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le of consumption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7초

러시아와 한국 여대생 소비자의 의류 소비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Russia and Korea)

  • 율리아페타이;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1103-1115
    • /
    • 2006
  • In this stud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of Russian and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mpare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in Russia and Korea. In results, Russian female college students spent considerably more money on clothing than did Korean students, compared to the income level. Korean consumers bought clothing mostly in the department stores, whereas Russian consumers preferred large shopping centers, discoun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to shop clothing.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lothing purchase decision, Russian consumers considered country of origin while Korean consumers considered style. Korean consumers were satisfied more on domestic brands than did Russian consumers while Russians were more satisfied with foreign brands than did Koreans. Russian consumers considered diverse factors in forming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toward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contrast, Korea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fluenced much by style. Based on study results, marketing implications were provided.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와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분석: 2007개정 교육과정의 강조점 반영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Units of 'Adolescence Self-Management' and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Used in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w the Emphasis of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is Reflected)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7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실천적 문제해결 과정, 지속 가능한 삶을 고려한 소비생활, 진로교육이 현재 중학교 1학년이 사용하는 기술 가정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과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에 어떤 내용과 형태로 반영되었나를 분석하는 것이다. 2010년 3월부터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12종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 요소인 대단원 도입, 목표 진술, 중단원 도입, 소단원 제목 및 도입, 본문 진술, 활동과제, 표/그림/사진, 보충 및 심화 학습자료 대단원 및 중단원 마무리 부분에 반영된 3가지 강조점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3가지 강조점은 목표 진술을 제외한 교과서의 모든 단원 구성 체제 요소에서 반영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활동과제, 표/그림/사진, 보충 및 심화학습 자료에 반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중 단원마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강조점을 반영하는 정도가 다르다 전체적으로 '청소년기의 자기관리 단원'에 비해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이 3강조점의 반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출판사 마다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강조점을 반영하는 정도도 다르고 반영하는 방법도 다르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 교사의 현장수업에서의 교과서 활용방안과 교과서 개발 기관 및 심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 중년 남성의 젊음 추구와 유행 스타일 변화 (Ageless Trend and the Fashionable Style of Korean Middle-Aged Men)

  • 이나현;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45-754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Korean middle-aged men's fashionable styles according to ageless trends as their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and deriving their special features from men's magazine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gethe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uniformity, conformity, passive clothing selection and consumption in 1990s as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en's wear by period. However, clothing became an expressive way to pursue individuality and an ageless trend gradually, and middle-aged men positioned themselves as subjects of a consumer market for men's wear after 2010 through active clothing selection and consumption. Second, along with a trend change preferring a comfortable and active to formal atmosphere, it showed that casual style became diversified and segmented gradually in Korean middle-aged men's ageless trend and fashionable style. Third, as for formative characteristic changes in middle-aged men's fashionable style by period, it contained a slim silhouette, bright and splendid colors and patterns, increase of light, active and functional materials, generalization of casual items and pursuit of individuality by various mix & match styles. Fourth, in Korean men's ageless trend and changing fashionable style, four kinds of speci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at included a change of the traditional clothing symbolism, weakened conformity & pursuit of personality, obscured boundaries between age and wearing style, and active embracing of a trend.

외식 소비 성향에 따른 감정 반응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ning-Out Consumption Pattern)

  • 김기영;백종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7-160
    • /
    • 2010
  • 본 연구는 고급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외식 소비 성향을 파악하여 외식 경험을 통해 느꼈던 감정 반응이 외식 결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방법을 사용하여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5부(94%)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20부(88%)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WIN Version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외식 소비 성향은 감정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건강 추구형과 관계 충성형은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휴식 추구형은 즐거움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추구형과 관계 충성형은 자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휴식 추구형은 자극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반응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즐거움과 자극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 외식 소비 성향은 과거 생물학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식사 자체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과는 달리 현재 외식 소비 성향은 자신의 선호 취향이나 분위기 등 감정 반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 PDF

라이프스타일과 커피소비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style and Coffee Consumption Motivation)

  • 정자영;김광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53-65
    • /
    • 2013
  • 우리나라 사람들의 커피에 대한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해왔고 지금은 20대 이후의 모든 연령대에서 커피가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가장 많이 마시는 생활의 필수 소비품의 하나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커피소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피 산업계는 물론이거니와 학계에서도 커피소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커피는 종류가 다양하고 커피를 소비하는 동기와 커피소비 태도도 연령이나 라이프스타일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연 결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커피 소비동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80부가 회수되었고, 이들 중 설문의 응답이 불성실한 10부를 제외한 4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 18.0 버전을 사용하여 타당성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성,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한 결과 웰빙추, 맛추구, 분위기추구, 외식추구, 인스턴트추구, 경제성추구 등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커피소비동기를 요인분석한 결과 웰빙소비동기, 기분전환 소비동기, 사회적 소비동기, 습관적 소비동기, 정서적 소비동기 등 5가지 유형으로 소비동기가 분류되었다. 주요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은 커피소비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커피 소비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라이프스타일은 커피소비동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커피 소비동기의 차이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습관적 소비동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항목을 제외하고는 다른 4가지 세부 가설이 모두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커피소비동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의 선호도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7-576
    • /
    • 2012
  •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디자인, 색상, 재료에 대하여 소비가치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소비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비가치 조사도구는 VALS (Values and Life Style) 기법에 의하여 원리원칙 지향적 가치, 지위 지향적 가치, 행동 지향적 가치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디자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보석 세팅 개수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석재료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주얼리 색상특성에 있어서는 소비가치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 선호도에 차이가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사용가치 보다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의해 제품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치에 따른 타겟화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일 지역 성인의 대장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과 생활습관 (Relationship between adults' Optimistic Bias about Colorectal Cancer and Life Styles)

