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field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변형된 비속어 탐지를 위한 토큰 기반의 분류 및 데이터셋 (Token-Based Classification and Dataset Construction for Detecting Modified Profanity)

  • 고성민;신유현
    •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1-188
    • /
    • 2024
  • 기존의 비속어 탐지 방법들은 의도적으로 변형된 비속어를 식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연어 처리의 한 분야인 개체명 인식에 기반한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우리는 시퀀스 레이블링을 이용한 비속어 탐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한국어 악성 댓글 중 일부 비속어를 레이블링하여 직접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거대 언어 모델중 하나인 ChatGPT를 활용해 한국어 혐오발언 데이터셋의 일부를 레이블링을 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셋을 증강하여 학습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거대 언어 모델이 생성한 데이터셋을 인간이 필터링 하는 것만으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데이터셋 증강 과정에는 여전히 인간의 관리감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 연구 (An Study on Efficiency and Use of Theor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성진;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53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서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이 이루어진 이론연구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본질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정보학의 대표 학술지를 두 종씩 선정하여 1984년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1,661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위해 4단계의 이론 효율성 모델과 5단계의 이론 활용성 모델을 각각 분석척도로 사용하였다 이론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의 배경적 속성(학회지. 발행국, 연구시기), 연구의 내용적 속성(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속성(소속, 전공, 연구경력)을 조사하고, 활용된 이론의 근원학문과 활용주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저자동시인용법을 적용하여 동시이론활용을 분석함으로써 20년간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에 의해 형성된 이론적 기반에 대한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A Simple Method for Predicting Hippocampal Neurodegeneration in a Mouse Model of Transient Global Forebrain Ischemia

  • Cho, Kyung-Ok;Kim, Seul-Ki;Cho, Young-Jin;Sung, Ki-Wug;Kim, Seong 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0권4호
    • /
    • pp.167-172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to predict the neuronal cell death in the mouse hippocampus and striatum following transient global forebrain ischemia by evaluating both cerebral blood flow and the plasticity of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PcomA). Male C57BL/6 mice were anesthetized with halothane and subjected to bilateral occlusion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BCCAO) for 30 mi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was measu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The plasticity of PcomA was visualized by intravascular perfusion of India ink solution. When animals had the residual cortical microperfusion less than 15% as well as the smaller PcomA whose diameter was less than one third compared with that of basilar artery, neuronal damage in the hippocampal subfields including CA1, CA2, and CA4, and in the striatum was consistently observed. Especially, when mice met these two criteria, marked neuronal damage was observed in CA2 subfield of the hippocampus. In contrast, after transient BCCAO, neuronal damage was consistently produced in the striatum, dependent more on the degree of rCBF reduction than on the plasticity of PcomA. The present study provided simple and highly reproducible criteria to induce the neuronal cell death in the vulnerable mice brain areas including the hippocampus and striatum after transient global forebrain ischemia.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ampicillin in a mouse model of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 Lee, Kyung-Eon;Cho, Kyung-Ok;Choi, Yun-Sik;Kim, Seong 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2호
    • /
    • pp.185-192
    • /
    • 2016
  • Ampicillin, a ${\beta}$-lactam antibiotic, dose-dependently protects neurons against ischemic brain injur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ampicillin in a mouse model of transient global forebrain ischemia. Male C57BL/6 mice were anesthetized with halothane and subjected to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for 40 min. Before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ampicillin (200 mg/kg, intraperitoneally [i.p.]) or penicillin G (6,000 U/kg or 20,000 U/kg, i.p.) was administered daily for 5 days. The pretreatment with ampicillin but not with penicillin G significantly attenuated neuronal damage in the hippocampal CA1 subfield. Mechanistically, the increase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following forebrain ischemia was also attenuated by ampicillin treatment. In addition, the ampicillin treatment reversed increased immunoreactivities to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isolectin B4, markers of astrocytes and microglia,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ampicillin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glutamate transporter-1, and dihydrokainic acid (DHK, 10 mg/kg, i.p.), an inhibitor of glutamate transporter-1 (GLT-1), revers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ampicillin.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ampicillin provides neuroprotection against ischemia-reperfusion brain injury, possibly through inducing the GLT-1 protein and inhibiting the activity of MMP in the mouse hippocampus.

