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way

검색결과 2,099건 처리시간 0.025초

지하철 건설에 따른 공간적 영향 분석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아파트가격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tial Impact With Seoul Subway Line 7 Construction)

  • 여홍구;최창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55-162
    • /
    • 2004
  • In order to account for a price variation of apartment that places near a newly constructed subway station, a spatial hedonic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spac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a purchasing price of an apartment using a White Estimator. In particular, the paper aims to examine various effects of subway 7 construction on an apartment price in Seoul Metropolitan Area. As explanatory variables, an apartment size, distance to a closest subway station, distance to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of Seoul, the number of years after building, and a lagged variable of the apartment purchasing price were used. The lagged variable plays a role of representing a spatial weighted average of previous prices of other apartments that locate within 3 km from the apartment. For a precise study, an entir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sets, southern area and southwestern area of Seoul, and two different spatial hedonic models were estimated. Not only before and after analysis, but also with and without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with different effect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wo areas. The results show tha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subway 7, the prices of the apartments in the southern area were more sensitive to the apartment size, the distance to a closest subway station, the distance to the CBD, and the prices of the other apartments locating within 3km rather than those in the southwestern area. After the construction, on contrast, it is found that the apartment purchasing prices in the southwestern area are more sensitive than those in the southern area due to people's expectation regarding a new development around the subway station. In addition, the prices of the apartments locating closely with a transfer station are more likely to go up by increase in the apartment size, the distance to the station, and the prices of the other apartments within 3 km. Compared with the negative effects of the distance to the station on the prices in the other models, the positive effect of the distance to the transfer station might b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rea in which people are not likely to live.

서울 도시철도 환승역의 통행구간별 서비스만족도 평가 (Service Satisfaction Evaluation of Each Travel Section in Seoul's Subway Junctions)

  • 오미영;김장욱;박동주;손의영;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5-93
    • /
    • 2010
  • 기존 대중교통 서비스평가 시스템이 이용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도시철도 환승역을 대상으로 통행구간별 서비스 지표를 선정하고 평가하였다. 통행구간은 (1) 역사접근, (2) 역입구에서 승강장, (3) 승강장, (4) 환승통로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서비스 평가지표를 선정한 후,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계층화기법(AHP)을 통해 통행구간 및 서비스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26개 환승역을 중심으로 2000명의 이용자에게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역사접근과 환승통로가 가중치 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서비스이더라도 통행구간에 따라 서비스의 가중치는 다르게 나타났다. 만족도는 승강장에서의 안락도, 환승통로에서의 혼잡도, 역입구-승강장의 타수단의 환승정보 제공정도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IPA분석결과, 환승통로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가 가중치는 상대적으로 높으나 만족도는 낮아서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서울시 지하철 네트워크의 접근성과 공간적 형평성 (Accessibility and Spatial Equity of Subway Networks in Seoul)

  • 송예나;이금숙;장한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3-525
    • /
    • 2019
  • 서울시 지하철은 1974년 개통되어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지하철은 최근 전체 여객 통행의 40% 정도를 담당하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따라서 지하철 접근성이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을 비롯한 대중교통 자원은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아 이로 인한 혜택이 불균등하게 배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와 형평성을 살피고자 한다. 지하철 접근성은 역 간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형평성은 지니계수를 적용하여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지하철 접근성은 중심부-주변부 패턴을 보이며 중심업무지구는 높게 서울시 외곽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지하철 네트워크는 인구 및 대중교통 의존 계층의 공간 분포보다 고용자 분포를 고려해 보았을 때 보다 공평하게 배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Chemical Properties and Source Profiles of Particulate Matter Collected on an Underground Subway Platform

  • Ma, Chang-Jin;Lee, Kyoung-Bin;Kim, Shin-Do;Sera, Koichir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2호
    • /
    • pp.165-172
    • /
    • 2015
  • Under a very tough situation that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to the air quality in underground subway spaces, this study set sights on the thorough estimati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articulate matter (PM) collected on an underground subway platform by a cooperative approach of semi-bulk and single particle analyses. The size-resolved PMs were intensively collected on the platform of Miasageori station on the Seoul Subway Line-4, and then, they were semibulkily analyzed by a PIXE and the TOR$^{(R)}$ method, and individually analyzed by a SEM-EDX. Overwhelmingly enriched iron was a notable feature of elemental concentration of $PM_{2.5}$. Source classification of iron in $PM_{10-2.5}$ and $PM_{2.5}$ performed along with their elemental concentrations, indicates that the railway originated iron accounts for 95.71% and 66.39% of total iron in $PM_{10-2.5}$ and $PM_{2.5}$, respectively. Via a stoichiometric categorization, $Fe_2O_3$, $CaAl_2Si_2O_8$, $Al_2O_3$, and $CaCO_3$ show more than 85% abundance ratio in individual coarse particles. The result of theoretical estimation of the subway derived organic carbon ($OC_{Subway}$) suggests that $OC_{Subway}$ in $PM_1$ and $PM_{2.5-1}$ account for 75.86% and 51.88% of total organic carbon, respectively.

