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rose concentration

검색결과 738건 처리시간 0.029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인삼 Root 액체배양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Ginseng Roo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오훈일;장은정;이시경;박동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58-63
    • /
    • 2000
  •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인삼 root를 생산하고자, 식물생장조절물질로 유도된 인삼 root를 사용하여 최적액체배양조건을 RS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적액체배양조건을 배지의 pH, sucrose 농도, nitrogen 농도, phosphate 농도의 3 level-4factor의 fractional factorial design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인삼 root의 생장율은 최저 1.00g에서 최고 2.33g까지 나타났다. 다중회기분석으로 구한 model식을 가지고 등고분석과 3차원분석을 수행한 후 독립변수의 최저 또는 최고수준에서 조속변수가 최대치를 나타내지 않는 배지의 pH와 sucrose농도의 변수에 대하여 model식을 편미분한 결과 인삼 root의 최적액체배양조건은 pH5.6, sucrose 3.8%, nitrogen 50mg/L, phosphate 80.7mg/L로 예측되었다. 이렇게 결정된최적조건값들을 model식에 대입하여 얻은 예상치는 2.36g 이었다.

  • PDF

자당 수용액을 이용한 Thalictrum rugosum 식물세포배양에서의 berberine 생산성 증진 (Enhanced Berberine Production in Sucrose Solution by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s of Thalictrum rugosum)

  • 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222-228
    • /
    • 1992
  • Thalictrum rugosum세포배양에서 세포증식 및 berberine생산에 미치는 자당 수용액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순수한 자당 수용액내에서는 무시할만한 세포증식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berberine생성의 증가가 있었다. 자당의 농도가 높은 경우 세포의 수분 함유량이 매우 낮아졌으며 세포당 berberine생성량은 4배나 증가되었다. 최적 자당 농도는 8%로 확인되었다. 8%자당 수용액상에서의 회분배양 결과, 이 방법의 장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접종후 최소 5일 이상은 지나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생장조절제, 무기염류 등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형질전환된 식물세포에서 Sucrose 농도가 hGM-CSF 생산에 및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rose Concentration on the Production of hGM-CSF in Transgenic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

  • 이진옥;심두희;주치언;김동일;이동근;이재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63-16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담배세포에서 sucrose의 농도가 배양 배지내 분비된 hGM-CSF, 총분비 단백질, 그리고 단백질 분해효소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다. 10, 30, 60, 90, 120, 150 g/L의 sucrose 농도로 배양한 결과 sucrose농도가 30g/L일 때 건조중량은 11.22g/L, 분비된 hGM-CSF의 양은 181.53 $\mu\textrm{g}$/L, 그리고 총단백질은 66.8 mg/L.로 시료채취 5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단백질 분해효소는 sucrose농도가 120 g/L일때 2660 U/L.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0일째 sucrose농도 60 g/L에서 건조중량이 28.36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분비된 hGM-CSF의 최대 값은 95 $\mu\textrm{g}$/L.로 sucrose농도가 150 g/L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ureobasidium pullulans의 성장 및 플루란 생산에 미치는 고농도당의 저해효과 (Inhibition effect of sugar concentrations on the cell growth andthe pullulan production of aureobasidium pullulans)

  • 신용철;한종권;김영호;이현수;변시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0-366
    • /
    • 1987
  • For the production of pullulan from the high concentration of sugar, the utilization of sugars by a pullulan-producing fungus, Aureobasidium pullulans was examined. A. pullulans showed the different utilization patterns for sugars such as sucrose, maltose, and maltotriose. Especially for maltotriose, the hydrolysis of sugar was accompanied by a transferase activity. Glucose and maltose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cell growth and the pullulan production at the sugar concentration higher than 0.28M, but sucrose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at the sugar concentration higher than 0.14M. Among the sugars examined, sucrose gave the best result for the pullulan production. 27.5g/l of pullulan was obtained from 5% sucrose.

  • PDF

희귀.멸종위기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화분의 최적 발아 조건 (Optimal Condition for Pollen Germination of Rare and Endangered Forsythia saxatilis)

  • 한심희;강혜진;김길남;김두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36-142
    • /
    • 2013
  •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Nakai)의 개화와 결실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개화 생리의 기초 연구로서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산개나리의 화분 시료는 3월말부터 4월 초 개화시기에 맞춰 채취하였다.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최적 배양 온도, 배지 설탕 농도 및 배양 시간을 먼저 선정한 후, 가장 적당한 배지 pH를 결정하였다.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은 발아 온도, 배지 설탕 농도 및 발아 시간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발아 온도와 발아 시간, 발아 온도와 배지 설탕 농도 및 발아 시간과 배지 설탕 농도 간에 상호 효과가 나타났다. 산개나리의 화분 발아율은 $10^{\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지 설탕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은 증가하였으나, 발아 시간과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15% 이상의 설탕 농도에서는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화분 살포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에도 화분 발아율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화분 발아율은 pH 5에서 20.8%로 가장 높았으며, pH 6에서 3.8%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산개나리 화분의 적정 발아 조건은 발아 온도 $10^{\circ}C$, 배지 설탕 농도 15% 및 배지 pH 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분 발아 조사는 화분 살포 24시간 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알코올 농도가 매실 리큐르의 제조 중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이신호;박나영;채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2-556
    • /
    • 2007
  • 매실리큐르 제조시 사용되는 알코올 농도에 따른 숙성 중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도의 경우, 알코올 농도 30%, 45% 처리구는 숙성 2개월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H와 색상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액의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숙성 중 polyphenol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30%와 45% 처리구의 경우 숙성 3개월째 각각 630.6, 686.1 ppm 60% 처리구는 숙성 4개월째 791.1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담금액중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알코올 농도에 관계없이 sucrose와 maltose에 비해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높았다. 매실 리큐르 숙성 중 총 유기산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농도와 관계없이 citric, lactic, malic, succinic 및 acet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고 알코올 매실리큐르의 제조용 주정의 농도는 45%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숙성기간은 2개월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grobacterium sp. ATCC 31750의 고농도 세포배양

