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rene(S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열 감응성 Poly(styrene-co-N-isopropylacrylamide) 마이크로겔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 Sensitive Poly(styrene-co-N-isopropylacrylamide) Microgels)

  • 조석형;김공수;정태욱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97-402
    • /
    • 2005
  • Core-shell 형의 Poly(styrene-co-N-isopropylacrylamide) (poly(St-co-NIPAm)) 마이크로겔은 과항상칼륨(KPS)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styrene (St)과 N-isopropylacrylamide (NIPAm)의 무유화 유화중합으로 제조하였다. St/NIPAm의 비, 모노머의 농도, 가교제의 농도에 따른 입자크기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고분자 마이크로겔의 온도에 따른 열감응성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겔의 입자 크기는 NIPAm의 몰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마이크로겔 분산용액의 투과도가 하한임계온도 이상($32{\sim}34^{\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였다. 수용액 중에서 마이크로겔의 팽윤성은 모노머인 NIPAm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가교제의 농도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b-styrene) via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nd Saponification

  • Li, Guang-Hua;Cho, Chang-Gi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339-344
    • /
    • 2002
  • Poly(vinyl alcohol-b-styrene) (poly(VA-b-St)) diblock copolymer containing high syndiotactic poly (vinyl alcohol) (PVA) was synthesized by the saponification of poly(vinyl pivalate-b-styrene) (poly(VPi-b-St)). For the block copolymer, poly(vinyl pivalate) (PVPi) with trichloromethyl end group was obtained via telomerization of vinyl pivalate with carbon tetrachloride as a telogen and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n initiator. Then resulting poly(vinyl pivalate) with trichloromethyl end group was used as an effient macroinitiator for the synthesis of poly(VPi-b-St)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in the presence of CuCl/2,2'-bipyridine at 130 $^{\circ}C$. The poly(vinyl pivalate) macroinitiator, poly(VPi-b-St), poly(VA-b-St) were characterized by GPC, FT-IR and $^1$H-NMR.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grity of the block copolymer was maintained during saponification reaction.

St/BA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 특성 (Bon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Polymer-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and Butyl Acrylate)

  • 유기표;형원길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820-8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styrene(St)와 butyl acrylate(BA)를 단량체로 폴리머를 합성하여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로 제작하여 세공구조와 부착강도, 그리고 인장강도와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St/BA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는 St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와 인장강도는 폴리머 필름의 인장강도가 클수록, 미세공극량이 많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라남도 지역의 하천수에 존재하는 내분비 장애물질(Bisphenol A와 Styrene oligomer)의 실태조사 (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ors (Bisphenol A and Styrene Oligomers) in the Streams of Cholla-namdo Province in South Korea)

  • 박송인;정선용;;;나숙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69-675
    • /
    • 2012
  •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es regarding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EDCs). In this study, fifteen small freshwater streams in Cholla-namdo province,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ndocrine disruptors - Bisphenol A (BPA), styrene monomer (SM), styrene dimer (SD), and styrene trimer (ST)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target compounds in the sampled water ranged from

PPV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을 가진 이종 접합구조 EL 소자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junction EL Devices Containing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PPV as Emitting Layer)

  • 박이순;한윤수;김성진;신동수;신원기;김우영;이충훈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710-714
    • /
    • 1998
  • Poly(p-phenylene vinylene), PPV를 발광층으로 하고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이 도입된 이중 접합구조 유기 전기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D)를 제작하고 전기 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자 수송제로는 2-(4-biphen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PBD)를 사용하고 이를 분산시킬 기재 고분자(matrix polymer)로는 stilbene계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poly(styrene-co-p-vinyl-trans-stilbene (PVTS)), poly(styrene-co-MeO-PVTS) 및 poly(styrene-co-MeO-ST)를 합성하였다. 이들 재료를 이용하여 이종 접합구조 ELD를 제조하였으며 poly(styrene-co-PVTS)를 기재 고분자로 쓴 EL 소자가 최대의 휘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oly(styrene-co-MeO-PVTS) 및 poly(styrene-co-MeO-ST) 등 전자 주게 성질을 가진 methoxy기를 함유하는 기재 고분자를 쓴 EL 소자는 전자 수송층이 없는 ITO/PPV/Mg 단층 소자와 휘도가 유사 혹은 낮게 나타났다. Poly(styrene-co-PVTS)를 ETL에 쓴 EL 소자에 있어서 styrene보다 긴 conjugation 길이의 증가가 EL 발광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고 실제 발광은 PPV에 의해 주로 일어남이 관찰되었다.