임상진단명에 따른 질병분류체계 구축모형 개발 - 안과를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odel of Disease Classification on Clinical Diagnosis in Ophthalmology)

  • 서진숙;신희영;기창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4-215
    • /
    • 2003
  • Background : ICD-10 Classification, which is used domestically as well as internationally, has limited use in the clinical practice since it is developed for at disease statistics and epidemiolog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quality of diagnosis by constructing a new diseas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diagnoses doctors currently make in the clinical setting and connecting this classification with OCS and EMR, and to meet the demands of doctors for high quality medical study data in medical research. Methods : The specialists in each ophthalmic subfield collected clinical diagnoses and abbreviations based on the ophthalmology textbooks and confirmed the classifications. Total number of clinical diagnoses collected was totaled 672, for which ideal diagnoses had been selected and a new model of disease classification model in connection with ICD-10 was constructed. The constructed classification of clinical diagnoses consisted of six steps: the first step was the classification by ophthalmic subspecialty field; the second to fifth steps were the detailed classification by each specialty field; the sixth step was the classification by site. Results : After introducing the new disease classification, research on the use and a pre-post comparison was conducted.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on the use of the clinical diagnoses in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 has shown a gradually increasing tendency. From the pre-post comparison of EMR discharge summary diagnose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diagnosis was stated correctly and in detail. Since the diagnosis was stated correctly, code classification became correct as well,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high quality medical DB. Conclusion : This construction of clinical diagnoses provides the medical team with high quality medical information. I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service in the department of medical record and department of insurance investigation. In the future, if hospitals wish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of clinical diagnosis and a standard proposal of clinical diagnosis is presented by a medical society, the standardization of diagnosis seems to be possible.

  • PDF

Heuristic and Statistical Prediction Algorithms Survey for Smart Environments

  • Malik, Sehrish;Ullah, Israr;Kim, DoHyeun;Lee, KyuTa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5호
    • /
    • pp.1196-1213
    • /
    • 2020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smart environments through predicting the behaviors of inhabitants of smart spaces in the recent past. Various smart services are deployed in modern smart cities to facilitate residents and city administration. Prediction algorithms are broadly used in the smart fields in order to well equip the smart services for the future demands. Hence, an accurate prediction technology plays a vital role in the smart services. In this paper, we take out an extensive survey of smart spaces such as smart homes, smart farms and smart cars and smart applications such as smart health and smart energy. Our extensive survey is based on more than 400 articles and the final list of research studies included in this survey consist of 134 research papers selected using Google Scholar database for period of 2008 to 2018. In this survey, we highlight the role of prediction algorithms in each sub-domain of smart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s. We also discuss the main algorithms which play pivotal role in a particular IoT subfield and effectiveness of these algorithms. The conducted survey provides an efficient way to analyze and have a quick understanding of state of the art work in the targeted domai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very first survey paper on main categories of prediction algorithms covering statistical, heuristic and hybrid approaches for smart environments.

기계번역 사후교정(Automatic Post Editing) 연구 (Automatic Post Editing Research)

  • 박찬준;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
    • /
    • 2020
  • 기계번역이란 소스문장(Source Sentence)을 타겟문장(Target Sentence)으로 컴퓨터가 번역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계번역에는 다양한 하위분야가 존재하며 APE(Automatic Post Editing)이란 기계번역 시스템의 결과물을 교정하여 더 나은 번역문을 만들어내는 기계번역의 하위분야이다. 즉 기계번역 시스템이 생성한 번역문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를 수정하여 교정문을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기계번역 모델을 변경하는 것이 아닌 기계번역 시스템의 결과 문장을 교정하여 번역품질을 높이는 연구분야이다. 2015년부터 WMT 공동 캠페인 과제로 선정되었으며 성능 평가는 TER(Translation Error Rate)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최근 APE에 모델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은 APE 분야의 최신 동향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

