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ttering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장.노년기 성인의 유창성 특성 연구 (Speech Fluency Characteristics of Adults in Their Manhood and Senescence)

  • 전희숙;김효정;신명선;장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18-326
    • /
    • 2011
  •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신경학적 결함을 가진 장 노년기 성인들이 증가하면서 신경 말 언어장애 성인들 의 재활을 위하여 구어 유창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언어장애가 없는 50대에서 70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언어표본을 수집하여 연령 및 성별로 구어 유창성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0대, 60대, 70대 각 연령대별 30명(남15명, 여15명)씩 총 90명의 언어 표본을 수집하여 구어 속도, 비유창성 빈도 등을 비교한 결과, 첫째, 70대 성인의 구어 속도가 50대 및 60대 성인의 구어 속도보다 느렸다. 그리고 50대, 60대 및 70대 모두 성별 간 구어 속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둘째, 50대, 60대 및 70대 성인들 간 정상적 비유창성 및 전체 비유창성의 빈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각 연령대별 성별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셋째, 모든 연령대 성인들의 구어 속도와 비유창성 빈도와 상관이 없었다.

정상 성인 및 아동의 구어속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peech Rate in Normal-Speaking Adults and Children)

  • 안종복;신명선;권도하
    •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93-10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preliminary data on the speech rates in groups of normal speaking adults and childr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intended to serve as clinical measurement guidelines for diagnosis, assessment, treatment planning, and therapy progresses of stuttering. Thirty-one adults (16 females, 15 males), aged 18-30 years and thirty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15 females, 15 males), aged 8-10,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reading of the Stroll (Jeong, 1994) passage and l-minute portion of talking about the daily routine were sampled. The adult speakers had rates of $308.29\pm22.57$ syllables per minute (SPM) or $108.06\pm6.17$ words per minute (WPM) during reading, and $252.87\pm40.86$ SPM and $92.26\pm17.12$ WPM during talking. The children had rates of $176.67\pm33.65$ SPM or $64.07\pm12.62$ WPM during reading, and $149.30\pm33.14$ SPM and $56.60\pm11.36$ WPM during talking. The results of t-tests for reading and talking tasks in adults showed that SPM in reading (t=2.211, p< .05) and WPM in talking (t=-2.284, p< .05)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gender. To answer the questions whether the rate is different across children' s gender and age, a two-way ANOVA was performed. Both SPM and WPM in reading tas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of children aged 8 and 10 (p< 01), In speaking tasks, both SPM and WP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of children aged 8 and 10, and between 9 and 10.

  • PDF

고양이에서 상후두신경자극에 의한 후두뇌간유발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ARYNGEAL BRAIN STEM EVOKED RESPONSE IN CAT)

  • 김광문;김기령;윤주헌;김창규;박용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14
    • /
    • 1991
  • 후두의 생리적 기능은 하기도를 보호하는 방어기능과 호흡기능 그리고 발성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계통발생적으로 가장 원시적이지만 중요한 기능은 하기도 방어기능으로 이는 다른 기능과 달리 전적으로 불수의적이고 반사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능은 후두내 점막에 존재하는 촉각 수용체(tactile receptor)가 자극되면서 후두근육이 수축 반사를 일으켜 성문이 닫히는 성문폐쇄반사(glottic closure reflex)로서 다접합뇌간반사(polysynaptic brain stem response)이다. 현재까지 후두의 신경장애에서 그 부위나 정도 또는 신경재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근전도검사가 주로 쓰여져 왔으나 그것이 주는 정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청각뇌간유발반응과 같이 후두뇌간유발반응 이라 명명된 wave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것이 임상에 쓰여질 수 있다면 현재 성문폐쇄반사의 소실이나 이상이 원인으로 사료되는 idiopathic laryngospasm, gastroesophageal reflux, spastic dysphonia, stuttering, sudden infant death syndrome과 같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커다란 진전이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양이 6마리를 이용하여 상후두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유발되는 반응을 far field recording을 이용 평균 가산법으로 그 wave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후두신경자극(2㎃, stimuli frequency 3/s, Band filter 320-1000, 0.2 ㎳ duration)에 의한 반회신경에의 유발 반응을 기록하였고 그 잠복시간은 평균 8.2 ㎳ 였다. 2. 상후두신경을 자극하여 후두뇌간유발반응을 기록하였고 후두뇌간유발반응은 4개의 양 wave와 4개의 음 wave로 구성되었다. 3. 각 wave의 평균 잠복시간은 P1은 0.8㎳, P2는 2.3㎳, P3는 3.6㎳, P4는 4.3㎳였고 N1은 1.5㎳, N2 은 2.7㎳, N3는 3.9㎳, N4는 5.5㎳ 였다.

  • PDF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lence of Falls in South Korea

  • Kim, Beomryong;Do, Kwangsun;Yim, Jongeu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6-77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conduct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falls in the older adult. Design: Systematic review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arch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Data 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DBpia) databases for literature published in South Korea up to July 2020. A total of 12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selected literature were surveys and the study subjects were 65 years of age and above. The sample size ranged from a minimum of 95 subjects to a maximum of 3,278. A total of eight tools were us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The prevalence and recurrence of falls increase with age and deterioration of health. Older adult individuals who experience falls encounter difficulties in recovering from impaired physical function and disability; moreover, in severe cases, falls may lead to death. Falls are largely associated with a combination of intrinsic and extrinsic (i.e., environment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otential extrinsic risk factors for falls. Falls occur in indoor environments, such as washrooms, bathrooms and living rooms, and outdoor environments, including roads and stairways, depending on the season, time of day, and use of ambulatory aids. In such environments, falls are mainly caused by slipping and stuttering. Conclusions: Therefore, as the rate of fall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extrinsic factors sh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comprehensive accident prevention programs that address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around places of residence to reduce risk factors among the older adult, who, especially, are at a high risk for falls.

