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ate fractions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2초

Localization of Sop Proteins and Interaction of Plasmid DNA with the Cell Membrane of Host Bacteria in Partitioning

  • Kim, Sung-Uk;Nagai, Kazuo;Tamura, Gakuzo;Yu, Ju-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61-265
    • /
    • 1993
  • A sopA protein (41K) encoded by plasmid pXX288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whereas a sopB protein (37K) encoded by plasmid pXX157 was observed in the membrane fraction. Most of the sopB protein was solubilized from the crude membrane by treatment with Sarkosyl, which suggested that the protein may be located in the inner membrane. The sopA protein was precipitated at the concentration of 30 to 60% ammonium sulfate. The sedimentation profile of the crude membrane fraction showed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culture media used, and the sopB protein existed in all fractions of inner membrane. The DNA of plasmids, pXX157, pXX300, and pXX167 co-sedimented with inner membrane fraction.

  • PDF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균체성분(菌體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특(特)히 DEAE-cellulose Chromatography에 의한 분획정제(分劃精制)에 대하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Fractions Obtained by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 강병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7-52
    • /
    • 1973
  • An attempt was carried out to purify the cell components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by the mild procedures. From the supernatant of sonic treated colls, the K-agglutinogen, hemagglutinogen and skin necrotizing factor were separated by a successive use of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The specific activity of purified K-agglutinogen was demonstrated by a gel-diffusion test and was also found to be free from other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f B. bronchiseptica: namely hemagglutinin, skin-necrotizing factor and O-antigen.

  • PDF

인삼단백질분획에 대한 SDS-폴리 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n Partially Purified Ginseng Proteins)

  • 김춘미
    • 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5-320
    • /
    • 1983
  • Ginseng proteins have been extracted and partially purified by the methods of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heat inactivation and Sephadex G-75 column chromatography. The final three fractions obtained (GI, GII and GIII) were subjected to paper chromatography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olecular weights of polypeptide chains from each fraction were est-mated by the standard line obtained from the plot of electrophoretic mobilities against the logarithm of molecular weights of standard proteins. Results are as follows: 1) GI showed three protein spots and four polypeptides of which M.W. were 63,000, 60,000, 56,000, 51,000 and 34,200. 2) GII showed four protein spots and five polypeptides with their M.W. of 64,600, 56,000, 45,400, 35,800, end 25,200, 3) GIII showed three protein spots and four polypeptides with their M.W. of 66,000, 63,000, 56,000 and 22,000.

  • PDF

전분단의 현황과 전망 (Present State and Prospect of Starch Sugar)

  • 임번삼;황두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9
    • /
    • 1977
  • To screen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 the carpophores of Auricularia polytricha, a well-known edible mushroom, were extracted with 0.14M NaCl solution. The extractive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by adding ammonium sulfate in various amounts, the respective precipitates being weparated by centrifugation, dialyzed and freeze-dried. When a dose of 60mg/kg of each was, i.p., injected into ICR mice, the fraction shich was precopitated at 20% (NH$_{4}$)$_{2}$SO$_{4}$ showed the highest toxicity, killing seven mice within two days. The fraction obtained at 40% (NH$_{4}$)$_{2}$SO$_{4}$ showed the second highest toxicity. The two fractions were named auratoxin I and II after the genus name. The symptoms of the intoxication were convulsion during the first 3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then sleeping within an hour, and tremor, lacrimation, nasal and ophthalmic bleeding, congestion and death in 24 hours. Particularly the spleen of the mice was fonud to be enlarged remarkably.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toxins showed that auratoxin I consisted of 4.4% protein and 84.5% polysaccharide and that auratoxin II 35.8% protein and 48.0% polysaccharide.

