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fallow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여름철 휴경조건에서 잡초의 발생과 몇 가지 두과식물의 녹비로서의 이용성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Some Leguminous Plants for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Fallow)

  • 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07
  •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의 경작지 및 휴경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 송종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3호
    • /
    • pp.191-200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weed communities of the fields in Korea by methods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On the basis of the data obtained, the following vegetation units were recognized: A. summer weed community of rice field A-1. Oryzetea sativae: Sagittario-Monochorietum, A-2. Lemnetea minoris: Lemna paucicostata-Spirodela polyrrhiza community B. spring weed community of rice field B-1. Bidentetea tripartitae: Stellario-Ranunculetum cantoniensis C. summer weed community of arable land C-1. Chenopodietea Pinellio ternatae-Euphorbietum pseudochamaesyceslsynonym: Acalypho australis-Digirietum pectiniformis and Cephalonoploso segetti-Geranietum eriostemonii of North Korea in Dostal다 et al.(1990)] and Phyllantho urinariae-Lindernietum crustaceae D. weed community of fallow field D-1. Erigeron sumatrensis-Erigeron anmus community, D-2. Digitaria adscendens-Portulaca oleracea community, D-3. Chenopodium album community, and D-4. Erigeron canadensis-Erigeron annuus community. Generally compared to the Korean Peninsula, the weed communities in the fields of Cheju Island is much plentiful in their species composition.

  • PDF

Effect of Sesbania Incorporation as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Yield of Whole Crop Barley and Reduction of N Fertilizer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u-Hwan;Bae, Hui-Su;Oh, Yang-Yeol;Lee, Sang-Hun;Kim, Yeong-Joo;Kim, Sun;Ryu, Jin-Hee;Jung, Kang-Ho;Lee, Choong-Geun;Kim, Jae-Hyeon;Kim, Yeong-Doo;Choi, Weon-Young;Cho, Jae-Yeong;Lee, Kyoung-Bo;Lee, Keon-Hui;Park, Ki-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51-759
    • /
    • 2016
  • It is known that the poor soil fertility of newly reclaimed saline soils is due to the lack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mineral nutrients for crop production. The effect of green manuring with Sesbania aculeata in combination with five rates of urea-N treatments (N0. N25, N50, N75, N100) on the productivity of a subsequent whole-crop barley and the fertility of the reclaimed saline soil in Saemangeum was evaluated in the field during 2013-2014 growing season. Sesbania was grown during summer season (June to October). The amount of Sesbania incorporated was $16.2Mg\;ha^{-1}$. Sesbania contributed to $393kg\;N\;ha^{-1}$ to the soils when ploughed down and incorporated before whole-crop barley cultivated. The performances of whole-crop barley following sesbania incorpor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Sesbania manuring and different N rates. The N fertilizer equivalence without N fertilizer following Sesbania was 42.6% ($63.9kg\;N\;ha^{-1}$), compared with N100 ($150kg\;N\;ha^{-1}$) in fallow soils. The whole-crop barley yield responded to N fertilizer rates in both sesbania-amended and fallow soil. The yield response to nitrogen rates in fallow soil was linear (Y=0.0586X+3.3011, $R^2=0.9534$), whereas that in sesbania-amended soils was quadratic (Y= -0.001X2+0.1322X+5.7143, $R^2=0.9576$). The yield of whole-crop barley in sesbania-amended with increasing N rates was increased up to SN75 (115 kgN) $10.3Mg\;ha^{-1}$. Apparent N recovery (ANR) of whole-crop barely showed decreased with sesbania plus increasing rates of N fertilizer. Despite higher yield with sesbania manuring plus increasing N rates, the contributions of N from Sesbania with increasing N rates to whole-crop barley were decreased, whereas those from fertilizer increment due to excessively mineralized Nitrogen. Considering yield, ANR, N contribution from Sesbania and nitrogen fertilizer, the optimum N rate was N50 rate following sesbania incorporation.

남극 세종기지에서의 지표 플럭스 관측: I. 난류 특성과 현열 플럭스 (Surface Flux Measurements at King Sejong Station in West Antarctica: I. Turbulent Characteristics and Sensible Beat Flux)

  • 최태진;이방용;이희춘;심재설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453-463
    • /
    • 2004
  • The Antarctic Peninsula is important in terms of global warming research due to pronounced increase of air temperature over the last century. The first eddy covariance system was established at King Sejong Station located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Antarctic Peninsula in December of 2002 and has been operated over one year. Here, we analyze turbulent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quality control criteria for turbulent sensible heat flux data as well as to diagnose the possibility of long term eddy covariance measurement under extreme weather conditions of the Antarctic Peninsula. We also report the preliminary result on sensible heat flux. Based on the analyses on turbulent characteristics such as integral turbulenc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velocity (w) and heat (T), stationarity test and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ey fallow the Monin-Obukhov similarity and eddy covariance flux data were reliable. ${\sim}47%$ of total retrieved sensible heat flux data could be used for further analysis. Daytime averaged sensible heat flux showed a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 with a maximum of up to $300Wm^{-2}$ in summer. In conclusion, continuous and long-term eddy covariance measurement may be possible at the study site and the land surface may influence the atmosphere significantly through heat transport in summer.

