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s of pumpk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호박 및 일본산 호박의 당 성분에 관한 연구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Pumpkin)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3-457
    • /
    • 1997
  • 한국산 호박과 일본산 호박을 주서로 갈아서 30분간 끓인 다음 착즙, 원심분리하여 당을 분석하였다. 한국산 호박의 수크로오스 함량은 0.41%, 프룩토오스는 0.54%, 글루코오스는 0.61%, 전분은 0.68%를 나타냈다. 일본산 호박은 수크로오스 2.60%, 프룩토오스 2.76%, 글루코오스 1.91%, 전분 1.22%를 나타냈다. 다른 소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본산 호박 전분을 NMR로 분석한 결과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만 나타냈으며, 요오드 반응의 흡광도는 아밀로오스(DP 117)의 86%를 나타내 아밀로오스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르바졸법으로 펙틴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한국산 호박은 6.29%, 일본산 호박은 2.67%fmf 나타냈다.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박용곤;차환수;박미원;강윤한;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9-646
    • /
    • 1997
  • 늙은 호박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연구로서 호박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카로데노이드 및 펙틴물 질의 함량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의 중량에 대해 과육부위가 84%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고,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물질이 3.5%를 차지하였다. 호박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과육부는 fructose와 glucose가 전체 유리당의 87%를 차지한 반면 내부 섬유상물질은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과육부가 섬유상부위 보다 3배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과육부는 serine이 102.0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5%, 섬유상부위는 aspartic acid가 241.3mg%로 70%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은 호박의 부위에 관계없이 aspartic, glu-tam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malic, cit-ric, succinic, fumaric acid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malic acid가 과육의 경우 85.2mg%, 섬유상 부위의 경우 226.5mg%로서 전체 유기산의 63~70%를 나타내었다 총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은 내부 섬유상물질이 65.3mg%로 호박 총 카로테노이드의 87%를 차지하였고, 과육, 껍질은 각각 6.6, 3.3mg%였다. 호박의 가용성 펙틴 함량은 수용성 펙틴이 총가용성 펙틴의 58%를 차지하였고, 섬유상부위가 과육부에 비해 그들의 총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육부의 펙틴이 섬유상에 비해 다소 분자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펙틴의 중성당은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로 분리되었고, 이중 과육은 galactose가 45%, 섬유상은 glucose가 3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당알콜 첨가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Evaluation of Pumpkin Jam Replaced Sucrose with Sugar Alcohols during Storage)

  • 이근종;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0
    • /
    • 2004
  •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pumpkin jams replaced sucrose with sugar alcohol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2$0^{\circ}C$. Pumpkin jam was prepared with steamed ground pumpkin, mixed with sucrose only(50%), sorbitol (sucrose 30%+sorbitol 20%) or maltitol (sucrose 30%+maltitol 20%). Final sweetness of each pumpkin jam was 64$^{\circ}$ Brix. During 60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idity and pH among treatments.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r in sucrose, compared to maltitol or sorbitol. During storage, Hunter L, a and b values increased; L and b values were the highest in maltitol and a value were the highest in sucrose compared to the other sugars. Adhesiveness and hardness of textural properties were the highest in sugar and the lowest in maltitol.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color, clarity,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in maltitol, compared to sucrose or sorbito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s during storage in a PCA plot comprised of first principal component (58.79%)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20.94%).

  • PDF

늙은 호박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양갱의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nents of Yanggeng Prepared by Different Ratio Pumpkin)

