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way accessibili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지하철 접근성 증가의 공간적 파급효과 산출모형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Estimation of Nodal Accessibility Increment in the Subway Network)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7-149
    • /
    • 1998
  • 교통망의 확충계획이 있거나 확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그로 인한 직접적인 접근성 증가와 더불어 교통망의 개선에 따른 접근성 증가의 주변지역으로의 파급효과를 정확히 신출할 수 있다면 지역 전체의 접근성 공간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어 교통을 포함한 각종 지역계획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그래프이론에 기반을 둔 접근성 측정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결정점의 접근성 증가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효과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특히 결정점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으로 거리가 멀어지면서 변화하는 지하철 접근도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지하철역의 접근도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정도는 주변지역에서 그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정도와 일치한다고 보고 주변지역의 지하철역 이용밀도를 기반으로 수학적 함수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최근 지리적 분석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GIS기법에 접목시켜 지표현상의 설명에 핵심이 되는 접근성의 공간적 보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 PDF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접근성과 공간적 형평성 (Accessibility and Spatial Equity of Subway Networks in Seoul)

  • 송예나;이금숙;장한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3-525
    • /
    • 2019
  •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개통되어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지하철은 최근 전체 여객 통행의 40% 정도를 담당하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따라서 지하철 접근성이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을 비롯한 대중교통 자원은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아 이로 인한 혜택이 불균등하게 배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와 형평성을 살피고자 한다. 지하철 접근성은 역 간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형평성은 지니계수를 적용하여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지하철 접근성은 중심부-주변부 패턴을 보이며 중심업무지구는 높게 서울시 외곽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지하철 네트워크는 인구 및 대중교통 의존 계층의 공간 분포보다 고용자 분포를 고려해 보았을 때 보다 공평하게 배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통 이후의 지하철역 거리에 기반한 주택가격의 시간적 반응 - 개통 후 10년의 대전 도시철도를 중심으로 - (Temporal Reaction of House Pri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Subway Station since Its Operation - Focused on 10-year Experience after Opening of the Daejeon Urban Transit Line -)

  • 강재원;성현곤
    • 국토계획
    • /
    • 제54권2호
    • /
    • pp.54-66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whether a subway accessibility impact on house price is constant since its operation over time or not. The study was approached specifically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Are there significant temporal vari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way accessibility and housing price transacted after its opening?" The other one is "How the pattern of its temporal variation in housing price is form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station?" The study area is the subway station areas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Its first subway line has started to be opened in 2006 with 12 stations and then opened its additional 10 stations in 2007. It can be more appropriate to observe its impacts of subway accessibility on housing price because it has only one transit line with more than 10-year reaction term to its operation. The study employed alternative models to estimate yearly variation of subway accessibility on house price for the station areas with 500-meter and 1-kilometer radius respectively. While the study originally considered both a hedonic price model with interaction terms of its access distance to yearly transacted housing and a time-variant random coefficient model, the former model was finally selected because it is better fitted.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the reaction of house price to its transit line had significant temporal variation over time after opening. In addition, the pattern in its variation from our analysis results indicates that its capitalization impact on house price is over-estimated in its first several years after the opening. In addition, its positive capitalization impact is more effective in the 1000-meter station area than in the 500-meter one.

Subway Network Expansion and Spatial Restructuring of Accessibility in Seoul

  • Lee, Keum-Sook
    • 지역연구
    • /
    • 제11권2호
    • /
    • pp.53-63
    • /
    • 1995
  • Changes in transport are reflected in the accessibility of a place, which is denoted as the inherent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a place with respect to overcoming spatial friction, and affect the land use ultimately. A composite accessibility measurement scheme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bway network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in 1972. Changes in the transport network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and affect ultimately the land use pattern. Therefore, it is of relevanc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which allows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 PDF

수정반복매매모형을 활용한 시설접근성의 변화가 주택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하철 9호선을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Time-Varying Accessibility of Facilities on Housing Price Change by the Modified Repeat Sales Model - The Case of Subway Line 9 in Seoul -)

