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검색결과 7,998건 처리시간 0.037초

진해만에서 춘계와 하계 성층기간 동안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Spring and Summer Stratified Water-column at Jinhae Bay, Korea)

  • 손문호;현봉길;김동선;최현우;김영옥;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19-230
    • /
    • 2012
  • 2010년 진해만의 춘계와 하계를 중심으로 환경요인 변화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상관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한 다중상관분석과 CCA (Canonical Correspondance Analysis) 결과, 하계에 우점한 Chaetoceros spp., Skeletonema costatumlike spp.,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는 생물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선정할 수는 없었다. 반면, 춘계의 Cryptomonas spp.와 Pseudo-nitzschia multistriata 는 질산염과의 양(+)의 상관관계(p<0.05)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계에 나타난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간의 유의한 양 (+)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강우에 의해 유입된 탁도 물질등에 의한 저층의 광합성 활성의 저하와 우점종의 구성과 생물량 차이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환경에 적응한 우점종의 분포특성은 진해만 광역해역을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주요 우점종의 분포와 관련이 있었고, 특히 성층화된 하계에 우점한 식물플랑크톤 분포는 해역 구분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 될 수 있었다.

하계강수량과 그 순변화형에 의한 호남지방의 지역 구분 (Regional Divisions of Honam Region by Summer Precipitation and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 박현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113
    • /
    • 2005
  • 한반도의 남서부에 위치한 호남지방은 수리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역에 따라 하계의 강수현상 및 탁월일기의 다소와 그 계절변화가 크다. 본 논문은 AWS 63개 지점을 포함한 호남의 79개 기상관측지점의 하계강수량(1994$\sim$2003)과 그 순변화형(강수특성 표현의 중요한 한 요소임)에 대해 순별 강수량의 다소와 순장수량의 주성분벡터와 진폭계수(Rs)를 이용하여, 호남 각 지역에서의 하계강수량 순변화형을 수량적으로 추출하고, 그 공간스케일의 변동을 규명해, 그에 따른 호남지방의 강수지역 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방의 하계강수량 순변화의 전형적 특징은 상위 4개의 순변화형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기여율은 78.0%이다. 또한 호남지방의 하계강수량의 순변화형은 A-K형까지 11개가 추출되었고, 강수지역은 18개형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 PDF

당항만의 여름과 가을의 부영양화 평가 (Estimation of Eutrophication during Summer and Fall in Danghang Bay)

  • 김성재;유영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3-392
    • /
    • 2017
  • 당항만의 입구(진해만)부터 거산소류지 바로 아래까지 22개의 조사정점을 설정하고 여름은 2013년 8월, 9월(초순), 가을은 10월, 11월에 해역의 부영양화를 조사하였다. 여름철 총클로로필(TChl) 농도는 가을보다 평균 약 3.7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름에 당항만 중심에 가까운 조사정점들이 담수가 유입하는 바깥쪽 조사정점들보다 평균 약 1.8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은 모든 조사정점에서 부영양화 지수(eutrophication index, EI)가 1을 초과함으로서 다른 조건이 갖추어지면 항시 적조가 발생할 수 있는 해역으로 나타났다. 여름과 가을에 EI는 만 입구에서 만의 내측(마동호 예정해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고, 특히 가을은 조사정점 13~22(마동호 예정해역)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나머지 조사정점보다 평균 약 2.3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은 질소가 조류 성장의 제한영양염류(limiting nutrient)로 나타났으나 여름 장마기간 중에는 인이 제한영양염류로 나타났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의 EI와 COD, DIN, DIP 사이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DIP가 E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나타내 주었다. 한편 여름에 TChl과 COD, DIN, DIP, DSi 사이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DIP가 TChl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나타내 주었다. 가을은 TChl과 모든 지표들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 유형과 강수지역 (The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and Precipitation Region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 박현욱;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7-428
    • /
    • 2005
  • 아시아의 동안에 위치한 한반도는 수리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역에 따라 강수현상 및 탁월 일기의 다소와 그 계절변화가 크다. 이러한 탁월한 날씨의 특징은 한국의 하계의 강수출현율과 그 순변화에 잘 반영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78개 관측지점의 하계강수량$(1991\~2003)$의 순별 평균값에 대해 주성분분석법을 응용하여 하계강수량의 순변화형을 추출하고, 그의 공간스케일과 강수량의 다소에 따라 강수지역구분을 한 것이다. 주성분 분석에 의해 추출된 주성분 벡터와 진폭계수(Rs)에 따라 하계 강수량 순변화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 개의 순변화형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기여율은 $64.3\%$이다. 또한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형은 $A\~K$형까지 9개가 추출되었고, 강수지역은 17개형으로 분류되었다.

병아리의 발생시기 및 육성계절이 열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tching and Brooding Season of Chicks on Their Heat Stress Response and Production Performances)

  • 조은정;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7-86
    • /
    • 2019
  • 본 연구는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과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 간의 열 스트레스 반응 정도와 생산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계로는 겨울철에 발생된 한국토종종계 초생추 1,156수와 여름철에 발생된 초생추 934수로 총 2,090수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정도와 생산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텔로미어의 함량과 heat shock proteins(HSPs)의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고, 생존율, 산란율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HSP-70, $HSP-90{\alpha}$$HSP-90{\beta}$ 유전자 발현율은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높은 발현값을 나타내었다. 텔로미어 함량은 겨울철과 여름철에 발생한 닭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존율에서는 여름철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산란율 및 난중 또한 여름철 발생 계군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초산일령은 겨울철 발생 계군이 여름철 발생 계군에 비해 빨랐다. 체중에 있어서 24주까지는 겨울철 발생 계군이 여름철 발생 계군에 비해 높았으나, 28주 이후부터 발생 계군 간 역전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해 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이는 발생 및 육성 초기에 고온에 노출된 닭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적응성을 습득한 결과로 사료된다.

