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acid ratio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36초

개량머루(Vitis sp.)의 생육기에 따른 과실 품질 및 형태학적 관찰 (Evaluation of Fruit Quality an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oru (Vitis sp.) Grapes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 권용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0
    • /
    • 2014
  • 개량머루의 시기별 생육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액아 발달, 과실 품질, 과실 조직의 해부학적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액아는 신초 발생부터 낙엽기까지 가지에서 마디 위치에 관계없이 괴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모두 충실하였다. 성숙기 과실 특성은 과립중 1.2g, 과립수 98개 및 과방중 128.8g이었고, 당도 $16.9^{\circ}Brix$, 적정산도 1.57%이었다. 당의 조성은 과당과 포도당이었고 성숙기의 과당과 포도당의 비는 1:1에 도달하였다. 사과산이 유기산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시기별 적정 산도의 변화가 일치하였다. 당과 산은 변색 1주전부터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배주의 퇴화는 수정 전후에 모두 발견되었고 성숙기의 과피는 1층의 epidermis와 7~10층의 hypodermis로 구성되었다.

Production of Ready-to-Reconstitute Functional Beverages by Utilizing Whey Protein Hydrolysates and Probiotics

  • Kumar, Sabbini Kalyan;Jayaprakasha, Heddur Manjappa;Paik, Hyun-Dong;Kim, Soo-Ki;Han, Song-Ee;Jeong, A-Ram;Yoon, Yoh-Ch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5-581
    • /
    • 2010
  • This investigation was aimed at developing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by utilizing probiotics and whey protein hydrolysates carrying bioactive peptides. Cheddar cheese whey was ultrafiltered. The 18% protein retentate was subjected to protein hydrolysis using Neutrase. The hydrolyzed retentate was further condensed to 35% total solids and spray-dried at $75^{\circ}C$ outlet air temperature. Different levels of sugar, citric acid and stabilizer were blended for spray-dried hydrolysates. Spray-dried hydrolysate was further inocul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probiotics grown in a whey medium and dried in fluidized-bed drier at $40^{\circ}C$ to obtain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Hydrolysis was greatest at an enzyme:substrate ratio of 1:25 for 3 h. Spray-dried hydrolysate reconstituted to 1% protein and blended with 15% sugar, 0.2% citric acid and 0.15% xantham gum resulted in a superior product with no sedimentation. Accordingly, sugar, citric acid and xanthum gum were dry-blended with spray-dried hydrolysates. Bifidobacterium bifid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that was grown separately in a whey medium, blended to produce 2% spray-dried hydrolysate and dried as described above resulted in a readyto-reconstitute beverage mix. The fluidized dried product typically exhibited a probiotic count of $10^8$colony forming units (CFU)/g. However, blending of probiotic to the retentate and direct spray-drying precipitously reduced the probiotic count to $10^4$ CFU/g of powder.

포도 식초 첨가 건강음료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ape Vinegar Added Drink Grape Vinegar)

  • 최남순;박홍주;전혜경;김미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7
    • /
    • 2002
  • To develop the processing methods of grape and increase the use of poor fruits, we researched the health drink made with them after making grape juice and vinegar. The grape heated at $80^{\circ}C$ during 30min was followed by filtration. Grape vinegar was prepared by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Optimum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6-8%. Acetic acid fermentation of grape vinegar manufactured in onggi took 9 days and was faster than any other type of utensil.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grape vinegar fermented in the various ratio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 the redness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the score of sensory evaluation were higher in vinegar made with 100% 'Campbell Early'. The drink manufactured by adding grape vinegar was developed and adding 10% of grape vinegar to volume of grape juice and water mixture(1:1) was best in sensory evaluation. In this mixture, sugar content was $14^{\circ}$Bx.

  • PDF

고사리 열수 추출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산성 다당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s Activating Complement System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오병미;권미향;나경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1994
  •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 Korean win edible plant,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HPA-1) was obtain ed by methanol reflux, ethanol precipitation, dialysis, and lyophilization. HPA-1 contained 81.80% of total sugar, 30.40% of uronic acid, and 15.60cA of protein. HPA 1 was purified consecutively by cetavlon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including ion exchange nth DEAE-Sepharose CL 6B and gel permeation with Sephadex G-100 and Sepharose CL-6B. HPA-2- IVa and HPA-Va-2 were nearly homogeneous on HPLC and had 500,000 and 560,000 daltons of molecular weights, respectively. HPA-2-Wa consisted of fucose,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40 : 0.97 : 1.88. HPA-2-Va 2 was composed of rham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00 : 1.38 : 1.39. The polysaccharides were found to activate the C3 component both In the presence and In the absence of Ca2+ through the crossed-immunoelectrophoresis suggesting that those Involved in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 PDF

유자로부터 펙틴의 추출 및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Citron Peel)

