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merged mycelial cultur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의 형태별 송이균사의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Among the Types of Air Bubble Bioreactor)

  • 이위영;안진권;가강현;권영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9-93
    • /
    • 2003
  • 송이균사의 대량배양에 적합한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 형태를 찾고자 풍선형 및 칼럼형의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와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 송이균사체를 심부배양하여, 반응기 형태별 송이균사체의 생장특성을 비교하였고, 반응기 형태가 세포에 주는 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배양기 형태별 균사체의 에르고스테롤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반응기 형태별 송이 균사체의 생산량은 풍선형 생물반응기에서 평균 12g,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 평균 11.4g, 칼럼형 생물반응기는 평균 9.5g을 생산하여, 풍선형 생물반응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생장기간도 풍선형 생물반응기에서 균사 접종 후 16일 이후부터 정체기에 이르는 것으로 20일 이후에 나타난 칼럼형 및 기포통기형 생물반응기 보다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사체의 생장시기별 에르고스테롤의 함량은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어서 칼럼형, 기포통기식 순으로 나타나, 송이 균사체 배양시 반응기 형태에 의한 물리적 스트레스는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가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송이 균사체 배양에 가장 적합한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의 형태는 풍선형인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칼럼형 및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는 스파자 부근에서 균사체가 침적, 착생하여 점차 크게 뭉쳐 성장하면서 공기공급을 차단하는 현상이 있었으나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는 유체의 순환으로 이러한 현상은 적게 나타나 대용량의 송이 균사체 배양에 적합한 반응기 형태로는 배양기의 상부가 풍선형 반응기의 형태를 유지하고, 스파자가 위치한 하부는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의 유체 순환식 형태를 유지하도록하는 혼합형의 형태가 좋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귤피 및 녹차추출물에서 배양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의 유리아미노산 및 다당류 함량 (Free Amino Acid and Polysaccharide Content of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Fomitopsis pinicola)

  • 장경호;신경옥;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9-386
    • /
    • 2005
  • 천연배지에서 배양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균사체와 균체외 유리아미노산 및 다당류함량을 조사하였다. 배지로는 YM(yeast-malt broth), CP(citrus peel-broth) 및 GT 배지(green tea-broth)를 사용하였으며 $30^{\circ}C$, 150rpm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균사체의 수율은 GT, CP 및 YM에서 각각 42.3, 34.2 및 $9.89\%$였으며, 균사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탁도는 GT 0.14, CP 0.16, YM 0.22이었다. 균사체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YM 928.19 $mg\%$, CP 1060.53 $mg\%$, GT 764.83 $mg\%$였으며, 주 아미노산은 YM은 lysine, CP와 GT는 glutamic acid였다. 균체외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YM 659.75 $mg\%$, CP 954.55 $mg\%$, GT 838.69 $mg\%$였으며, 주 아미노산은 YM, CP 및 GT 모두 glutamic acid였다. 균사체와 균체외 total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CP>GT>YM 순이었다. 균사체의 주 아미노산 유도체는 YM은 cystathionine, CP와 GT는 hydroxy proline이였다. YM, CP 및 GT의 균체외 주 아미노산 유도체는 hydroxy proline이였다. 균사체와 균체외 AIS 함량은 CP>GT>YM순이었다. 산가용성 다당류 함량은 GT($0.69\%$)>YM($0.39\%$)>CP($0.18\%$)순, 균체외 산가용성 다당류 함량은 GT($0.87\%$)>CP($0.69\%$)>YM($0.09\%$)순이었다. 균사체의 알칼리 가용성 다당류 함량은 CP($5.21\%$)>GT($5.18\%$)>YM($4.56\%$) 순, 균체외는 GT($6.79\%$)>YM($3.57\%$)>CP($3.01\%$)순으로, 균사체 함유 다당류는 산가용성($0.18{\sim}0.69\%$)에 비하여 알칼리가용성($4.56{\sim}5.21\%$)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CP 배지에서 배양한 균사체의 알칼리가용성 다당류를 겔 여과한 결과 hexose와 uronic acid로 구성된 분자량 500,000 dalton의 다당류와 분자량 10,000 dalton이하의 단백질이 결합한 단백 다당체로 추정되었다.

