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s of Korean ginse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고려인삼의 부위별 성분함량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Ginse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rt of Ginseng Plant)

  • 장진규;이광승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84-89
    • /
    • 1987
  • 건조된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을 각 부위별로 나누어, 70% 알코올 및 물로써 추출한 extract의 성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extract 수율은 세근이 가장 높았고, 생건삼, 백삼은 낮았으며, 전당은 백삼과 묘삼에서 높았으며, 잎과 삼피에서 낮았다. 조단백은 생건삼, 백삼이 높았고, 잎, 뇌두, 삼피가 낮았으며,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조지방은 잎이 가장 높았으며 세미에 가장 낮았다. 유리당 중 fructose는 잎과 뇌두에서 많았고, 세미에서 가장 낮았으며, glucose는 잎에서 가장 높았고 세미가 가장 낮았다. Sucrose는 백삼, 생건삼, 지근에서 높았고 묘삼과 잎에서 낮았다.

  • PDF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Different Sugar Treatments)

  • 송미란;김미리;김현호;추석;이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99-1004
    • /
    • 2010
  • 인삼정과 제조 시 물성학적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sucrose, glucose, honey 및 fructose 등 4종의 당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정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물성 및 색도를 기계적인 측정치와 관능요원들의 평가치에 의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성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f가 당 종류종별에 따라 각기 함량에 큰 차이를 보여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검출된 7종의 진세노사이드의 총 함량은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10.0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아 fruct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Hardness와 adhesiveness가 가장 높은 것은 fructose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고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springiness는 honey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으며 fracture force는 당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당 종류별 정과제품의 편차는 honey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정과의 색도 중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sucrose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가 가장 낮은 것은 glucose, 황색도는 fructose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과제조 시 당의 종류 중 fructose 함량이 높을수록 갈색화가 크게 일어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는 honey를 이용한 인삼정과가 조직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았으며 fructose를 이용한 정과는 조직도면에서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당(糖), 아미노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이 인삼갈변촉진(人蔘褐變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gars, Amino acids and Inorganic Nitrogenous Compounds on the Acceleration of Browning in Ginseng)

  • 도재호;김상달;오훈일;홍순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61-165
    • /
    • 1982
  • 홍삼갈변(紅蔘褐變)의 적합(適合)한 촉진방법(促進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인삼(人蔘)에 당(糖), amino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을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당류중(糖類中)에서는 maltose와 glucose가 가장 강(强)한 갈변축진작용(褐變促進作用)을 나타내었다. amino산(酸)은 basic amino acid인 lysine, histidine, arginine이 가장 크게 촉진(促進)했으며 당(糖)과 amino산(酸)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는 glucose와 glutamic acid 혼합처리구(混合處理區)가 가장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Glucose농도별(濃度別) 처리시(處理時)의 갈변촉진효과(褐變促進?果)는 glucose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으며 무기질소화합물중(無機窒素化合物中)에서는 $urea>(NH_4)_2HCO_3>CH_3COONH_4$등의 순(順)으로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

인삼종자 생장과정에서 사포닌, 유리당 및 지방산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Ginsenosides, Free Sugars and Fatty Acids in Developing Ginseng Seed)

  • 이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4-137
    • /
    • 1988
  • 인삼 종자의 발육시기별 종자 및 배유의 크기, 사포닌, 유리당 그리고 지방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길이, 폭, 두께) 생장은 개화후 35 일경에, 배유의 크기 생장은 개화후 50일경에 완료되었으나 장육을 제거하지 않은 종자의 무게는 개화후 65일까지 감소되었다. 2. 총사포닌 및 ginsenosides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다. 3. Glucose, malt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으나 sucrose 함량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4 Palmitic 산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이었으나 oleic, linoleic 및 stearic산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 PDF