  • 박수미;이현희;장해춘;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9-573
    • /
    • 2001
  • 본 연구는 유자 과즙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유자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펙틴 물질을 추출하여 그 수율을 측정하였고, 추출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로서 무기산은 HCl을, 그리고 유기산은 citrate 와 tartrate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대하여 추출비율을 달리하여 펙틴을 추출한 결과 1:20이 가장 좋은 비율(건조 유자박: 용매, w/v)로 나타났으며, 사용한 추출용액의 최적 농도는 무기산인 경우는 0.05N, 유기산인 경우는 0.1N이었다. 펙틴 추출과정에서 펙틴에 잔존하는 당을 제거하기 위해 95% ethanol로 1차 펙틴을 침전시킨 후, 65% ethanol로 6회 세척하였다. 펙틴의 추출 수율은 0.05N HCl은 18.7%, 0.1N citrate는 15.5%, 그리고 0.1N tartrate는 11.4%이였다. 추출한 펙틴의 DE는 42.97~47.55%로 low methoxyl pectin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intrinsic viscosity는 0.94~2.63의 범위였다. 분리한 펙틴의 당조성은 무기산으로 추출된 펙틴(4.2~4.7%)이 유기산으로 추출된 펙틴(15~19%)에 비하여 arabinose가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rhamnose, xylose, glucuronic acid, galacturonic acid, galactose 그리고 glucose의 당 함량은 추출된 세 종류의 펙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 정창호;허재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239
    • /
    • 2002
  •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과산 첨가량에 따른 오리 육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ck Stock by the Addition of Malic Acid)

  • 김기쁨;김동석;송정식;최수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3-271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duck stock using various nutritional elements in duck bone by the addition of malic acid (0.5%, 1.0%, 1.5% and 2.0%). Moisture contents, b value, and pH were decreased, while the L value, a value, salinity, and sugar contents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atio of malic acid. Thirty four types of free amino acid were detected, and the highest individual amino acid content was 1.0%. In a test for different attributes, malic acid content significantly affected properties including color intensity, transparency, acid flavor, savory flavor, acid taste, and savory taste. In the acceptance test, a malic content of 1.0% was preferred for appearance, taste, and overall quality. The optimal malic acid content for maximizing the overall quality of duck stock was 1.0%.

무 잼 재료 혼합비율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Chinese Radish (Raphanus sativus L.) Jam)

  • 박정은;김미정;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35-243
    • /
    • 2009
  • 본 연구는 무의 저장성을 높이고 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반응표면분석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무 잼 제조 시 최적의 재료 혼합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잼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설탕, 펙틴과 구연산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45{\sim}70%$, $0.5{\sim}2.0%$, $0.2{\sim}0.5%$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모델링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당도, 명도, 적색도, 황색도, 견고성은 linear 모델이, 관능검사 모든 항목에서는 quadratic 모델이 설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도와 관능검사 항목 중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이고, 적합결여검증의 결과에서도 적색도와 관능검사 중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5% 이내의 유의성을 보여 모델의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반응표면과 trace plot의 결과 설탕과 펙틴 첨가율이 많아질수록 색은 어둡고 노랗게 되었고 견고성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설탕 첨가율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적정 수준 이상의 설탕, 펙틴과 구연산을 첨가할 경우에는 좋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무 잼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을 설정한 결과 설탕 53.7%, 펙틴 1.0%, 구연산 0.3%로 설정되었고, 이 조건으로 직접 무 잼을 만들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와 예측한 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본 실험의 최적 조건으로 만든 무 잼의 경우 시판하고 있는 잼의 당도와 견고성의 중 간 값 정도의 범위에 포함되어 잼으로서의 상태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를 이용한 잼 가공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무 잼의 최적의 상태를 만들기 위한 조건도 설정되어 이를 이용한 무 잼의 산업화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선량 X선 조사 수입 오렌지의 상온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Dose X-Ray Irradiated-Imported Navel Orange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20℃))

  • 노단비;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9-116
    • /
    • 2016
  • X선 조사에 의한 수입 오렌지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방사선 식품 검역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국산 Navel orange에 선량 0.2, 0.4, 0.6, 0.8, 1.0 kGy의 X선을 조사하여 상온($20{\pm}0.1^{\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색도, 경도, 당산비, 총당, 환원당, 비타민 C 함량을 조사하였다. 색도, 당산비, 총당 및 환원당 함량, 비타민 C 함량은 조사선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경도는 저장 후기에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차이가 점차 감소하며 비조사구와 다른 조사구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환원당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비조사구와 조사구는 단맛과 질감을 제외하고는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저장기간과 조사선량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X선 조사는 오렌지의 관능적 특성과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훈연공정을 첨가하여 제조한 발아콩 청국장의 맛 성분 변화 (Changes in Taste Component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by the Addition of Smoking Process)

  • 박화영;최원석;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99-506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taste components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s, which is produced by the addition of a smoking process.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of smoked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s (SCGS) was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smoked cheonggukjang made with non-germinated soybeans (NCNS).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of SCGS was lower than that of non-smoked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s (NCGS).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NCGS and SCGS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NCN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NCG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NCNS, wherea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SCGS was 1.2 times higher than that of NCGS.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SCG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NCGS. The ratio of glutamic acid to the total free amino acid in NCNS and SCGS was 19.6%. Similarly, the ratio of glutamic acid to the total free amino acid in NCGS was 19.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of NCNS, NCGS, and SCGS. The sensory evaluation of appearance, aroma,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SCG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NCNS and NC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oked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s c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novel fermented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