  • 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4-618
    • /
    • 2004
  • 늙은 호박을 이용하여 기능성 있는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호박 페이스트의 양을 $87\%$(A제품), $90\%$(B제품), $93\%$(C제품)로 비율을 달리하여 한천, 설탕, 물엿, 소금을 이용한 3가지 호박양갱 제품을 제조하여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E는 C 제품이 A와 B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성 당 함량에서는 glucose와 galactose는 C제품이, fructose와 lactose는 A제품이 다른 제품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대조를 이루었다. 무기질 중 다량원소인 칼슘, 마그네슘, 칼륨과 나트륨은 C제품이, 미량원소인 아연과 망간은 A제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칼륨의 함량이 다른 무기질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을 첨가한 호박잼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 송인선;이경미;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9-2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을철에 다량 생산되는 영양가 높은 호박을 이용한 기능성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량의 설탕이 첨가되는 잼에 대체감미료로 올리고당을 첨가한 호박 잼을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만든 잼의 pH 및 산도는 설탕 및 올리고당의 종류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되는 동안 증가하였으며 COS군과 IMO군은 증가폭이 컸으며, 대조군과 FTO군은 증가폭이 적었다. 투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명도 및 황색도는 COS군이 높았고 적색도는 대조군이 높았다. 기계적인 조직감 특성 중에서 끈기, 경도, 부착성은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당류 중에서는 대조군이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제조 직후 호박 잼의 색은 IMO군과 GTO군, 투명도는 COS군과 IMO군, 향은 FTO군과 IMO군이 높았고, 단맛은 대조군이 높았다. 전체적인 수용도는 제조직후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는 향, 맛 특성치의 저하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주성분 분석결과 저장기간에 따른 호박 잼의 특성치는 제1주성분이 99.44%, 제2주 성분이 0.54% 설명 가능하였으며, 향, 투명도, 끈기가 전체적인 수용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늙은 호박의 부위별 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장상문;박난영;이주백;안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8-10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호박을 이용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성분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호박의 조단백질의 함량은 껍질부위가 19.82%, 내부 섬유상부위가 16.43%로서 과육부위에 비하여 많았으며 , 조지방함량은 껍질부위가 2.84%로서 과육 및 내부 섬유상부위에 비하여 많은 편이었다. 조섬유 함량은 내부 섬유상부위에서 6.98%로서 껍질 및 과육에 비하여 3배정도 많았다. 호박의 부위별 전당의 함량은 과육부위가 비교적 많았으며,환원당의 함량은 과육부위에 비하여 씨를 감싸고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에 많이 함유되었다. 또한, 유리당 함량은 전반적으로 과육, 내부 섬유상부위와 껍질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된 늙은 호박의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가 총 phenol함량은 379.8$\pm$9.76 mg으로 총 phenol성분의 47%이상 함유되어 있었으며 , 총 carotenoid의 함량에서는 43.71$\pm$1.46 mg으로 총 carotenoid 성분의 62% 이상 함유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의 함량은 껍질에 81.5$\pm$3.56 mg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온풍건조 조건에 따른 증절간 고구마의 물리적 특성과 기호도 (Physical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a Steamed Sweet Potato Slab after Mild Hot Air Drying)

  • 신미영;이원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3-81
    • /
    • 2011
  • Two kinds of steamed sweet potatoes were dried with mild hot air to improve quality, convenience and preference as a snack. Steamed sweet potatoes were dried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35 to $65^{\circ}C$ for 12 hr, and moisture contents, colors, texture, and taste were evaluated. The lowest moisture content was 0.25% at $65^{\circ}C$. Color values (L, a, b and ${\Delta}E$) decrease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in both chestnut-sweet potatoes and pumpkin-sweet potatoes. Reducing sugars and soluble solids increased quickly at high drying temperatures. The highest hardness value for chestnut-sweet potatoes was $26.31\;kg_f /cm^2$when they were dried at $65^{\circ}C$ for 12 hr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higher than those in chestnut-sweet potatoes. The highest taste score was for a dried chestnut-sweet potatoes at $55^{\circ}C$ for 6 hr and a dried pumpkin-sweet potatoes at 45 or $55^{\circ}C$ for 6 hr.

사출구 온도와 CO2 가스주입이 현미·야채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CO2 Gas Injec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Brown Rice-Vegetable Mix)

  • 길선국;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48-1856
    • /
    • 2013
  • 녹차, 토마토, 호박가루 첨가와 사출구 온도, $CO_2$ 가스 주입에 따라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기계적에너지, 팽화특성, 기계적 특성,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 27%, 스크루 회전속도 100 rpm, 원료 사입량 100 g/min, 사출구 3 mm 원형으로 고정하였고, 사출구 온도(60, 80,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0, 15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알파현미 25%, 현미가루 50%와 당류 16%에 녹차, 토마토, 호박을 각각 9%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 150 mL/min, 호박가루를 첨가했을 때 52.67 kJ/kg으로 가장 낮은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을 나타내었다.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은 경우 사출구 온도는 직경팽화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직경팽화율은 $6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길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녹차 첨가 시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 시 $10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을 때와 비슷한 기공의 크기와 수를 보여주었다. 모든 사출구 온도에서 $CO_2$ 가스 주입시 파괴력은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사출구 온도증가 시 감소하고 $CO_2$ 가스 주입 시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착지수는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을 통한 저온 압출성형은 생식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