from one and three hours and after three hours, respectively. Moreover,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stant drying period for the quality of soybean curd residue.

  • PDF

Determin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Tropical Biomass Products for Monogastrics Using Rats: 2.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Ensiling and Level of Inclusion of Cassava Leaves and Sweet Potato Vines

  • Phuc, Bui Huy Nhu;Lindberg, Jan Erik;Ogle, Brian;Thomke, Sigvar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7호
    • /
    • pp.994-1002
    • /
    • 2001
  • In a balance experiment with rats either 0, 25 or 50% of the crude protein (CP) provided as casein in the control diet was replaced with cassava leaves (CL) (Manihot esculenta Crantz) or sweet potato vines (SPV) (Ipomoea balala). CL were either sun-dried or oven-dried at $60^{\circ}C$ or $105^{\circ}C$ or ensiled, while the SPY were either sun-dried or ensiled. The experiment included 3 blocks with 30 rats in each and six individuals per treatment group. Drying at $105^{\circ}C$ resulted in a reduction of the lysine (Lys) content, suggestive of the occurrence of Maillard reactions. Ensiling CL and SPV slightly decreased the CP. content as well as the sum of essential amino acids. The apparent fecal CP digestibility (dCP) and nitrogen retention were negatively affect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replacement (p<0.01 and p<0.001, respectively). The impaired amino acid profile observed when drying CL at $105^{\circ}C$ was found to be related to a slight decrease in dCP (p<0.001) as well as N retention (p<0.005). The effects of sun-drying and oven-drying in reducing the HCN content in CL were more potent than when ensiling. By increasing the total dietary HCN supply serum thiocyanide level, as well as urinary thiocyanate and linamarin output, were increased, with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m. Sun-drying and ensiling with cane molasses as additive successfully preserved th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could be a means of preserving fresh green feed under tropical conditions.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Quality Traits of Hanwoo Beef Jerky from Low-Valued Cuts during Storage

  • Lim, Dong-Gyun;Lee, Sang-Suk;Seo, Kang-Seok;Nam, Ki-Ch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1-539
    • /
    • 2012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ous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from low-valued cuts, Hanwoo beef shank muscles were either hot air-dried, shade-dried, or sun-dried.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Hanwoo beef jerky were analyzed during a storage of $25^{\circ}C$.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a_w$) of the samples decreased as the time period of storag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drying condition (p<0.05). Shade-dried jerky showed higher $a_w$ compared to others after storage of 20 d (p<0.05). The pH value of hot air-dried jerky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For color properties, sun-dried samples showed higher redness ($a^*$) and yellowness ($b^*$) compared with the properties of others (p<0.05). The hot air-dried jerky showed higher shear force values than the sun-dried or the shade-dried jerky after 10 and 20 d (p<0.05). However, the total plate counts (TPCs) of naturally dried jerky (shade and sundried) were higher than hot-air dried jerky after storage of 10 and 20 d (p<0.05). With regard to sensory properties, naturally dried jerky showed higher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an the hot air-dried jerky (p<0.05). In conclusion, although natural drying appears to be more susceptible to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than hot air-drying, the natural drying method seems to result in superior quality than the hot air drying method.

건조효율 향상을 위한 고추건조공정의 최적화 (Process Optimization of Red Pepper Drying for the Improvement of Drying Efficiency)

  • 정순경;금동혁;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28-439
    • /
    • 1992
  • 고추건조에 대한 에너지사용의 효율성을 표현할 수 있는 건조효율 지표를 유도하고 정의하였으며 건조효율에 미치는 공정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고 carotenoids 보존의 제한조건하에서 건조효율을 최대화시키는 최적건조조건을 찾았다. 전체 사용에너지에 대한 증발에너지의 비로 단순화시켜서 열풍의 건구 및 습구온도의 함수로 표현된 건조효율이 건조공정중 실제의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에서의 최적화가 가능하였다. 최적화 결과 1단계 건조에 비해서 2단계 건조가 같은 품질제한 조건하에서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한편 배기공기 온도를 포함하는 간단한 변환변수와 건조되는 고추의 수분함량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건조시간 종료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도 검토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추 건조시 좋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기 운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한천(寒天) 추출물(抽出物)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한천(寒天)의 품질(品質) (Effects of Various Drying Methods of Agar-gel on Dried-agar Quality)

