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 of temperature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5초

전복의 증식에 관한 연구 (II) 여수근해산 한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의 산란기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HE ABALONES (II) The spawning season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in the adjacent areas of Yeosu)

  • 노섬;박춘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4-241
    • /
    • 1975
  • 여수근해산 한전복 Haliotis discus hannai를 재료로 1973년 1월-12월까지 매월 1회씩 24회에 걸쳐 생식선열도지수, 성열도계수, 비만도등의 월변화와 각장 및 전중량의 생식선중량과의 관계, 수온조건 및 자연산모패의 산란유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수근해산 한전복의 산란가능기간은 5월 하순-7월하순과 9월상순-11월하순이며, 주요산란기는 5월하순-6월중순과 9월하순-11월하순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2. 생식선성열도계수가 극대치를 보인 것은 5월의 44.10과 9월의 49.05였고, 최소치는 1월의 10.09였다. 3. 비만도는 년중 7월이 0.221로 가장 높았으며, 10월에 0.1058로 가장 낮았다. 4. 각장(SL)에 대한 생식선중량(GW)의 비가 년중 가장 높았던 달은 9월이었고, 가장 낮았던 달은 1월로서 이때의 관계식은 9월 : $GW=0.0000003710SL^{3.7860}$ 1월 : $GW=0.000021198SL^{2.8564}$ 각년평균치 : $GW=0.0000005013SL^{4.2273}$ 으로 각각 표시되었다. 5. 전중량(TW)에 대한 생식선중량(GW)의 비가 년중 가장 높았던 달은 9월이었고, 가장 낮았던 달은 1월로서 이때의 관계식은 9 月 : GW=0.1918TW-4.9231 1 月 : GW=0.0992TW-0.1759 주년평균수 : GW=0.1568TW-3.5236으로 표시되었다.

  • PDF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igsiopus japonicus의 혼합 배양조에 있어서 두 종간의 상호 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wo food organisms in the combination culture tank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6-69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흔히 혼재가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가 배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로티퍼와 코페포다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순수 분리 후 단일종 배양하던 것이다. 배앙 조건은 현장의 배양환경과 되도록 일치하도록 하였으며, 먹이는 $7{\times}10^5\;cells/ml$의 N. oculata를 급이하였다. B. rotundiformis의 배양조에 혼재된 T. japonicus는 C. rotundiformi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하여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고, 실험 종료일까지도 그 증식은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 japonicus의 증식은 T. japoniru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교하여 B. rotundiformis와 혼합 배양하여도 그 증식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B. rotundiformis와 T japonicu의 혼합 배양에서 두 종간의 피포식 관계나 먹이 경쟁 관계와 같은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혼재 생물로서 자주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는 B. rotundiformis의 증식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CCF 배지를 이용한 해산 섬모충 Vorticella sp.의 cyst형성 (Cyst formation of the marine ciliate, Vorticella sp. using MCCF medium)

  • 정민민;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7-319
    • /
    • 1999
  • 해산어 종묘 생산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서 이용되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Vorticella는 로티퍼의 증식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배양조내에서 로티퍼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유해한 섬모충과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 연구에서는 Vorticella cyst의 형성과 보존에 MCCF(Marine Ciliate Cyst Formation) 배지가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Vorticella의 cyst 형성 과정은 MCCF 배지내의 사육수가 증발함에 따라 여과 섭식 활동의 정지, 배지 표면에의 잠복, 스파스모넴의 탈락 그리고 Cyst의 형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1년에 걸친 장기 보존후에도 배지중에 해수를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활동형 세포에의 복귀가 가능했다. 형성된 Vorticella cyst의 모양은 한쪽 길이가 다른 한쪽의 길이 보다 긴 타원형을 하고 있었으며, cyst의 크기는 장경이 $30.51 \pm1.98\;\mu$m (Avg. $\pm$ SD로 $28.35\~32.40\mu$m의 범위)이였고, 단경은 $28.89 \pm2.12\;\mu$m(범위는 $27\~32.40\mu$m)이였다. cyst로부터 활동형 세포로 복귀한 Vorticella sp.는 배양중인 배지내에 로티퍼 사육수의원심 분리 상등액을 넣어줌으로 16일간의 배양 기간중 최고 밀도가 912 $\pm$64개체/10ml (Avg. $\pm$SD)까지 증식하였다. 이 실험에서 Vorticella의 cyst 형성과 종 보존을 위하여 사용한 MCCF 배지는 cyst를 형성시키고 보존하는데 이용 가능한 배지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Vorticella와 같은 해산 섬모충의 cyst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 가능하였다.