Seasonal Variation of Water Mass Distributions in the Eastern Yellow Sea and the Yellow Sea Warm Current

  • Pang, Ig-Chan;Hyun, Ky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3호
    • /
    • pp.41-52
    • /
    • 1998
  • A seasonal circulation pattern in the eastern Yellow Sea (EYS) is suggested from the water mass analysis and geostrophic calculation using the hydrographic data collected b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during the years of 1970 to 1990.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esence of inflow of warm (and saline) waters into EYS in summer. EYS is divided into two regions in this paper: the west coast of Korea (WCK) and the central Yellow Sea (CYS). In CYS, waters are linked with warm waters near Cheju Island in winter, but with cold waters from the north in summer (in the lower layer). It is not simple to say about WCK because of the influences of freshwater input and tidal mixing. Nevertheless, water mass analysis reveals that along WCK, waters have the major mixing ratios (40-60%) of warm waters in summer, while the dominant mixing ratios (50-90%) of cold waters in winter. Such a seasonal change of water mass distribution can be explained only by seasonal circulation. In winter, warm waters flow northward into CYS and cold waters flow southward along WCK. In summer, warm waters flow northward along WCK and cold waters flow southward into CYS. This circulation pattern is supported by both statistical analysis and dynamic depth topography. Accordingly, Yellow Sea Warm Current may be defined as the inflow of warm waters to CYS in winter and to WCK in summer.

  • PDF

Analysis of energy and daylight performance of adjustable shading devices in region with hot summer and cold winter

  • Freewan, Ahmed A.;Shqra, Lina W.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5권4호
    • /
    • pp.289-304
    • /
    • 2017
  • Large glazed surfaces and windows become common features in modern buildings. The spread of these features was influenced by the dependence of designers on mechanical and artificial systems to provide occupants with thermal and visual comfort. Countries with hot summer and cold winter conditions, like Jordan, require maximum shading from solar radiation in summer, and maximum exposure in winter to reduce cooling and heating loads respectively. The current research aims at designing optimized double-positioned external shading device systems that help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and provide thermal and visual comfort during both hot and cold seasons. Using energy plus, a whole building energy simulation program, and radiance, Lighting Simulation Tool, with DesignBuilder interface, a series of computer simulations for energy consumption and daylighting performance were conducted for offices with south, east, or west windows. The research was based on comparison to determine the best fit characteristics for two positions of adjustable horizontal louvers on south facade or vertical fins on east and west facades for summer and winter conditions. The adjustable shading systems can be applied for new or retrofitted office or housing buildings. The optimized shading devices for summer and winter positions helped to reduce the net annual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a base case space with no shading device or with curtains and compared to fix shading devices.

여름철 유리온실의 목표온도 유지를 위한 강제환기 회수 (Forced Ventilation Number of Air Changes to Set Point of Inside Air Temperature in Summer Glasshouse)

  • 우영회;이정명;남윤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23-231
    • /
    • 1995
  • 여름철 온실 온도환경의 효율적인 제어는 온실의 주년재배와 고도활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31개 지역의 기후자료를 분석하여 고온기 온실의 기온관리에 있어서 목표 온도 유지를 위한 지역별 적정 최대환기횟수를 결정함으로서 온실의 기온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 유리온실의 설정온도 유지를 위한 강제환기는 40% 차광 유리 온실에서 최대환기횟수 1회/min로 35$^{\circ}C$ 유지가 가능하였으나 환기만에 의한 한계 최고실온 3$0^{\circ}C$ 유지는 불가능하였다.

  • PDF

차광정도가 옥수수와 수수속 작물의 생육 및 건물축적에 미치는영향 I. 광합성량에 미치는 차광의 영향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Corn and Sorghum Species I. Effecs of shang on photosynthetic rate)

  • 한흥전;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65
    • /
    • 1988
  • To examin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sis, corn and sorghum species were grown under shade cloths, which reduced light intensity by 25,50 and 75%. Photosynthetic rates were measured between 10 a.m. to noon on a clear day in early and mid - summer. 1. The degree of shading had a little effect on microenvironment. Air, soil and leaf temperatures were reduced as shade increased. 2. The degree of shading in early summer had relatively a little effect on photosynthesis of corn. However, the rates of photosynthesis in mid-summer decreased by 36%, 55% with relative light intensities of 50% and 25%, respectively. 3. The rate of photosynthesis was highly correlated with light intensity. The rates of photosynthesis with relative light intensities of 75,50 and 25% were decreased by 20, 40 and 5 4% in early summer, and by 17-53%, 36-64% and 5570% in mid-summer, respectively. 4. The 75% of light intensity had relatively little effect on dry matter yield of corn and sorghum species, however dry matter yield with 50 and 25% relative light intensities was decreased 17 and 36% in corn, 13-3 1 and 50-68% in sorghum specie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