  • 이철;배송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8-82
    • /
    • 1984
  • 국내에서 생산되는 한천원조(寒天原藻)를 사용하여 건조방법(乾燥方法)이 한천(寒天)의 품질변화(品質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였다. 천일(天日) 건조(乾燥), 태양열(太陽熱) 집열(集熱) 건조(乾燥), 열풍(熱風) 건조(乾燥)($30^{\circ}C$), 대조구, 자연대류), 열풍(熱風) 건조(乾燥)($(30^{\circ}C$, 전처리구, 자연대류) 및 동결(凍結) 건조법(乾燥法)에서, 한천(寒天) 젤($1.0{\times}1.0{\times}34.0cm$)을 수분함량 1000%(D.B)까지 건조(乾燥)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은 96, 75, 67, 50 및 21시간 이었다. 천일(天日) 건조(乾燥), 태양열(太陽熱) 집열(集熱) 건조(乾燥), 동결(凍結) 건조(乾燥) 및 분무(噴霧) 건조법(乾燥法)에 의한 한천(寒天)의 젤리강도는 320, 370, 270 및 $360g/cm^2$로 나타났다. 열풍(熱風) 건조법(乾燥法)에 의한 젤리 강도는 건조온도(乾燥溫度) 한천(寒天) 젤의 전처리 유무(有無) 및 열전달(熱傳達) 형태(形態)에 의해 다르게 나타났으며, 타(他) 건조법(乾燥法)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열풍(熱風) 건조시(乾燥時), 전처리 과정을 거친 한천(寒天) 젤의 건조속도(乾燥速度)가 대조구의 건조속도(乾燥速度) 보다 훨씬 증가하였으며, 한천(寒天) 젤의 건조속도(乾燥速度)의 증가에 따라 한천(寒天)의 젤리강도는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 PDF

Effect of Drying Method on Antioxidant Activity of Jiwhang (Rehmannia glutinosa)

  • Rhim, Jong-Whan;Xi, Yang;Jeong, Won-Chul;Ham, Kyung-Sik;Chung, Ha-Sook;Kim, Eun-Si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64-1469
    • /
    • 2009
  • Jiwhang (Rehmannia glutinosa),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cinal herbs, was dried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sun drying, hot air drying,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methods, and their effects on the antioxidant capacity in relation with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studied with a steamed-and-dried rehmannia (sookjiwhang) for comparison. Generally, total phenolic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by all of the drying treatments except the steamed-and-dried rehmannia, in which total phenolic contents increased 2.4 fold compared with fresh rehmannia. Content of verbascoside, a functional phenolic compound, was the highest in the freeze-dried rehmannia ($177.97{\pm}0.02\;{\mu}g/g$ d.m.) followed by vacuum-dried ($105.55{\pm}0.07\;{\mu}g/g$ d.m.), hot air-dried ($23.01{\pm}0.02\;{\mu}g/g$ d.m.), and sun-dried ($4.89{\pm}0.13\;{\mu}g/g$ d.m.) ones comparable to the fresh rehmannia ($80.15{\pm}1.26\;{\mu}g/g$ d.m.).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ed by bo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methods agreed with the result of total phenolic contents, that is,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the highest in the steamed-and-dried rehmannia followed by fresh rehmannia, vacuum-dried, hot air-dried, sun-dried, and freeze-dried ones. Conclus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rehmannia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drying methods used.