Trichoderma erinaceum DG-312 신규 곰팡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galactomannan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Galactomannans Produced by a New Fungal Strain Trichoderma erinaceum DG-312)

  • 주지훈;임종민;구광본;윤종원;최장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7-292
    • /
    • 2005
  • 새로 분리된 곰팡이 Trichoderma erinaceum DG-312의 균사체 배양에 의해 갈락토만난(GMs)을 생산하여 쥐에서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5 리터 교반 발효조에서 3일 동안 배양에 의해 얻어진 균사체 및 갈락토만난의 최대 농도는 각각 9.44 g/l 및 2.72 g/l 이였다. Sepharose CL-6B 젤 크로마토그라피와 다당체 성분 분석 결과, crude 갈락토만난의 조성은 주로 mannose $(74.9\%)$와 galatose $(24.1\%)$로 구성된 이종의 다당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Trichoderma erinaceum DC-312로부터 생산된 갈락토만난은 아세트산으로 처리한 쥐에서 체중(kg)에 대하여 100 또는 200 mg의 양으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항 염증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락토만난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모세혈관 투과도(vascular permeability) 및 발작 반응(writhing response)의 저해 수치는 각각 $60.6\%$$62.5\%$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런 갈락토만난의 항염증 및 발작반응 저해에 효과적인 특성을 이용한다면 치료 목적을 위한 의약물질 개발의 잠재성을 보여준다.

볏짚버섯속 ASI1 9003(버들송이)과 ASI1 9016(차신고)의 배양 및 재배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production in two strains of the genus Agrocybe ASI19003(A. cylindracea) and ASI19016(A. chaxingu))

  • 정종천;석동권;김승환;전창성;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2008
  • 본 시험의 볏짚버섯속(Agrocybe) 2균주 ASI19003(A. cylindracea; 버들송이)와 '차신고'로 불려지는 ASI19016(A. chaxingu)의 배양생리 및 재배적 특성 비교에서 종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ASI19003이 28, ASI19016이 30 이었으며 배지산도는 고체배지 평판배양의 경우 ASI19003과 ASI19016 균주 공히 pH 5.5~7.0 범위에서 잘 자랐다. 그러나 액체배지 정치배양에서는 ASI19003이 pH 5.5에서, ASI19016이 pH 5.0에서 잘 자랐으며 ASI19016 균주의 경우 액체배지의 pH 6.0~7.5 범위에서는 균사생장이 매우 저조한 특이적 현상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으로는 ASI19003이 lactose, ASI19016 균주가 fructose에서 잘 자라고, 질소원으로 ASI19003이 asparagine > alanine > glycine, ASI19016이 ammonium tartrate > asparagine > glycine > alanine 순이었다. 봄재배 시 ASI19003은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13일로 ASI19016의 29일과 17일보다 총재배기간이 6일 빨랐으며, 850 $m{\ell}$ PP병당 자실체 수량도 ASI19003이 114 g으로 ASI19016의 100g보다 15%가 많았다. 한편 여름재배 시 ASI19003은 배양기간이 29일, 초발이소요일수 11일로 ASI19016의 30일과 12일보다 총재배기간이 3일 빨랐다. 그러나 버섯 생육기에 온도가 상승하면 ASI19003 균주는 자실체 색이 옅어지고 조직이 물러지는 등 상품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ASI19016은 고온기에 오히려 버섯 발생이 빨라지고 자실체의 갓 색깔도 짙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봄, 가을과 겨울철에는 다수성인 ASI19003(버들송이)을, 여름철 고온기에는 상품성이 좋은 ASI19016(차신고) 균주를 재배품종으로 선택함으로써 버들송이류 버섯의 상품성을 연중 내내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