  • 성현곤;김진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77-487
    • /
    • 2011
  • 본 연구는 수정반복매매모형을 활용하여 아파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설물의 신설이나 환경의 변화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하철 9호선 주변의 아파트단지를 사례대상지로 한 분석결과, 주변 시설까지의 접근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간에 따라 매우 다른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된 이후에 지하철과의 접근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현격히 증가한 반면, 쇼핑시설이나 병원 등은 가격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지하철 이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초등학교 접근성은 지하철 개통이후에도 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시설의 입지가 주변주택가격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의 영향력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성 분석 (Network Structures of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s)

  • 박종수;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59-47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 분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복잡성 분석을 통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의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하철 망을 점과 선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의 복잡성 분석에서 계산하는 다양 지표들을 산출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해 움직이는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도권 지하철망의 구조적 특징을 찾아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의 적용으로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역과 역 사이의 시간거리와 실제거리에 대해 최단경로를 탐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최단경로거리와 최단거리의 분포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단 경로거리와 최단 거리의 합을 산출하여 수도권 지하절망을 통하여 각 역에서 다른 모든 역들에 도달하기 용이한 정도를 의미하는 접근성 지표로 삼고, 이를 GIS를 사용하여 수도권의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고 그의 공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 PDF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OD Design Factor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 문영일;노정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11-220
    • /
    • 2011
  •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의 환경 변화를 통하여 국내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시키기 위해서는 TOD 통합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유형과 이용수요에 관한 실증분석이 전제되어야 향후 계획수립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접근도의 변화에 따른 역세권의 토지이용변화와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 건대역을 사례로 하여 (A Study of Land Use Change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urrounding Area of KonKuk Subway St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ccessibility)

  • 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9-90
    • /
    • 1997
  • 본 연구는 지하철 노선망에 따른 각 역들의 접근도를 산출하는데 있어 그래프 이론을 수정한 모델을 적용하여 접근도의 변화가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것이다. 사례지역은 지하철 제 1기와 2기 노선의 증설에 따라 접근도가 상당히 향상된 건대역 주변으로, 접근도의 변화에 따른 역세권의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지하철 개통 전${\cdot}$후를 중심으로 지가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간선도로변에서의 상승율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제 2기 노선의 건설로 인해 간선돌변 뿐만 아니라 지선도로변에서도 지가의 상승과 고밀도화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승역인 건대역의 역세권역은 상세계획지구로 설정되어있어 앞으로 고밀도화된 상업지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새로운 강북 동부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보다 종합적인 개발방향을 모색하였다.

  • PDF

DETERMINANTS OF APARTMENT R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PATIAL ECONOMETRIC APPROACHES

  • Lee, Dongsung
    • 도시과학
    • /
    • 제9권1호
    • /
    • pp.33-40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r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spatial econometrics approaches. Since spatial econometrics approaches have advantages to solve limitations of ordinary multiple regression such as spatial depend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This research includes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number of rooms and baths, neighborhood variables such as number of housing units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location variables including distances to subway stations, to traditional markets, to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urban services such as parks, etc.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essibilities to the CBD, to subcenters, to subway station, to school, and to parks contribute to apartment rent uplift and also shows different spatial variations in rent premiums by accessibility variables. In particular, apartments located south of Han river along the Lines 2, 3, 7 and 9 have the highest rent premiums due to the accessibility to the subway.

근린의 토지이용과 대중교통시설 보행접근성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대상으로 (Impacts of Neighborhood's Land Use and Transit Accessibility on Residents' Commuting Trips - A Case study of Seoul)

  • 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593-4601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근린의 토지이용과 대중교통시설 보행접근성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4,071명의 통근통행 자료를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임의절편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린의 주거밀도와 토지이용혼합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보행거리가 짧을수록 통근통행에서 승용차보다 지하철을 이용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밀 복합개발을 유도하고 대중교통시설의 보행접근성을 높여주는 도시정책은 대중교통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하철역의 보행권 범위를 산정한 결과 약 432~525m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