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learning attitudes

검색결과 580건 처리시간 0.03초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s of Algebra, Connection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a CAS Environment)

  • 박희정;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03-4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6명을 대상으로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이 대수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협동 수업에서 학생들이 방정식, 부등식, 함수의 개념을 각각 어떻게 연결 짓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CAS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 이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그래핑 계산기는 학생들이 지필로 푼 문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필로 푼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방정식과 일차 부등식을 자기 반성적으로 학습하도록 도와주었다. 이차 부등식에서는 학생들이 기존에 암기하고 있었던 공식으로 문제를 푸는 것에 한계를 느끼게 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개념을 수정하고 이차 함수를 통하여 이차 부등식의 근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었다. 함수에서는 함수의 정의를 여러 가지 문자와 수식을 이용하여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함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그래핑 계산기의 활용은 방정식, 부등식, 함수 영역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도와주었고, 학생들에게 수학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비유 생성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과학영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유 생성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nd Analogy-generating Pattern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Learning Using Analogy-generating Strategy)

  • 김유정;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63-107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비유 생성 전략을 개발하여 이를 중학교 1학년 과학영재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에서 5개 소집단의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비유의 유형 및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과 비유 생성 패턴 및 비유 생성 전략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비유 생성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과학영재들이 개별적으로 생성한 비유는 일반적인 비유 생성 활동에서 보다 질이 좋은 유형의 비율이 높았으며, 소집단 활동을 거친 후에는 대부분 가장 좋은 유형의 비유를 생성하였다.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각 단계의 영역별 하위 범주의 상호작용의 빈도 및 비율에서 약간 다른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소집단별 비유 생성 패턴은 심층적 소재 선택형, 포괄적 소재 선택형, 표면적 소재 선택형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각 유형별로 대응 정교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은 비유 생성 전략의 가치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유 생성 전략이 더 정교한 비유를 생성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비유 생성 전략은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성교육 효과측정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 장순복;최연순;강희선;박소미
    • 대한간호
    • /
    • 제36권2호
    • /
    • pp.49-63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useful instrument to measure the effect of sex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155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Sexuality and Relationship" at Y university in Seoul. At the end of that course, they were asked to write freely about the change they had experienced on sexuality. All meaningful statements were elicited and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Change of Knowledge", "Enlightenment", "Change of Attitude on Sexuality",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Change of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areas of knowledge(28. 6%), enlightenment(27.4%), and attitudes(20.3%) about sexuality among these 7 categories. The Change of Knowledge category consists of 3 areas: "concretion of knowledge", "increase of information", and "correction of misunderstanding." In the category of Enlightenment, total 12 areas are included: "sex role", "erception of lack of knowledge", "importance of family", "life plan", "parent role", "value of life", "equality", "sexual autonomy", "importance of sexuality", "freedom of sexuality", "perception of sexual problem", and "meaning of love." The Attitude Change category consists of 8 areas. These are "being natural", "being progressive", "being sensitive", "being truthful", "being expressive", "being cautious", "being responsible", and "being confident". The category of Buildup of Ability includes 4 areas: "problem solving", "sex educatio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ategory of Buildup of Identity includes "sexual identity", and "value of sexuality". The Emotional Change category includes 3 areas: "positive feeling", "negative feeling", and "breaking from negative feeling on sexuality". The Behavior Change category includes "sex-related behavioral change". In conclusion, up to now most researches on sex education effect measures only changes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But we believe the changes in "Enlightenment",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to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ex education effects. And the effect of sex education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learning of autonomy, enlightenment, and ability of behavior and so on rather than studyi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enment", "Buildup of Ability", "Buildup of Identity", "Change of Emotion",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to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sex education effects. And the effect of sex education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learning of autonomy, enlightenment, and ability of behavior and so on rather than studyi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ng the simple changes in sexuality.