복분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추출물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ubi Fructus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utions)

  • 정헌식;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36-441
    • /
    • 2005
  •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circC$)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pH는 물 추출에서는 건조방법별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에서는 동결건조품에서 다소 높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유리기 소거능은 동결 건조품,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품에서 L값은 가장 높았고 a와 b값은 가장 낮았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L과 b값은 높았으나 a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복분자 포제에 있어 전통적 자연 양건보다는 적외선 및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의 적용에 의해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총가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물 추출이, 항산화성 성분의 추출에는 에탄올 추출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환식 유채건조기 개량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irculation Dryer for Rapeseed)

  • 김유호;최희석;권진경;조광환;윤홍선;김동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6호
    • /
    • pp.390-395
    • /
    • 2008
  • Current high oil price and the agreement on global climate change prevention have increased worldwide investment and research on renewable energy. In Korea, development of a rapeseed dryer for bio-diesel production has been started in 2007. Usually, rapeseeds are harvested in early summer, because rice cultivation is followed right after rapeseed harvesting. Early harvest and bad summer results in highly moistured rapeseed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drying system is required to dry great amount of rapeseed that couldn't be processed by sun drying alone. The rapeseed dryer was modified from an existing circulation type grain dryer. Modification of the dryer was performed with the aid of CFD simulation. Drying test showed that drying rate of rapeseed was 1.51%/h and germination rate reduction was 4.5%p for the drying temperature of $60^{\circ}C$.

건조방법에 따른 마른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by Drying Methods)

  • 이원영;차원섭;오상룡;조영제;이혜영;이보수;박주석;박준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2006
  • 본 연구는 경상도지역에서 예로부터 먹어오던 무말랭이 김치(골곰짠지, 오그락지)의 품질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천일건조와 열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문제점을 보완한 냉풍건조를 이용하여 말린 무말랭이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속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건조시 갈색도는 $10^{\circ}C$ 냉풍건조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10^{\circ}C$냉풍건조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천일건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의 경우 천일건조와 $10^{\circ}C$ 냉풍건조 그리고 $70^{\circ}C$ 열풍건조 모두 유사한 수치를 보였으나 텍스처 측정에서는 $10^{\circ}C$ 냉풍건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무말랭이 김치의 원료인 말린 무는 $10^{\circ}C$의 냉풍에서 건조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이 고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ying Method on the Quality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var. longum))

  • 윤화모;이정엽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39-149
    • /
    • 2004
  • 수확한 고추를 원형 그대로 한 원형과, 가로로 3등분으로 절단한 절단과, 직경 4mm의 송곳을 이용하여 고추에 6개의 구멍을 내는 천공과를 이용하여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70^{\circ}C$, $80^{\circ}C$, $90^{\circ}C$각각 5시간의 열풍건조 후 천일건조 그리고 $50^{\circ}C$, $60^{\circ}C$, $70^{\circ}C$의 열풍건조 및 $70^{\circ}C$, $80^{\circ}C$, $90^{\circ}C$로 각각 5시간 건조 후 $60^{\circ}C$로 변온건조 하였을 때, 건고추의 품질 변화를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풍건조시 건조시간과 건조 후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절단과 건조는 $50^{\circ}C$에서 건조시간이 40시간으로 $90^{\circ}C+60^{\circ}C$에서의 15시간보다 2.6배가 더 소요되었고, 수분함량은 $60^{\circ}C$에서 건조 한 것이 10.0%로 가장 높았고, $90^{\circ}C+60^{\circ}C$에서 건조한 것이 6.7%로 가장 낮았다. 변온 복합 처리에서는 $70^{\circ}C+60^{\circ}C$, $80^{\circ}C$+60^{\circ}C$, $90^{\circ}C+60^{\circ}C$ 순으로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천공과 건조는 $50^{\circ}C$에서는 건조시간이 50시간으로 가장 많이 소요되었으나 $90^{\circ}C+60^{\circ}C$에서는 27시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수분함량도 $50^{\circ}C$에서는 9.5%로 가장 높았으며 $90^{\circ}C+60^{\circ}C$에서는 7.0%로 가장 낮았다. 천공과의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에는 백색 발생이 13.8-31.3%로 나타났고,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4.7%로 적게 나타났다. 부패과의 처리간 발생율은 백색과의 발생율과 같은 경향으로 원형과의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의 발생율은 8.2-23.7%이었고,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3.5%로 나타났다. 천공과 천일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는 7.4-21.6%이었으며, 열풍건조 및 변온 열풍건조처리에서는 0-2.8%이었다. 절단과의 천일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는 6.0-19.2%로 나타났으며,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1.6%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