지하철 환경조형물에 대한 지역별 이용 승객 인식도 분석 (Awareness of Passengers Using Subway Stations About Environmental Sculptures Installed in Subway Stations)

  • 최철형;조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46-456
    • /
    • 2010
  • 지하철역사의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승객운송을 위한 기능주의적 정거장에서 벗어나 획일적인 지하공간을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창조하며 지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시각적 지표내지는 지역의 고유한 이정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지하철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입장보다는 공공설치물이나 공공예술이란 범주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기대에 대한 다수의 유의한 감정의 공감대 형성에 필요한 디자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철 환경조형물 설치에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선호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지역별 이용자에 대한 환경조형물의 인지도와 선호도 및 작품의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경조형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역사 환경의 특성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하철 환경의 시각적 질을 저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탑승 패턴 분류 (Classification of Subway Trip Patterns from Smart Card Transaction Databases)

  • 박종수;김호성;이금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91-100
    • /
    • 2010
  • 서울 수도권 지하철 승객들의 탑승 패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도권 지하철 시스템을 입안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패턴을 탐사하거나 귀중한 패턴의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새로운 지하철 탑승 분류를 정의하고 하루 약 천만 건 트랜잭션들로 구성된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하철 승객들의 11 가지 탑승 패턴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탑승 패턴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하루 동안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왕복-탑승 패턴, 통근 패턴, 예상치 못한 흥미로운 패턴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각 분류된 패턴에 대해서 시간대별로 승객수를 지하철 트랜잭션의 승차시간과 하차시간 기준으로 그래프로 설명하여 유용한 패턴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지하철 접근성 증가의 공간적 파급효과 산출모형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Estimation of Nodal Accessibility Increment in the Subway Network)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7-149
    • /
    • 1998
  • 교통망의 확충계획이 있거나 확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그로 인한 직접적인 접근성 증가와 더불어 교통망의 개선에 따른 접근성 증가의 주변지역으로의 파급효과를 정확히 신출할 수 있다면 지역 전체의 접근성 공간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어 교통을 포함한 각종 지역계획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그래프이론에 기반을 둔 접근성 측정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결정점의 접근성 증가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효과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특히 결정점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으로 거리가 멀어지면서 변화하는 지하철 접근도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지하철역의 접근도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정도는 주변지역에서 그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정도와 일치한다고 보고 주변지역의 지하철역 이용밀도를 기반으로 수학적 함수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최근 지리적 분석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GIS기법에 접목시켜 지표현상의 설명에 핵심이 되는 접근성의 공간적 보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 PDF

서울 지하철 객차 내 PM10과 CO2의 농도 변화 (PM10 and CO2 Concentrations in the Seoul Subway Carriage)

  • 손홍지;류경남;임종권;장경조;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4-460
    • /
    • 2009
  • The subway is the maj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Seoul with 2.2 million people using it everyday. Indoor air pollution in the subway can be a significant part of population exposure because of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subway, time spent in transit and potentially high exposure for certain pollutants.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has established the level 2 of recommended standards of $PM_{10}$ and $CO_2$ in subway train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irborne levels of $PM_{10}$, $CO_2$ and any correlation between pollutant levels and number of passenger in a subway train. The airborne $PM_{10}$ and $CO_2$ were measured on the inside of trains on line #4 for 4 different days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8. Average $PM_{10}$ and $CO_2$ levels were $113{\pm}25{\mu}g/m^3$ and $1402{\pm}442$ ppm, respectively. These levels did not exceed the level 2 of recommended standards of $250{\mu}g/m^3$ for $PM_{10}$ and 3500 ppm for $CO_2$. $PM_{10}$ level was not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assengers, while $CO_2$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assenger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PM_{10}$ in subway trains may have sources other than thos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passengers.

지하철 급행노선을 고려한 내부환승 추정방안 - 스마트카드 자료기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Estimating Internal Transfer Trips Considering Subway Express Line - Focusing on Smart Card Data Based Network -)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613-621
    • /
    • 2019
  • 지하철역사의 일반적인 환승통행은 노선간환승과 역사환승을 의미한다. 노선간환승은 다른 두 노선의 열차를 갈아타기 위하여 환승통로와 같은 수평보행시설을 통해 이동한다. 역사환승은 스마트카드 진출입 단말기노선과 승하차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하는 보행통행으로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수직보행시설을 이용하면서 환승통로를 함께 이용하는 통행이다. 이러한 환승의 가정은 지하철 네트워크를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완행 또는 급행의 단일노선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완행과 급행이 동일노선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노선내에서 발생되는 환승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았다. 노선내환승은 메트로9호선과 같이 급행 및 완행 정차역이 동일노선에서 운행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카드 자료기반의 급행 및 완행열차가 동일노선에 존재하는 지하철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노선내환승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급행 및 완행열차를 분리하기 위한 네트워크확장기법을 구축하고 최소시간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노선의 내부 환승이 재현되는 경로선택모형을 제안한다.

부산지역 지하역사의 최근 3년간(2015~2017년) PM10과 PM2.5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at Subway Stations in Busan for 3 years (2015~2017))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581-594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s at the main subway stations in Busan. Annual mean $PM_{10}$ concentrations at the Seomyeon 1- waiting room and platform were $51.3{\mu}g/m^3$ and $47.5{\mu}g/m^3$, respectively, and the annual $PM_{2.5}$ concentration at the Seomyeon 1- platform was $28.8{\mu}g/m^3$. $PM_{2.5}$/$PM_{10}$ ratio at Seomyeon 1-platform and Dongnae station were 0.58 and 0.53, respectively. Diurnal variation of $PM_{10}$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s in Busan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aks and the times at which the peaks occurred. Unlike the areas outside of the subway stations which reported maximum $PM_{10}$ concentration mostly in spring across the entire locations, the interiors of the subway stations reported the maximum $PM_{10}$ concentration in spring, winter, and even summe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PM_{10}$ concentration was highest on Saturday and lowest on Sunday. The numbers of days when $PM_{10}$ concentration exceeded $100{\mu}g/m^3$ and $80{\mu}g/m^3$ per day over the last three years at the subway stations in Busan were 36 and 239,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enhace the understanding of the fine particle characteristics at subway stations in Busan and be useful for developing a strategy for controlling urban indoor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