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surface flow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5초

열화상을 이용한 몰드변압기 권선표면 진단 (Diagnostic Technique for Mold Transformer Windings using Thermal Image)

  • 임용배;정종욱;정진수;고원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107-109
    • /
    • 2005
  •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d to estimate condition of an electrical apparatus is an absolute reference for the apparatus condi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current one. Because a passive thermography without the external thermal stimulation shows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object and back ground, the results can apply only to the estimation or the monitoring for the condition of terminal loose and the overload pertaining to the rise in temperature. However, a thermal flow in the active thermography is differently generated by the structure and condition of the surface and subsurface. This paper presents the nondestructive testing using the behavior and deals with the results by heat injection and cooling to the apparatus. The buried discontinuity of subsurface could be detected by these techniques.

  • PDF

시설농업단지에서 HydroGeoSphere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 및 물수지 분석 (Groundwater Flow and Water Budget Analyses using HydroGeoSphere Model at the Facility Agricultural Complex)

  • 강동환;소윤환;김일규;오세봉;김수홍;김병우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313-3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표수-지하수 통합 모델을 통해 모델 영역과 시설농업단지(밀양들)의 지표수/지하수 유동을 모의하고 모델 영역의 물수지 분석을 통해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지표수 유동 모델 결과에서는 밀양강 상류(북동쪽)에서 하류(남동쪽)로 약 1~5 m의 수심으로 지표수가 유동하고 있으며, 모델지역 상류의 M01 지점에서는 지표수 유량 관측값과 모델값이 일치하고, 모델지역 하류의 M02 지점에서의 지표수 유량은 1%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지하수 유동 모델에서는 지하수 심도가 하천에서는 표고와 유사하며 산림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지하수 양수를 고려한 지하수 심도는 모델값이 관측값보다 1.5 m이내의 범위로 높게 나타난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델에서는 지하수의 함양 면적이 모델 면적의 90% 정도이고, 지하수 함양량은 $1.92{\times}10^5m^3/day$인 것으로 나타난다. 연평균 물수지 분석에서는 단위 면적당 지하수 함양량이 503.9 mm/year로서 연평균 강우량의 39% 정도로 추정된다.

자연 구릉지에서 지표하 흐름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Subsurface Flow in a Hillslope)

  • 최은호;남선우
    • 물과 미래
    • /
    • 제24권1호
    • /
    • pp.109-117
    • /
    • 1991
  • 포화-비포화 영역에서 transient흐름 해석을 위해 유체의 연속방정식과 Darcy 법칙으로부터 다공질 매체에서의 흐름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수치해는 가중잔차원리에 입각한 Galerkin 유한요소법으로 구하며, 시간도함수항에는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였다. 해석에서는 실제 자연상태에서 발생되는 부정호우자료를 이용하고 이때의 지표하 흐름 해석에 필요한 강우 주상도는 제 손실성분을 고려한 초과우량 추정모형으로부터 얻었다. 비포화 토양에서의 흐름을 고려하기 위해 투수계수, 압력수두 및 체적함수비의 상호 함수관계를 이용하였다. 모형은 대칭인 2차원으로서 비등방성, 이질 토층으로 구성하였다.

  • PDF

Numerical and laboratory investig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tomography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Heinson Tania Dhu Graham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1호
    • /
    • pp.33-40
    • /
    • 2004
  • Numerical and laborato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st the ability of Electrical Resistance Tomography-a technique used to map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subsurface-to delineate contaminant plumes.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were created to investigate survey design and resolution. Optimal survey design consisted of both downhole and surface electrode sites. Resolution models revealed that while the bulk fluid flow could be outlined, small-scale fingering effects could not be delineate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narrow glass tank to validate theoretical models. A visual comparison of fluid flow with ERT images also showed that, while the bulk fluid flow could be seen in most instances, fine-scale effects were indeterminate.

Circulation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Japan Sea) in July 1993 Determined by an Inverse Method

  • Shin, Chang-Woong;Byun, Sang-Kyung;Kim, Cheol-Soo;Seung, Young-Ho;Lee, Jae-Ha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7-97
    • /
    • 1999
  • To estimate absolute transports by advection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Japan Sea), an inverse method was applied to CTD data obtained in July 1993. The relative velocities are calculated using the thermal wind equation. The inverse model was formulated to obtain a reference velocity based on the mass conservation in each of four vertical layers within a region enclosed by hydrographic sections and the coastal boundary. The flow patterns in the surface layer are clockwise and anti-clockwise in the regions south and northwest of Ulleung Island, respectively, and a strong northward flow appears in between them. In the second layer, the flow fields are generally weak. The inverse calculation yields the southward flow along the coast, and this suggests that the subsurface low salinity water in the Ulleung Basin is supplied by the southward transport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 PDF

인공배수유역에서의 TOPMODEL의 적용 (Application of TOPMODEL at Artificially Drained Watershed)