  • PDF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누출과 변연부 혼화층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OF DENTIN ADHESIVES)

  • 조영곤;김영관;안종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34-4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icroleakage and marginal hybrid layer in class V restorations using two one-bottle adhesives and one self-etching adhesive.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occlusal margins in enamel and gingival margins in dentin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3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n=30) and restored with three adhesives and composites: Single Bond/Filtek Z-250 (Group 1), Prime&BondNT/Esthet.X (Group 2), UniFil Bond/UniFil F (Group 3). For microleakage, samples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water for 24 hours, thermocycled stained with 2% methylene blue dye, sectioned into halves, scored and analysed using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sum test. For marginal hybrid layer, samples were sectioned into halves, treated with 10% phosphoric acid for 5 seconds, stored in 5% NaOCL solution for 24 hours, dried and gold coated.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of each sample were inspect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icroleakage at the occlusal margins was not evident in group 1 and group 2, but it showed in group 3 (p<0.05). 2. Microleakage in group 1 and group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group 2 at gingival margins (p<0.05). 3. Microleakage at gingiv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occlusal margins in group 1 and group 2, but microleakage at occlusal margins was greater than at gingival margins in group 3 (p<0.05). 4. In group 1 and group 2, no gaps at occlusal margins showed. But gaps showed in group 3. Occlusal margins were free from a hybrid layer in all groups 5. The thickness of the marginal hybrid layers was 2.5~5 $\mu\textrm{m}$ thick in group 5 $\mu\textrm{m}$ thick in group 2 and 1.5 $\mu\textrm{m}$ thick in group 3. 6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In coclusion, the effect of dentin adhesives on microleakge in class V composite restorations was excellent when one-bottle adhesives were applied on enamel margin, and it was good when a self-etching adhesive was applied on dentinal margin.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microleakage and thickness of marginal hybrid layer.

자주복, Takifugu rubripes (Temminck et Schlegel)의 종묘양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ed Production of the Puffer Takifugu rubripes (Temminck et Schlegel))

  • 노섬;정윤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5-310
    • /
    • 1993
  • 자주복, Takifugu rubrips 종묘의 효율적인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1989, 1991년과 1992년 5월에 각각 인공 부화한 자$\cdot$치어를 대상으로 실시한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적정 공급시기, 조도와 LD cycle에 따른 Artemia 포식량 및 초기 성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화 자어의 적정 rotifer 공급 개시 시기는 부화후 2-5일 사이며 그 생존율은 $96.5-90.0\%$였다. 각 성장 단계별 최대 포식량에 도달할 수 있는 최저 조도는 전장 6mm에서는 1000룩스였고, 8mm에서 600룩스, 10mm에서 12mm 사이에서는 200룩스로 성장에 따라 차츰 저조도하에서 포식이 가능하였다. 전장 6-12mm 사이의 자$\cdot$치어에 있어서 전장 (X)과 최대포식량에 달하는 조도 (Y)와 의 관계는 Y=2200-200X(r=-1.0000)의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세 가지의 L:D cycle 조건 (12: 12, 14:10, 16.8) 하에서 전장 6-14mm까지의 성장 단계별 자$\cdot$치어의 포식량은 대체로 광 조사 시간이 길어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모화후 경과일수 (X)와 전장 (Y)의 성장 관계식은 부화후 3일부터 36일까지는 Y=1.6427+0.2540X (r=0.9814)로 표시되었고, 36 일부터 68 일까지는 Y=-33.1452+1.1867X(r=0.9854)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수온은 $21.3\pm1.67^{\circ}C$ 범위였으며 68일간의 생존율은 $24.1\%$였다.

  • PDF

최적 염소 소독 모형의 개발 및 파라미터 연구 (Development of Optimal Chlorination Model and Parameter Studies)

  • 김준현;안수영;박민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6호
    • /
    • pp.403-413
    • /
    • 2020
  • 최적의 염소 소독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8개의 연립 준선형 편미분방정식으로 구성된 수학적 모형이 제안되었다. 다차원 수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상류 가중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세 가지 유형의 반응기에서 측정된 농도에 대해 검증되었다. 16개의 실험 결과에 대해 경계 조건 및 반응 속도를 보정하여 측정된 값을 재생시켰다. 모델링 결과로부터 8개의 반응 속도계수가 추정되었다. 반응 속도계수는 pH 및 온도로 표현되었다. 반응 속도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수치 오차의 제곱의 합을 최소화하는 자동 최적 알고리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형에 결합하였다. 최종 사용지에서 염소 및 오염물의 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수장의 염소소독공정으로부터 최종 사용지까지의 수질 변화를 모형에 의해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입수 수질에 따라 염소소독공정을 운영하는 실시간 예측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정수장에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기후변화 피난처로서 풍혈지의 식물자원 및 기능 분석을 통한 보전 및 관리방안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Plant Resources and Functions of Algific Talus Slope as a Climate Change Shelter)