Impact of Salt Intake on Red and Fallow Deer Production in Australia - Review -

  • Ru, Y.J.;Glatz, P.C.;Miao, Z.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779-1787
    • /
    • 2000
  • Southern and south-western Australia is a typical mediterranean environment, characterised by wet, cold winters and dry, hot summers. The evaporation rate varies significantly in summer, resulting in a high salinity of drinking water for grazing animals.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land in the cropping areas is affected by salt. Puccinellia, tall wheat grass and saltbushes have been planted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and to supply feed for grazing animals. Animals grazing these areas often ingest an excessive amount of salt from soil, forage and drinking water which can reduce feed intake, increase the water requirement, depress growth and affect body composition as demonstrated in sheep. While the deer industry has been successfully developed in these regions, the potential impact of excessive salt intake on deer production is unknown. The salt tolerance has been well defined for sheep, cattle and other livestock species, but the variation between animal species, breeds within species, maturity status and grazing environments makes it impossible to apply these values directly to deer. To optimise deer production and effectively use natural resourc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alt status of grazing deer and the impact of excessive salt intake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deer.

하절기 온실의 활용실태 및 몇 가지 고온극복 방법별 열환경 분석 (Actual Utiliz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of Greenhouses According to Several Cooling Methods during Summer Season)

  • 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00
  • 온실의 경제적 고온극복 방안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96농가, 유리온실 75농가를 대상으로 하절기 온실의 활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유리온실 18.7%, 비닐하우스 24.0%, 전체 21.6%의 시설재배 농가가 휴경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경우도 매우 열악한 환경 하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고온 극복을 위한 저비용 기술의 개발에 관한 요구가 매우 높았다. 냉방 및 보조냉방 처리별 온실의 열환경을 비교 측정한 결과 자연환기만으로는 74.8%, 지붕살수시 58.2%가 35$^{\circ}C$를 초과하여 작물재배가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와 차광을 병행할 경우에는 26.9%만 35$^{\circ}C$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약간만 개선하면 어느 정도의 고온극복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광과 증발냉각의 일종인 에어쿨팬의 가동으로 자연환기 온실에 비하여 3.8~4.2$^{\circ}C$의 냉방효과를 보였으며, 온실내의 기온을 대부분 35$^{\circ}C$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냉각시스템의 도입으로 고온극복이 가능하지만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비용절감 및 체계화기술 개발이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차광과 고효율의 환기로 어느 정도의 고온극복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시설비 투자가 적은 온실에 대하여는 환기시스템 및 차광방법 개선 등의 연구를 통한 경제적인 고온극복 방안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Nitrogen Use and Yield of Silage Corn as Affected by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Soil-incorporated at Different Time in Spring

  • Seo, Jong-Ho;Lee, Ho-Jin;Hur, Il-Bong;Kim, Si-Ju;Kim, Chung-Guk;Jo, Hyeon-Suk;Lee, Jung-Sa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2-275
    • /
    • 2000
  • Winter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legume increase grain yield of subsequent crop and substitute N fertilizer requirement with organic-No Hairy vetch grows vigorously and can provide N-rich green manure for corn with its soil incorporation after wintering. But, grain yield of corn as succeeding crop would be reduced if its planting time is delayed until late spring.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roper incorporation time of hairy vetch green manure and planting time of subsequent corn in cropping system with winter hairy vetch(green manure)-summer corn. Hairy vetch was incorporated into soil at a ten-day interval between April 10 and May 10 and corn was planted at 5 days after each hairy vetch incorporation. Soil nitrate concentration on April 10 and 20 in hairy vetch plot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at winter fallow. Above-ground dry matter and organic-N of hairy vetch increased linearly with delayed hairy vetch incorporation time from April 10 to May 10. Average dry matter and organic-N produced by hairy vetch were 5.7 ton/ha and 248 kgN/ha, respectively. Corn growth and yield decreased as delayed corn planting time after May in spite of increasing dry matter and N-yield of hairy vetch. Nitrogen concentration of corn grain, stalk and whole plant at harvest were the highest in May 5 planting, but total N-uptake of May 5 planting we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April 25 planting because of lower grain yield.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er incorporation time of hairy vetch and corn planting time were April 20 and April 25, respectively, because grain yield was the highest and corn could use hairy vetch-N effectively to produce dry matter.