뚜렛 및 만성 틱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른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TOURETTE AND CHRONIC TIC DISORDER ACCORDING TO THEIR BIRTH ORDERS)

  • 김자성;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24-132
    • /
    • 1993
  • 45명의 틱 증상을 보인 아동들의 임상적 양상을 검토하였고 형제순위별로 나눠 비교하였다. 성비는 14:1로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형제순위로는 맏이가 46.7%, 막내가 33.3%. 외동아 15.6%, 쌍생아 4.4%로 맏이가 많았다. 기질성 시사소견은 37.8%에서, 초기발달 이상은 71.1%, 가족관계의 이상이 89.9%에서 보였고 동반 증상들로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46.7%, 강박장애 17.7%, 격려불안은 24.4%, 범불안, 수면불안은 17.8%, 신체화 증상 및 아뇨가 각각 13.3%, 말더듬 8.9% 외에 분뇨, 우울증 등을 보여 총 84.4%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동반된 문제를 가졌다. 형제별로 나눠 특징을 비교했을 때 발병 시기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막내 유형은 입학과 연관된 시기에 발병율이 의미있게 높았다.(p<0.01) 쌍생아의 경우는 저 출생체중아가 환아였다. 이들 소견을 종합해볼 때 틱 및 뚜렛 장애의 발현에는 선천적 기질적 요인뿐 아니라 상당한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한다고 보겠다.

  • PDF

문장 따라말하기에서 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비교 (The influences of speech rate, utterance length and sentence complexity of disfluency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 김예슬;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53-64
    • /
    • 2021
  • 요구용량 모델에 의하면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외적, 내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 환경 중 언어적인 환경(말속도, 발화길이 및 통사적 복잡성)의 변화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유창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대상은 4-6세 말더듬 아동 9명, 일반아동 9명이었다. 연구 과제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를 구하였다. 두 그룹의 비유창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때 평균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 아동보다 비유창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말속도를 조절 때 말더듬 아동은 빠른 말속도에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그리고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조절했을 시 빠른 말속도에서 말더듬 아동은 발화길이와 상관없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통사적 복잡성을 조절했을 때는 복문에서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비유창성을 보였다. 말더듬 아동은 말속도, 발화길이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더듬 아동은 말운동 조절 그리고 언어처리 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말더듬 아동 치료 시 치료사와 부모가 말속도와 발화길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시 끼어들기 특성 종단적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n interruption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 곽효정;황시현;송푸름;심현섭;이수복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75-87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특성을 분석하고 아동의 비유창성과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2-5세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6쌍, 일반아동과 어머니 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에서 나타난 발화를 총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normal disfluency) 빈도와 AD(abnormal disfluency)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빈도 및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평가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비유창성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끼어들기 빈도와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말더듬아동 집단은 평가 시점보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끼어들기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평가 시점에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끼어들기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에서 시점별(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와 아동과 부모의 끼어들기 특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아동의 ND 및 AD 빈도와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끼어들기 특성을 대화 상대방의 발화를 방해하는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로 해석하여 말더듬아동·부모 상호작용 치료 시 끼어들기 행동에 대한 조언이 적절한지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말더듬 성인의 군대 적응 정도에 대한 군지휘관의 인식 양상 및 관련 요인 분석 (Perception of military officers towards the military adaptation of adult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 박혜린;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55-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군인의 말더듬 성인에 대한 군대 적응 예측 정도와 이러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89명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발화 유창성 정도와 관련해 세 가지 버전[유창한 발화(23명), 덜 심한 말더듬(34명), 심한 말더듬(32명)] 중 무작위로 배정된 하나의 음성샘플을 들려주고 발화 관련 요인(유창성, 명료도, 자연스러움, 말속도), 성격 관련 요인(호감, 지적 수준, 불안, 사교성), 그리고 군대 적응 예측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서 유창한 발화와 심한 말더듬 간, 그리고 덜 심한 말더듬과 심한 말더듬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유창한 발화와 덜 심한 말더듬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 있어 발화 특성 요인 중에서는 발화 유창성, 명료도, 자연스러움, 말속도 순으로, 성격 관련 인상 요인 중에서는 호감, 사교성, 불안, 지적 수준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발화 유창성이 군대 적응 예측 정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발화 관련 특성 요인과 군대 적응 예측 정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추가적인 논의를 기술하였다.

연장음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 비교 연구 (The perceptual judgment of sound prolongation: Equal-appearing interval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 박진;차화정;배세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59-67
    • /
    • 2023
  • 본 연구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해 각각 등간척도와 직접크기평정을 통한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한 후, 두 평가의 결과치가 선형적인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지각 정도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4명(남: 9명, 여: 25명, 평균연령: 32.9세)이 평가자로 참여였다. 실험참여자는 먼저 한국어 평마찰음 /s/를 원래 길이에서 80 ms씩 연장하여 2,000 ms(i.e., 285 ms, 365 ms., ..., 2,125 ms, 2,205 ms)까지 연장 변조한 총 25개의 자극이 들어 있는 문장을 듣고, 등간척도(1-7점, 1은 '정상', 7은 '심도')로 평가하였다. 이후에 등간척도 평가 결과, '경중도'(4점)에 해당하는 음성샘플을 선정해 이를 기준 평가치(modulus)로 하여 직접크기평정을 실시하였다. 두 평가 결과치에 대한 산포도를 작성한 후, 모형 분석을 통해 두 측정치 간의 관계가 선형적(linear)인지 비선형적(curvilinear)인지 R2값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두 평가 결과치의 관계가 비선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장음의 길이에 따른 비유창성 정도 평가에 있어 등간척도보다는 직접크기평정이 적절한 평가 방법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