  • 장정균;차월석;강시형;박재억;이중헌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245-246
    • /
    • 2000
  • Agrobacterium sp.에 의해 생산되는 커들란은 2차 부산물이기 때문에 이의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고농도 세포배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세포배양을 실현하기 위하여 탄소원 과 질소원을 제어 공급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초기 탄소원의 농도가 20g/L일 때 24시간 내에 모두 소모되었으며 생산된 세포의 농도는 6g/L였다. 고농도의 탄소원을 이용하여 배양조내의 설탕의 농도가 10g/L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쉽싸리의 기내 마디배양 시 탄소급원의 종류와 농도가 식물체 재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 source and concentration on in vitro regeneration and propagation in Lycopus lucidus by node culture)

  • 이나념;김지아;김용욱;김태동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31-1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쉽싸리의 재분화와 순화에 영향을 주는 탄소급원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물체 재분화는 1/2MS 배지에 3 ~ 10%의 sucrose와 glucose를 각각 다른 농도로 처리하여 재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3%와 5% sucrose 처리에서 줄기증식과 발근이 증가되었으며, 고농도 처리에서는 줄기와 뿌리 길이 등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기외 순화 중 3% 혹은 5% sucrose 처리 배지에서 생육한 식물체의 뿌리비대, 뿌리길이, 줄기 길이 및 생존율은 glucose 및 다른 농도처리와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3% 및 5% sucrose 처리는 쉽싸리의 기내 생육과 순화를 위해 가장 적정한 농도로 확인되었다.

일부 중학생의 생활습관, 식습관, 음식 선호도 및 섭취빈도가 단맛의 민감도와 최적당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estyle, Dietary Habit, 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n Sweet Taste Sensitivity and Prefere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 김가희;이홍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6호
    • /
    • pp.531-54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detection threshold and the optimally-preferred concentration for sweet taste, since investigation into factors decreasing sensitivity or increasing preference for sweet taste is important to prevent overconsumption of simple sugar. Subjects were 70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gi-Do. The detection threshold concentration of sucrose solution and the optimally-preferred sucrose concentration of omija jelly were determined by sensory evalua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the information regarding health-related lifestyle practices, dietary habits, preference for and eating frequency of Westernized foods and frequencies of eating foods other than home-made. The detection threshold concentration of sucrose solution and the optimally-preferred sucrose concentration of omija jelly of the subjects were 0.204% and 14.44%, respectively. Subjects who exercise less (< 30 minutes/week except PE class), skipping meals (${\geq}$ 3/week), type of breakfast rather than traditional Korean meal and frequent eating out and buying foods from school tuck-shop tended to have higher sweet taste threshold.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crose threshold concentration and fried chicken preference or eating frequency of hamburger. Those who exercise less (< 30 minutes/week except PE class) did have significantly higher optimally-preferred sweetness of omija jelly, which tended to be higher in the subjects who had more (${\geq}$ 4 out of 10) behavioral or psychological stress symptoms and who had early getting-up time (before 7 am).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optimally-preferred sweetness of omija jelly and pizza preference, instant noodle eating frequency or sum of eating frequencies of five fast food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make efforts to stop skipping meals, exercise more, eat Korean traditional breakfast and reduce the frequencies of eating out and using instant/fast foods in order to prevent overconsumption simple sugar.

Effect of Sucrose Stearate on the Sensory-Related Quality of the Broth and Porridge of Ready-To-Eat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 Triyannanto, Endy;Lee, Keun Ta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55-864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ory-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broth and porridge of ready-to-eat (RTE)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with sucrose stearate added at various concentrations (0.1%, 0.2%, and 0.3%) during storage at $25^{\circ}C$ for 12 mon. Scores indicating the lightness and size of fat droplets in the broth increased during storage as the sucrose stearate concentration increased, while the clarity scores decreased until 9 mon and the taste scores decreased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p<0.05). The porridge lightnes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stearate increased after 6 mon (p<0.05), while scores indicating the softness and vividness were higher for treated samples with sucrose stearate than for the control group after 3 mon, despite a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 groups (p>0.05). The taste scores were lower for treated porridge samples than for the control group (p<0.05), eve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 groups (p>0.05). The addition of sucrose stearate to the RTE Samgyetang broth improved the lightness (CIE $L^*$) value of the broth and various sensory palatability parameters, including the color and fat droplet size of the broth and the softness and vividness of the porridge, despite reductions in broth clarity and taste scores for the broth and porridge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