  • PDF

"대" 지목에 의거한 온실가스 분포의 공간성 평가 (Evaluating Spatial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Building Site)

  • 김준현;엄정섭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102
    • /
    • 2010
  • 오늘날 지목은 토지의 이용용도나 이용형태를 결정짓는 가장 구체적인 법률적 기준이 되고 있다. 지목은 토지의 주된 사용용도에 따라 분류되기 때문에 주 사용용도가 동일하다면 모두 같은 지목으로 결정하고 있다. 동일한 "대" 지목이라 하더라도 구체적으로는 단독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빌라, 아파트, 주상복합, 상업 업무용, 나대지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어 그 명확한 구분이나 분류기준 등에 있어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녹색성장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실태나 감축 또는 통계산정에 있어서 용도별 배출특성을 다양하게 분석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관별 다른 분류체계를 가진 5개의 도면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제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계절별은 겨울, 봄, 가을, 여름순으로 측정 되었으며, 겨울과 여름의 가장 큰 분포특성은 1.78배, 평균 1.35배가 높게 나타났으며, 오전 9시와 15시의 기온이 약 $11^{\circ}C$ 변화할 때 22ppm으로 오후가 높게 측정되었다 용도별로 분석한 결과 단독주택에 비해 상업 업무용은 4.04배, 주상복합은 1.47배나 높게 배출되었다.

  • PDF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몽골 Tuul-Basin 지역의 토지피복변화 및 지표온도 시계열적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and Surface Temperature in Tuul-Basin, Mongoli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 에르뎅솜베 술드;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47
    • /
    • 2016
  • 본 연구는 몽골 Tuul-basin 지역의 토지피복변화 상태와 토지황폐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 1990, 2001, 2011년의 녹색식물의 활력도가 가장 높은 여름의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몽골 Tuul-Basin 지역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토양조절 식생지수(SAVI,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지표면온도(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계산하여 토지피복변화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전체 지역의 산림 및 녹지는 감소되고, 건조지역, 휴경지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진적으로 토지가 황폐화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ST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상지역의 토지피복변화나 식생의 활력도가 지표면의 온도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절감에 대한 피복작물 헤어리벳치의 효과 (Effect of Cover Crop Hairy Vetch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ation in Sloped Upland)

  • 서종호;박종열;송득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4-141
    • /
    • 2005
  • 경사지 밭작물 재배시 일반관행의 동계휴한 및 경운재배에 비하여 동계 헤어리뱃치 피복작물의 재배와 그것의 토양이용에 따른 토양유실의 감소정도 및 밭작물의 수량의 변화를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 및 호밀녹비와 더불어 살펴보기 위하여 수원 작물과학원의 경사지 밭 포장에서 2000-2003년의 4년간 무경운 헤어리뱃치 토양피복의 처리와, 홍천 강원도 농업기술원 홍천옥수수시험장 경사지에서 2001-2002년의 2년간 헤어리벗치의 무경운토양피복, 헤어리벳치와 호밀의 경운녹비 처리를 두어 토양유실량 억제효과 및 작물의 수량성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원의 4년간 시험에서는, 경사지에서의 강우의 유실율이 무피복작물-경운의 관행구에 비해 헤어리뱃치 토양피복 (무경운) 및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구에서 많이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토양입자의 유실도 두 피복작물처리에 의해 현저히(관행의 약 10% 이하) 감소하였다. 더욱이 토양피복처리에 의한 토양업자유실 감소정도는 강우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헤어리뱃치피복 및 화이트클로버생체피복에서는 잡초의 발생도 억제되어 제초제의 사용이 필요 없을 정도로 관행 (무제초작업)에 비해 10-20% 밖에 잡초가 발생하지 않았다. 화이트클로버 living mulch구에서 옥수수 수량은 관행재배에 비해 많이 감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옥수수의 초기생육에서 옥수수가 클로버가 토양수분과 양분에 대해 경쟁관계에 있었기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헤어리뱃치토양피복에서의 옥수수의 수량은 제초처리와 관계없이 관행 (제초)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양보전 및 수량증가의 측면에서 헤어리뱃치의 토양피복처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간에 걸친 홍천옥수수시험장 경사지 시험에서는 호밀과 헤어리뱃치의 동계 피복작물재배에 따라 비작기의 토양유실을 피복작물 무재배 (관행)에 비해 토양유실을 약 95% 줄일 수 있었다. 하계 찰옥수수의 작기동안에는 무피복작물-경운에 비해 헤어리뱃치피복-무경운이 가장 토양유실억제효과가 컸으며 (관행의 2%), 호밀과 헤어리뱃치의 경운 (녹비)의 토양 유실량도 무녹비경운 (관행)의 약 30% 이하로 감소하여 하계 찰옥수수 재배 시 경운방법에 상관없이 토양유실 억제효과가 컸다. 찰옥수수의 수량을 보면, 호밀 및 헤어리뱃치 이용구 모두 표준질소시비에서 관행보다 증가하였으나, 무질소구에서는 호밀녹비 및 헤어리뱃치피복구는 질소공급이 적어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헤어리뱃치의 경운녹비구는 헤어리뱃치녹비의 질소공급에 의해 수량이 약 10%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사지에서 토양유실의 감소와 질소비료 절감의 두 가지를 만족할 수 있는 동계 피복작물로는 헤어리뱃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