생마늘과 무취마늘의 화학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 이미경;이형옥;이성계;도재호;김만욱;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00-403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생마늘을 소금물에서 $100^{\circ}C$로 가열하고 급냉하여 제조한 무취마늘과 생마늘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섬유,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환원당은 약 15%, 조단백질의 함량이 약 27% 감소되었다. 유리당 성분은 glucose가 증가된 반면에 sucrose와 maltose는 감소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30% 정도가 감소되었는데, 그 중 arginine, isoleucine등이 이 감소되었다 생마늘에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59.53%이었으며, 그 다음은 oleic acid 10.05%이었고, lauric acid가 0.24%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무취 마늘에서는 linoleic acid 39.74%, behenic acid 15.35%였으며, lauric acid가 0.37%로 가장 적었다. 색도는 L, b 값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a값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세척인삼 유통 현황과 포장전 2-phenylethyl Alcohol 훈증이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Marketing of cleaned fresh ginseng and pre-packaging fumigation of 2-phenylethyl alcohol on ginseng storability)

  • 김선익;성봉재;김현호;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05-212
    • /
    • 2011
  • The potential factors for quality loss of cleaned fresh ginseng and technology to be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marketability through pre-packaging fumigation were examined. Major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resh ginseng included Botrytis cinerea, and Erwinia sp. Others such as Cylindrocarpon sp., Fusarium spp., Pennicilium spp., Bacillus spp. were also found at relatively low frequency. The bacterial density of vacuum packaged fresh ginseng rapidly increased during simulated marketing. Little correlation between bacterial growth and package swelling was found. In order to improve packaging method of fresh ginseng, pre-packaging treatment of 2-phenylethyl alcohol (PE, 100 uL/L, 4 hr) was examined. The fumigation treatment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density and also effective on keeping firmness of ginseng root, especially in cortical portion. The internal gas compositions of plastic container packaged for ginseng were approximately ranged between 6 to 8% $O_2$and 3 to 4% $CO_2$. The $O_2$ level of fumigation treatment was lower than control whereas $CO_2$ level was higher. The upsurge of ethylene evolution I day after simulated marketing was found only in fumigation treatment but it returned to ordinary level at day 2. The sucrose content of 2-PE treat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5 days after simulated marketing but reducing sugars like glucose and fructose remained at higher level. The difference in sugar levels was reduced after 10 days of simulated marketing. The decay of fresh ginseng began at the lateral or fine root, which is weak to physical damage, in general. The epidermis was more damaged. Plastic container packaging with PE fumig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to vacuum packaging, which allows an aerobic environment and prevents anaerobic respiration. Further study of pre-package fumig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echnology of fresh ginseng marketing.

인삼제품의 Saponin 추출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of Extraction Methods of Saponin in Ginseng Products)

  • 손현주;장진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32-37
    • /
    • 1984
  • In order to shorten the extraction time of saponin in ginseng products, election with Extrelut column and phase-separation methods were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aponin of ginseng products was extracted completely within 3 hours by election method with Extrelut column, and the rate of removing glucose by the colum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glucose content in ginseng products. 2. Stirring method was superior to refluxing method for removing sugars from ginseng products, and removing rate was deceased in the order of lactose, sucrose and glucose. 3. Extraction rate of ginsenoside from ginseng extracts by the elution method was nearly same as that of phase-separation method; however, the former was much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case of ginseng teas. Therefore, the elution by Extrelut column is to be improper for extraction of saponin in ginseng tea which contains much sugar. It was necessary to remove lipophilic compounds for extraction of saponin from ginseng extracts by elution with Extrelut column.

  • PDF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rowning of Red Ginseng)