  • PDF

털목이버섯의 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city of auricularia polytricha)

  • 김하원;최응칠;김병각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3-228
    • /
    • 1984
  • To screen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 the carpophores of Auricularia polytricha, a well-known edible mushroom, were extracted with 0.14M NaCl solution. The extractive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by adding ammonium sulfate in various amounts, the respective precipitates being weparated by centrifugation, dialyzed and freeze-dried. When a dose of 60mg/kg of each was, i.p., injected into ICR mice, the fraction shich was precopitated at 20% (NH/sub 4/)/sub 2/SO/sub 4/ showed the highest toxicity, killing seven mice within two days. The fraction obtained at 40% (NH/sub 4/)/sub 2/SO/sub 4/ showed the second highest toxicity. The two fractions were named auratoxin I and II after the genus name. The symptoms of the intoxication were convulsion during the first 3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then sleeping within an hour, and tremor, lacrimation, nasal and ophthalmic bleeding, congestion and death in 24 hours. Particularly the spleen of the mice was fonud to be enlarged remarkably.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toxins showed that auratoxin I consisted of 4.4% protein and 84.5% polysaccharide and that auratoxin II 35.8% protein and 48.0% polysaccharide.

  • PDF

한국산 다시마 및 미역으로 부터 Fucoidan의 추출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도정룡;우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7-236
    • /
    • 1995
  • 국내산 갈조류로부터 생리 기능성이 우수한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다시마와 미역(엽상체와 포자엽 각각)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Fucoidan의 추출 조건은 pH 2.0의 산성 추출액으로 $65^{\circ}C$I에서 1시간 씩 3회 추출을 하였고 cetylpyridinium chloride를 사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부분 정제 fucoidan의 수율은 다시마 $2.71\%$, 미역포자엽 $6.65\%$, 미역 엽상체$0.40\%$였다. 특히 미역포자엽의 수율이 가장 높은 반면에 미역 엽상체는 가장 낮아 부위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DEAE-Sephadex A-25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부분 정제 fucoidan을 분획한 결과 다시마, 미역포자엽 모두 3종의 fraction으로 분획되었고 각 fraction은 전기 영동상에서 2종 이상의 band가 검출되어 불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분획한 주fraction을 다시 알콜 분별 침전법으로 재분획한 결과 다시마와 미역포자엽은 에탄올농도 $60-70\%$에서 침전된 fraction이 cellulose acetate 전기 영동 및 gel filteration chromatography상에서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균일하게 정제된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황산기의 mole 조성비는 다시마, 미역포자엽이 각각 1 : 0.31 : 2.43,1 : 0.87 : 1.99였다. 분자량은 다시마가 31,000, 미역포자엽이 38,000으로 비교적 적었다.

  • PDF

어류 알로부터 Protease Inhibitors의 단백질 용해도 차이에 의한 분획 특성 (Fractio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Inhibitors from Fish Eggs Based on Protein Solubility)