  • 박수호;김성은;오경환;김희숙;김주형;김광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6-198
    • /
    • 2009
  • Purpose: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yles and optimistic bias about colorectal cancer (CRC) of adul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38 adults who live in Seoul. The measurements were consisted optimistic bias about CRC and life styles. The life styles were included smoking, alcohol consumption, dietary habits, and CRC screening. Results: 30.5% of the participants regarded their possibility of CRC to be less than others, while 69.5% viewed their likelihood of CRC as at least the same as others. The optimistic bias about CRC wa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and dietary habits, but not with smoking and CRC screening.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relate optimistic bias about CRC with life style since CRC inspection and alcohol consumption are negatively related with optimistic bias while displaying a positive relation in other aspects.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tic bias and life style can change, promotion of a healthy life style as part of a health program could be influential in lessening CRC.

명품브랜드 소비의 사회 경제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보드리야르의 소비사회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eatures of Luxury Brand Consumption -Focused on the Theory of Baudrillard's Consumer Society-)

  • 박미령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3-19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luxury brand in the viewpoint that the consumption system of the modern society stood for the sign consumption and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difference as Baudrillard mentioned in the Consumer Society. The result was divided into the two subjects popular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luxury brand. Firstly the meaning of luxury brand was that the personal effects of consumption of king or aristocratic class who did not exist in the modern and were made into the selection and consumption-possible things of exchange value. The popularization of this sign was accelerated through TV drama. Secondly as differentiation strategy of luxury brand, was made by giving meaning to the life style concept of the upper class with advertisement and design, and also the logo of design was used as sign differentiated from people. Also the reason why the producer of the luxury brand gave meaning to such life style was that the awareness of the brand which people have consistently makes them consume more products. The consumption system of the modern society stood for the sign consumption, difference sign mark value which was the desire on a social meaning basis, not the consumption of things as used value. And the consumer could express his personality by selecting and consuming the product of luxury brand model made with this sign.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purchase, sales and acquisition of the things with this difference sign were our verbal activity and linguistic code today, and it was the essential feature of the society, culture and economy of the consumer society.

1990년대(年代) Hair Style과 Head Dress의 키치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Kitsch Characteristics of Hair Style and Head Dress in the 1990s)

  • 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2호
    • /
    • pp.73-86
    • /
    • 2001
  •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Kitsch aesthetics,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the Kitsch and consumption culture, and pursuing the intrincis meaning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in the hair style and head dress in the 1990s. Kitsch generally implies a vulgarity, and a bad taste, and can be considered to be a kind of vicarious experience, the aesthetic deception and self-deception. In spite of these negative inplications of Kitsch, the aesthetic categories of Kitsch have been spread to public and been accepted by the public, with the help of the powerful promotion of the modern day mass media. 1. The intrincis meanings of Kitsch convey 1) escapism, 2) conformity, 3) amusements, 4) identification. 2.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represent 1) aesthetic inadequacy: hair style and head dress showing the imperpectness, accumulation(superfluous ornaments), vulgarity, untidines. 2) resistance: hair style and head dress featuring deconstructional and violent forms revealing the uneasiness, and unsatisfaction of the given regularity. 3) humor: hair style and head dress featuring the innocence, humor, and fun for a relaxation and diversion. 4) hedonism: hair style and head dress with the erotic and sexual feelings. 5) retro, romantism: hair style and head dress featuring the elegance, femininity, folklore, ethnic, and nostalgia.

  • PDF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있어 제품별 사고유형과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inking 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in Comsumer's Decision Making)

  • 최낙환;안려나;라광진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79-292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사고유형에 따른 소비 행동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특히 소비자들이 실용제품의 평가에는 실용속성을, 쾌락제품의 평가에는 쾌락속성을 보다 많이 활용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사고유형을 이성적 사고유형과 경험적 사고 유형으로 구분하고 제품속성 정보 유형에 따라 다른 사고유형을 유발시키는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사고유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비자들은 제품유형별로 각기 다른 기준을 이용하여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재의 경우에는 평가기준으로 실용속성을 좀 더 사용하며 쾌락재의 경우에는 쾌락속성을 좀 더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속성정보 유형에 따라 유발되는 사고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속성 정보는 이성적 사고를 유발하는 반면, 쾌락속성 정보는 경험적 사고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용재를 실용속성으로 평가할 경우 이성적 사고가 제품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하며, 쾌락재를 쾌락속성으로 평가할 경우 경험적 사고가 제품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