자연어 처리의 개체명 인식을 통한 기록집합체의 메타데이터 추출 방안 (A method for metadata extraction from a collection of record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송치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88
    • /
    • 2024
  •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하위분야인 자연어 처리(NLP)의 개체명 인식(NER)을 통하여 기록에 내재된 메타데이터 값과 기술 정보를 추출하는 방안에 대한 시험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960~1970년대에 생산된 구로공단 수기 기록물(약 1,200 쪽, 8만여 단어)을 대상으로 하였다. 디지털화를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과 함께 기록 텍스트에 대해서 구글의 BERT 언어모델에 기반하여 구현되어 공개된 언어 API를 사용하여 개체명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로 구로공단의 과거 기록에 포함된 173개의 인명과 314개의 조직 및 기관 개체명을 추출할 수 있었고, 이는 기록의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검색어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그리고 자연어 처리의 이론적 방법론을 반·비정형의 텍스트로 이루어진 실제 기록물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과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했다.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해마-세포외액내 Glutamate와 Polyamine 농도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Glutamate and Polyamine Levels of Hippocampal Microdialysates in Response to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김형건;최상현;조소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9
    • /
    • 1994
  • 뇌-허혈후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손상에 glutamate의 과다한 유리와 그의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calcium 통로 활성작용 및 polyamine중 putrescine의 증가로 인한 신경세포내 $[Ca^{2+}]$의 상승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golian gerbil에서 5분간 경동맥을 차단하여 뇌-허혈을 가한후 재관류시 해마의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acetylcholine농도, 해마의 $[^3H]MK-801$ 결합능의 변동 및 해마조직소견의 변동에 미치는 비가역성 ornithine decarboxylase (ODC) 억제제인 difluoromethylornithine (DFMO), diamine oxidase (DAO) 억제제인 aminoguanidine (AG),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 및 calcium 통로 차단제인 nimodipine (NM)의 효과를 비교-검색하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및 acetylcholine은 microdialysis probe를 해마의 CA1부위에 위치시킨 후 나온 분취액을 HPLC와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해마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은 cresyl-violet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허혈후 해마 세포외액내 putrescine농도는 5분이내에 급속히 증가하여 뇌-허혈후 96시간까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G과 MK-801 처치시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증가정도가 상승되었으나 NM과 DFMO 처치로 putrescine의 증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glutamate의 농도는 허혈후 5분 이내에 9배이상 유의하게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되어 25분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으나, 이같은 변동은 AG, DFMO 및 MK-801 처치로 영향을 받지 않았고 NM 처치로는 glutamate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acetylcholine 농도는 허혈에 의하여 큰변동이 없었으나 허혈전 acetylcholine농도는 DFMO나 MK-801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synaptosome막의 $[^3H]MK-801$ 결합능은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AG과 MK-801 처치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해마의 조직소견상 AG과 NM은 허혈후의 신경세포손상을 억제하고, MK-801은 손상의 예방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DFMO는 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NM과 다른기전으로 AG은 해마신경세포의 손상을 NMDA-수용체: calcium 통로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허혈성 뇌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RDA 자원유형 디스플레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for the Display of RDA Resource Types)

  • 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44
    • /
    • 2017
  •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에서 효율적으로 RDA 자원유형 디스플레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RDA 자원유형 테스트 및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RDA 자원유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기존 자원유형에서 RDA 자원유형으로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GMD 및 자체 자원유형코드를 사용하여 변환하되, 리더/06, 007, 008 태그의 정보를 사용하여 변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한국의 목록규칙 환경에 맞게 RDA 자원유형 용어의 변경과 이를 33X 서브필드 ${\blacktriangledown}9$에 기술하고, 구체적인 자원유형을 표현하기 위해 34X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내용유형, 수록매체유형을 각각 개별적으로 표현하는 방법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넷째, 이용자 측면에서 자원유형 아이콘 개발을 위해 336, 338 태그의 정보를 바탕으로 리더/07 서지수준의 정보, 008/30-31 녹음자료의 내용, 34X의 정보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RDA 자원유형의 디스플레이 방안은 온라인목록에서 RDA 자원유형의 활용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이용자에게 자원유형의 이해를 증대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