  • 김현정;김기현;송상목;김일용;박성환;구은지;이현지;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9-128
    • /
    • 2013
  • A protease inhibitor was fractionated from fish eggs using methods based on protein solubility. Fractionation efficiency was evaluated with regard to percent recovery and total inhibitory activity (U). The fractionation of protease inhibitor (PI) from egg extracts of skipjack tuna (ST, Katsuwonus pelamis), yellowfin tuna (YT, Thunnus albacores), and Alaska pollock (AP, Theragra chalcogramma) was performed by precipitation with cold acetone or ammonium sulfate (AS). Fractions exhibiting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contained 20-40% (v/v) cold acetone or 40-60% saturated AS fractions. AS fractionation was more effective in isolating PI than was precipitation with acetone. The total inhibitory activity and percent recovery of fraction obtained with AS 40-60% toward trypsin and $N{\alpha}$-benzoyl-L-arginine-p-nitroanilide (BAPNA) were 4,976 U and 24.2% for ST, 3,331 U and 38.1% for YT, and 4,750 U and 43.8% for AP, respectively. In comparisons against six commercial proteases, 40-80% AS fractions, made by combining the 40-60% and 60-80% AS fractions from fish egg extract, exhibited the strongest inhibition of trypsin when using a casein subst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sh eggs act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and may be useful for protease inhibition in foodstuffs.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으로부터 aminopeptidase 활성 획분의 쓴맛 개선 효과 (Lowering the Bitterness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Aminopeptidase-active Fractions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혜숙;이현지;박성환;김기현;강상인;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16-722
    • /
    • 2014
  • 국내산 살 오징어 간췌장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단백질 성질에 기초한 분획방법(용해도, 전기적 성질 및 분자량크기)으로 분획한 endoprotease 및 aminopeptidase 활성 획분들에 대한 분해 활성 비교한 다음, 이들 획분의 반응시간에 따른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의 쓴맛 개선 효과를 효소활성, 관능검사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획방법별 각 획분의 쓴맛 평가에 의한 쓴맛 개선 효과는 겔 여과법에 의하여 분획된 획분(GF-I, 30-50 kDa)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GF-I 획분을 2% Gly-phe에 준하는 쓴맛 casein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1/500의 비율로 첨가한 다음, 16시간 이상 반응시킨 가수분해물은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친수성이 강한 피크면적(피크 1, 2 및 4)은 증가한 반면, 소수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피크면적(피크 3, 5 및 6)가 감소하였으며, 쓴맛 평가 결과에서도 쓴맛 개선 효과가 뚜렷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오징어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의 효율적인 산업적 이용을 위한 단백질 분자량 크기에 따른 연속분획 공정을 통한 대량회수 방법 및 쓴맛 개선 가수분해물로부터 유리된 아미노산분석, 효소안정성, 기질특이성 등에 대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으로부터 Exopeptidase의 분획 (Fractionation of Exopeptidase from Viscera of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 김혜숙;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09-1017
    • /
    • 2008
  • 원양산 오징어 내장 조효소로부터 아세톤법, 황산암모늄법,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겔 여과법을 이용하여 exopeptidase를 분획한 다음, 각 분획방법별 fraction들의 효소 활성(총활성 및 비활성), 정제도 및 회수율 등을 검토하여 최적 분획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아세톤 분획법의 경우 아세톤의 최종농도가 $30{\sim}40%$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황산암모늄 분획법의 경우 황산암모늄을 $60{\sim}70%$의 포화농도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0.2 M NaCl을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이, 그리고, 겔 여과의 경우 분자량 $30{\sim}50\;kDa$ 범위의 것을 분획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분획방법별 최적 활성 fraction간의 상호비교에서 LeuPNA 및 ArgPNA에 대한 총활성 및 회수율은 겔 여과가, 비활성 및 정제도는 황산암모늄에 의한 분획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양산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탈 이온수로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겔 여과로 분획한 exopeptidase의 식품가공소재로서 산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겔 여과법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추출 조효소로부터 연속 및 대량처리를 위한 공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겨울철 서울과 부산지역의 분진 중 이온분포의 특성 연구: 미세와 조대영역간의 비교 (The wintertime distribution of ionic components in Seoul and Busa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ine and coarse particles)

  • 김기현;강창희;최금찬;김영준
    • 분석과학
    • /
    • 제17권3호
    • /
    • pp.230-239
    • /
    • 2004
  • 2002년 겨울철 서울과 부산지역에서 채취한 PM2.5와 PM10 입자를 이용하여, 입자를 구성하는 주요 무기성 이온성분의 농도를 입경영역별로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양 지역 입자의 조성경로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이들 결과를 미세와 조대영역으로 구분할 경우, 상당히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위적 오염원의 영향이 큰 서울지역의 경우, 미세입자의 절대농도가 조대입자 영역에 비해 약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지역의 경우,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서울이나 부산지역 모두 미세영역에서는 $NH{_4}^+$, $NO{_3}^-$, NSSS와 같은 성분이 양적으로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대영역의 경우, 양지역 간에는 큰 차이가 뚜렷하게 보였다. 서울의 경우, $NH{_4}^+$, $Ca^{2+}$과 같은 양이온과 $NO{_3}^-$, NSSS와 같이 인위적인자의 영향을 반영하는 성분들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의 경우, 음이온의 경우 $NO{_3}^-$의 양적인 기여도가 여전히 크게 나타났지만, 해양성 기원의 역할을 확인시켜 주는 $Cl^-$$Na^+$의 기여도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경영역별 조성의 특성은 여러 가지 통계적인 분석에서도 일관성있게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