  • 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539-548
    • /
    • 1997
  • 인공배수유역의 강우유출모의를 위한 물리적 수문모형이 DEM으로 표현된 지형정보에 근거한 TOPMODEL로부터 개발되었다. 인공배수유역에서일어날 수 있는 아홉 가지 유출 발생 시나리오가 제안되었고, 또 이것을 모형의 개발을 위해 사용했다. 모형은 배수관을 통한 유출, 지하수 유출, 지표수 유출 등으로 유출과정을 나누어서 수문거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모형은 유역의 물리적 특성을 잘 기술하고 있고 수문학적 거동에 보다 향상된 추출능력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간헐식 흐름방식을 활용한 수직·수평 습지의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he Reducing Efficiency of Vertical and Horizontal Wetland Using Intermittent Flow System)

  • 주광진;이동민;김기중;조용철;장광현;최이송;오종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42-1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물질을 활용한 여재를 이용하여 호기, 혐기의 흐름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한 수직 수평 흐름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한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 수평 흐름형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서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에서는 N.D로 확인되어 목적에 부합된 결과가 확인되었다. 실험결과에서는 SS 저감효과가 140 min, 80 min, 60 min의 운전시간에서 각각 94%, 91%, 61%의 효율을 보였고, T-P의 경우 각각의 운전시간에 따라 84%, 71%, 63%의 저감효율을 보였다. 또한 T-N의 경우 각각의 운전시간에 따라 63%, 49%, 42%의 저감효율을 보여 기존의 습지가 12~24 hr 체류시간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짧은 운전시간에도 높은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 수평 흐름 방식을 복합 적용하여 기존 인공습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진행한 것으로 어떠한 기능적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고, 향후 이에 대한 현장적용을 위한 운영 및 관리적 차원의 메커니즘 연구가 추가로 진행 될 필요가 있다.

SWAT model과 기후변화 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 기법 제안과 평가: 지리산 국립공원 중산리 일대 사례연구 (Suggestion and Evaluation for Prediction Method of Landslide Occurrence using SWAT Model and Climate Change Data: Case Study of Jungsan-ri Region in Mt. Jiri National Park)

  • 김지수;김민석;조용찬;오현주;이춘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106-11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reflecting the subsurface flow characteristics within the soil layer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in a large scale watershed. To do this, we considered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theory to evaluate the landslide occurrence with predicted soil moisture content by SWAT model based on monitored data (rainfall-soil moisture-discharg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WAT model and the monitoring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model's efficiency index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NSE) and, an accuracy analysis of landslide prediction was performed using auROC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urve) analysis. In results comparing with the calculated discharge-soil moisture content by SWAT model vs. actual observation data, R2 was 0.9 and NSE was 0.91 in discharge and, R2 was 0.7 and NSE was 0.79 in soil moistur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performing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in the area where landslides occurred in the past based on simulated data (SWAT analysis result of 0.7~0.8), AuROC showed 0.98, indicating that the suggested prediction method was resonable.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occurrence by 2050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data, it was calculated that four landslides could occur with a soil moisture content of more than 75% and rainfall over 250 mm/day during simulation. Although this study needs to be evaluated in various regions because of a case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prediction through modeling of subsurface flow mechanism,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in landslide occurrence.

Tile Drain 의 영향과 GIS를 연계한 농경지 유역에 대한 수문학적 모의 (Hydrologic Modeling of an Agricultural Watershed with Tile Drains and GIS)

  • 김상현;손광익;한건연
    • 물과 미래
    • /
    • 제29권6호
    • /
    • pp.203-215
    • /
    • 1996
  • Tile drain의 특성을 갖는 농경지 유역에서의 강우-유출 모의를 위한 물리모형이 TOPMODEL 구조로부터 개발되었다. 본 모형은 GRASS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서 DEM으로부터 제공되는 세부적인 지형정보를 기초자료로 하여 연구되었다. 9개의 가능한 흐름발생 시나리오가 제안되었고 모형개발 과정에 사용되었다. 토양 메트릭스와 til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저류 및 지체효과가 2차 선형 저수지와 함께 모의되었다. 본 연구모형으로부터 tile 흐름, 지표하 흐름 및 지표면 흐름으로부터 야기되는 유출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On the Subtropical Countercurren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Chang, Sun-duck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8
    • /
    • 1973
  • Recent dynamic computations of zonal flow and analysis of oceanographic data of CSK in winter indicate year-to year variations in the location and dynmic structure of the Subtropic Countercurren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In January 1966, the Subtropical Countercurrent migrated southward to 21$^{\circ}$- 22$^{\circ}$N Lat in association with the subsurface Subtropical Convergence. At the area of 25$^{\circ}$- 26$^{\circ}$N Lat, another surface thermal front was formed along which a stronger eastward flow of approximately 0.4kt is seen. On the section of 142$^{\circ}$E Long in January 1967, eastward flow appears at every interval of 2$^{\circ}$latitude in the northern waters of 20$^{\circ}$N L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