  • PDF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이용한 교수-학습 효과:과학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Teaching-Learning Effect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of Scientific High School)

  • 정시화;곽옥금;김봉곤;박종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463-477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계고등학교 11학년 '산화-환원' 단원에 대해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한 실험수업을 실시한 후,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수-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제집단에 대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따라 실험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한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실험수업을 처치한 후, 과학고 학생들의 성향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요소의 평균값 차이를 조사하였다. 사후검사의 인지조절 및 동기조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행동조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과학탐구능력의 실험설계, 가설설정, 변인통제 및 일반화에 대해 두 집단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까다로운 변인통제가 실험의 성공여부와 직결된다는 생각에, '변인통제'를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이런 경향성은 실험횟수가 진행될수록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으며, 실험활동을 스스로 통제 조절하려는 노력이 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의해, 이들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생겼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조절학습 세부요소와 과학탐구능력 사이에 상관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인지요소에서 가장 높게, 행동조절에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과학적 태도에서 두 집단 간에 평균값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신중성, 자진성 및 호기심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과학적 태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변인인 신중성, 자진성 및 호기심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학업성취도에 대해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요소들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전자변형식품 선택의 실천적문제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식생활 영역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on Consumer Choic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 Focused on the 'Dietary Life'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

  • 강경화;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1-113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생활문화 변화 단원의 식생활의 변화 중 유전자변형식품의 선택을 학습 주제로 선정하여 실천적문제중심의 가정과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단계에서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학습 목표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실천적문제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학생용 학습 활동지 17종, 학생용 읽기자료 17종, 교사용 읽기자료 3종)를 개발하였다. 1, 2, 3차시는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문제해결방안, 4차시는 안전한 식품선택을 위한 소비자로서의 권리 이행과 실천의 학습내용으로 설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경기도 분당시 소재의 S고등학교 6개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단계에서는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학습방법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업적용 후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이는 식품구매에 대한 의식의 변화로 이어져 내가 먹는 식품이 유전자변형식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학생 비율이 증가하여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태도와 마음가짐이 능동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방법 및 자료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천적문제중심 수업 방식이 가정과 교과의 성격에 부합되는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수준별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STS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Applying STS Program to Improve the Level-Based Investigation Competence)

  • 강천덕;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6-104
    • /
    • 2001
  • STS 학습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바를 현장 과학 교육에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학습자에게 적절한 수준별 교육 자료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과학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꼭 다루어야 할 필수항목을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이 항목들을 수준별 STS 과학 수업 모형에 적합하도록 개발하였다. 이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탐구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 STS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부분적이나마 과학 교과목을 학습하는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생활 주변에서 그 소재를 찾아 과학. 기술, 사회에 접목시킨 수업이기에 과학 기술과 우리의 생활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학습의 흥미 유발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셋째, STS 소재를 구안(具案), 제작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자기 주도적 탐구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스로 학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넷째, STS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 방식을 적용한 비교집단 사이에는 실험집단이 유의미하게 학업 성취도의 증가가 있었다.

  • PDF

동기적,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해커의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tivati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Learning of Hackers)

  • 장재영;김범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7-78
    • /
    • 2016
  • 해킹은 현대의 지식기반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해킹으로 인한 피해 규모와 피해 금액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해커 또는 해킹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해커들은 재미와 같은 내재적 동기에 의해 해킹 기술을 습득하며, 주로 해킹 커뮤니티에서 기술을 습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최근에는 재미나 흥미 등 내재적 동기는 물론 금전적 보상 등과 같은 외재적 동기도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관련 연구들은 표본 수집의 한계로 인해 정성적 연구에 치우쳐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킹 커뮤니티에 소속된 멤버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한 정량적 연구를 진행했으며, 동기적,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해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보안 및 해킹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결성된 대학정보보호연합 동아리를 대상으로 2015년 5월에 약 2주 간 설문을 진행했다. 회원 전체에게 이메일을 보내 응답한 215개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 해킹 기술 습득자들은 해킹 기술 습득이 사회적으로 비윤리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재미나 흥미와 같은 내재적 동기 및 타인의 인정을 추구하는 외재적 동기 모두 학습 태도에 영향을 주었고, 온라인 해킹 커뮤니티의 접근성과 정보 품질과 같은 환경적 특성이 해킹 기술 습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해킹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밝혀내어 비윤리적 연구의 주관적 규범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고, 동기 요인들이 해킹 기술 습득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했다. 또한, 해킹 커뮤니티의 특성이 지각된 행동통제의 선행 요건임을 밝혀내어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 범위를 확장했다. 또한, 실무적으로 해커들을 윤리적 해커(정보보호전문가)로 만들기 위한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해킹 방지를 위한 처벌의 강화 및 과징금 부과 등이 해커의 행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했다.