  • 황태영;이종원;윤호근;박완근;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3-171
    • /
    • 2023
  • 본 연구는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에 대한 생물학적 가치와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풍혈에 대한 기초자료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분포하는 풍혈 25개소 중 지형학적 유형에 따라 분류한 애추형, 동굴형, 함몰형 풍혈 6개소를 선정하여, 지하에서 바람이 불어나오는 전석지를 경계로 구분하여 풍혈 내·외부로 나누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계절별로 기상정보와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여름철에 6곳의 풍혈 모두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났다. 6곳의 풍혈의 관속식물은 101과 350속 621종 18아종 57변종 7품종 70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29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위급종(CR) 5분류군, 위기종(EN) 3분류군, 취약종(VU) 4분류군 등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48분류군 등 총 168분류군, 북방계식물은 129분류군,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 중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8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6.8%로 나타났다.

당동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Zooplankton Community at Dangdong Bay in Gyeongsangnamdo, Korea)

  • 한형섬;박용우;김종춘;마채우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40-247
    • /
    • 2015
  • 본 연구는 통영시 당동만의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분석하여 군집 형성 과정과 연안 부유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2008년 동계시기부터 2011년 춘계시기까지 계절별로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고, 우점종 출현양상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CCA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동물플랑크톤은 80종, $1,599inds.m^{-3}$가 출현하였고,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는 우점종의 출현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우점종은 겨울철과 봄철에 Acartia steueri, 여름철에 Penilia avirostris 그리고 가을철에 Evadne nordimanni가 우점하여 가을철을 제외한 계절에서 요각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점종 출현 양상을 통해 조사지역 내 우점종 간 종 간 경쟁이 확인되었다. 주요 우점종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대응분석 (CCA)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계절에서 수온이 우점종 출현양상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D, DO 그리고 T-N이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항공기 배기 플룸의 파장별 IR 신호 해석 (Spectral Infrared Signature Analysis of the Aircraft Exhaust Plume)

  • 구본찬;백승욱;이경주;김만영;김원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640-647
    • /
    • 2014
  • 추진기관 배기 플룸의 적외선 복사(Infrared radiation :IR) 신호는 항공기 생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항공기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IR 감소 설계 기술이 적용된 추진기관의 정확한 IR 신호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동 및 열전달 해석 코드를 이용하여 노즐 내부, 외부 자유류, 플룸 영역의 열유동장을 수치 해석하였다. 비회색가스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하는 좁은밴드 기반의 재조합 회색가스가중합법을 적용하여 항공기 플룸에서 방사되는 파장별 IR 신호를 계산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1차원 모델에 대한 검증을 거친 후 항공기 추진기관의 열유동장 및 파장별 IR 신호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플룸 내부에서 IR 복사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온도, 분압, 화학종에 따라 다른 파장별 IR 신호 특성을 파악하였다. 노즐 출구 부근에서는 노즐 벽면의 고체 방사로 인하여 파장별 IR 복사강도가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Cinnamon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산란 행동 및 Clownfish류의 부화장치 개발 (Spawning Periodicity and Behavior of Amphiprion melanopus and Development of Mass Hatching System for Clownfishes)

  • 노경언;노섬;신상옥;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33-141
    • /
    • 2011
  • 본 연구는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행동 및 산란 후 습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중 수온, 염분 및 광주기가 일정한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된 4쌍의 어미들은 산란주기 및 횟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수정 후 알 관리는 수컷에 의해서 주로 관리가 되었다. 부화일이 가까워질수록 수컷의 eggfanning 횟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부화 직전에 더욱 격렬한 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에어레이션형, 스프레이형, 회전 수류형 등 3종의 부화장치에 대한 clownfish류 4종의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회전 수류형 시스템의 부화율이 87.3%로 스프레이형(74.4%)과 에어레이션형(60.5%)보다 높았다. 그리고 회전수류형에서 부화판 개수별(2, 3, 5개)에 따른 부화율은 서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부화자어의 사육 크기를 고려하여 수조 크기를 결정하면 많은 개수의 부화판을 넣어 대량으로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