  • PDF

St/BA의 모노머 비에 따른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mer-Modified Mortars Using Styrene-Butyl Acrylate Latexes)

  • 형원길;문경주;송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85-7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스틸렌(styrene)과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모노머 비에 따라 합성 제조하고, 합성 제조 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과 내구성에 대한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기존에 생산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St/BA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St/BA의 모노머 비가 50:50, 60:40일 경우에는 시멘트 혼화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세공용적의 분포나 강도 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수성능과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 저항성도 St/BA의 모노머비가 증가할수록, 폴리머 시멘트 비가 증가할수록 증진 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합성제조된 St/BA 라텍스를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할 경우 우수한 성능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Poly(Styrene-co-2-Hydroxypropylacrylate)의 라디칼 공중합 및 열분해 속도론 (The Kinetics of Radical Copolymerization and Thremal Decoposition of Poly(Styrene-co-2- Hydroxypropylacrylate))

  • 김남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5-212
    • /
    • 2009
  • Solution copolymerization of Styrene(St.) with 2-Hydroxypropylacrylate(2-HPA) was carried out with Benzoylperoxide(BPO) as an initiator in toluene at $80^{\circ}C$ in a batch reactor. Reaction volume and reaction time were 0.3 liters, 8 hours respectively. The time to reach steady state was about the six time. The monomer reactivity ratios, $r_1$(St.) and $r_2$(2-HPA) were determined by both the Kelen-Tudos method and the Fineman-Ross method ; $r_1$(St.)=0.376(0.330), $r_2$(2-HPA)=0.408(0.778). The activation energy of thermal decomposition was in the range of $33{\sim}55kcal/mol$.

St/BA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 (Phys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Polymer Modified Mortar Using Styrene and Butyl Acrylate Latexes)

  • 형원길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42-3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스티렌(styrene; St)과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를 단량체 비에 따라 합성 제조하고, 합성제조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를 혼입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성질과 내구성에 대한 특성을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와 기존에 생산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St/BA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St/BA의 단량체 비가 50:50, 60:40일 경우에는 시멘트 혼화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강도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수성능과 염화물 이온에 대한 침투 저항성, 그리고 중성화 저항성도 St/BA의 단량체 비가 증가할수록, 폴리머 시멘트 비가 증가할수록 증진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합성제조된 St/BA 라텍스를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할 경우 우수한 성능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Copolymer

  • Kwon, Jae Beom;Lee, Nae Woo;Kim, Nam Seok;Park, Keun Hok;Seul, Soo 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2권1호
    • /
    • pp.28-33
    • /
    • 2003
  •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ethyl methacrylate (EMA) and Styrene (St.) copolymer was investigated with synthesis at 8$0^{\circ}C$ in a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 (CSTR) using toluene and benzoyl peroxide(BPO) as solvent and initiator, respectively. The thermal decomposition was considered to be side scission at below 30$0^{\circ}C$ and estimated 2nd-order reaction kinetics of EMA/St. copolymer. The activation energies of decomposition on this copolymers were in the ranges of 38-43 kcal/mol for EMA/St. and a good additivity rule was observed in each composition. The thermogravimetric trace curves agreed well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

Thermal Decomposition of Copolymers of Butyl methacrylate and Styrene Produced in a CSTR

  • Kim, Duck-Sool;Kim, Nam-Seok;Park, Keun-H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3-280
    • /
    • 2002
  •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polymer of butyl methacylate(BMA) with styrene(St) was investigated. The copolymer Was obtained at 80 $^{\circ}C$ in a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CSTR) using toluene and benzoyl peroxide(BPO), as solvent and initiator, respectively. The reactor volume was 0.3 liters and residence time was 3 hours. The thermal decomposition followed the second order kinetics for BMA/St copolymer. The activation energies of thermal decompositon were in the ranges of 38 ${\sim}43$ kcal/mol for BMA with St copolymer and a good additivity rule was observed with the composition of copolymer. The thermogravimetric trace curve agreed well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