  • 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60-77
    • /
    • 1973
  •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하기 위(爲)하여 이의 갈변(褐變)을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으로 단정(斷定)하고 어떤 성분(成分)의 작용(作用)으로 일어나는 갈변(褐變)인가를 추구(追究)하고저 수삼(水蔘), 증삼(蒸蔘), 자연건조홍삼(自然乾燥紅蓼), 인공건조홍삼(人工乾燥紅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홍삼(褐變促進經蔘)으로 구분(區分)하여 이들의 성분중(成分中) 갈변(褐變)에 관여(關與)하는 화학성분(化學成分)들의 소장(消長)을 정량적(定量的)으로 분석대조(分析對照)하였고 홍삼(紅蔘)의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 갈변촉진(褐變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대체(大體)로 시험구간(試驗區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며 총당(總糖)과 환원당(還元塘)은 조금 감소(減少)하고 총산(總酸)은 홍삼류(紅蔘類)가 조금 높았고 수추출물(水抽出物)은 홍삼구(紅蔘區)들이 $6{\sim}7%$ 낮았다. 2. 유리(遊離)amino산(酸)으로 Asp., Thr., Ser., Glu., Gly., Ala., Val., Cys., Met., Ileu., Leu., Tyr., Phe., Lys., His.. Arg.의 16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Arg.이 뛰어나게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고 필수(必須) amino산(酸)이 모두 함유(含有)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건조중(乾燥中)에 감소(減少)되고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다. 3. 유리당(遊離糖)으로 fructose, glucose, sucrose의 3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고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4종(種)을 분리(分離)하였으며 함량(含量)에서는 sucrose가 80%이고 홍삼구(紅蔘區)들이 일반적(一般的)으로 함량(含量)이 적었으며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가 인공건조구(人工乾燥區) 보다 많은 감소율(減少率)을 보였으며 특(特)히 환원당(還元糖)이 많은 감소(減少)를 보였다. 4. Vitamin C는 증삼시(蒸蔘時)에 거이 파괴(破壞)되고 건조중(乾燥中)에는 별(別)로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휘발성산(揮發性酸)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acryl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 iso-valeric acid, n-valeric acid, n-caproic acid, iso-heptylicacid, n-heptylic acid 등(等) 11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이 검출(檢出) 확인(確認)되었으며 증자시(蒸煮時)에 일부(一部) 휘발감소(揮發減少)를 보였으나 건조중(乾燥中)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증가(增加)를 보였다. 6.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lpha}-ketoglutaric$ acid, pyruvic acid, glutaric acid 등(等) 6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비휘발성산(非揮發性酸)은 건조중(乾燥中) 감소(減少)되어 홍삼구(紅蔘區)들이 함량(含量)이 적으나 succinic acid만은 증가(增加)하였다. 7. Polyphenol 류(類)로 3-caffeyl quinic acid, 4-caffeyl quinic acid, 5-caffeyl quinic acid의 3종(種)과 미확인성분(未確認成分) 1종(種)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으며 polyphenol은 건조중(乾燥中)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으며 특(特)히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에서 많은 감소(減少)가 있었다. 8. 홍삼(紅蔘)들의 갈색도(褐色度)는 갈변촉진구(褐變促進區)가 가장 짙고 다음이 자연건조구(自然乾燥區)이며 인삼건조구(人工乾燥區)가 가장 약(弱)한 갈색(褐色)이였다. 9.홍삼제조시(紅蔘製造時) 성분(成分)의 감소량(減少量)이 많은 것은 amino산(酸) 당류(糖類) 및 polyphenol이며 또 이들의 감소량(減少量)에 따라 홍삼(紅蔘)의 갈색(褐色)에 차(差)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홍삼(紅蔘)의 갈변(褐變)은 주(主)로 amino-carbonyl반응(反應)카 polyphenol의 자동산화(自動酸化)에 의(依)한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임이 확실(確實)하며 따라서 이들 반응(反應)을 조정(調整)하면 단시간건조(短時間乾燥)하는 인공건조시(人工乾燥時)에도 자연건조시(自然乾燥時)와 같은 갈색도(褐色度)의 홍삼(紅蔘)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배지의 철이온과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Hairy Root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o Iron Status and pH Change)

  • 양덕조;윤길영;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37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로부터 유도한 모상근의 proton 방출은 철이온의 결핍 또는 nitrate나 ammonium이온에 의해 증가되었다. 철이온 결핍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의 증가는 정단 조직에서 나타나는 반면에 nitrate와 ammonium 이온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은 기저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지의 pH변화에 따른 무기이온의 흡수는 무기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Ca^{2+}$, $Mg^{2+}$ 그리고 Fe$^{2+}$ 는 pH 4.8 에서 가장 높은 흡수를 나타냈으며, Mn$^{2+}$, $Zn^{2+}$ 그리고 Cu$^{2+}$ 는 pH 3.8에서 가장 높았다. HPLC를 이용한 유리당 및 ginsenoside분석에서, 인삼모상근 유리당 구성의 주성분은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였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pH 6.8에서 sucrose는 pH 4.8 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ginsenosides와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MS 배지의 표준인 pH 5.8 에서 가장 높았다.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인삼근의 적변유발과 관련된 무기이온의 mobilization 및 흡수기작의 구명을 위한 모델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