Intervention Mapping 설계를 통한 중학생 대상 흡연음주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using Intervention Mapping)

  • 계수연;최슬기;박기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
    • /
    • 2011
  • Objectives: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using intervention mapping.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00 high school second-grade students from 6 high schools in Seoul. The PRECEDE model was applied for the needs assessment. We carried out a social diagnosis by assessing the factor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happiness leve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 epidemiological diagnosis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 levels, and priority of health issues; a behavioral diagnosis on the smoking and drinking rate and the intention to smoke and drink; and an educational diagnosis on knowledge, beliefs, attitude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social norms and life skills. Results: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a needs assessment,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smoking and drinking among adolescents. Intention, knowledge, perceived norm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cost, perceived susceptibility, self-efficacy, and life skills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Three performance objectives were formulated to describe what an individual needs to do in order to avoid smoking and drinking. Subsequently, we constructed an intervention matrix by crossing the performance objectives with the selected determinants. Each cell describes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program. The program used methods from the transtheoretical model, such as consciousness raising, outcome expectations, self-reevaluation, self-liberation, counterconditioning, environmental reevaluation, and stimulus control. The program deals with the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 self-improvement, decision making, understanding advertisements, communication skills, social relationships, and assertiveness. Conclusions: By using the process of intervention mapping, the program developer was able to ensure a systematical incorporation of empirical and new data and theories to guide the intervention design. Programs targeting other health-related behavior and other methods or strategies can also be developed using this intervention mapping process.

  • PDF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유형에 대한 연구 (Types of Teacher Efficacy among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유정;신상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9-107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f teacher efficacy, to present a theoretical base for teacher efficacy among Home Economics teachers and subsequently, to improve the quality in the practic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o achieve these purposes, 263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surveyed by the prime investigator.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1. What ar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teacher efficacy among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2. What is the factor in teacher efficacy among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3. What are the types of teacher efficacy among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actor analysis on teacher efficacy with a survey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roduced 5 factors of efficacy: classroom management, needs assistance, instructional strategies, environmental assistance and teaming assistance. The teacher efficacy had a mean of 3.58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in teacher efficacy. Of the 5 efficacy factors, classroom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level (M=3.89), followed by learning assistance (M=3.81), instrumental strategies (M=3.57), environmental assistance (M=3.42) and needs assistance (M=3.19). Overall, the teachers had positive feeling in teacher efficacy. Three types of teachers were found in the types of teacher efficacy: the supreme, the average and the efforts-needy. Those typ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mean scores of the five sub-domains from the factor analysis. To enhance the teacher efficacy, the needs assessments for the students and behavioral adjustment issu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and workshops. The primary investigator suggested that continuous and long-term plans for teacher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because short-term plans may not be effective in changing attitudes such as teacher efficacy.

Influence of Computer Attitud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Kim, Jung Ae;Kim, Ju 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1-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 attitudes such as anxiety, confidence, preference, usefulness, and computer literacy on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targeting college students at unspecified university universitie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anuary 10, 2020 to January 17, 2020. A total of 213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x2 squar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fference of interests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Gender (x2=55.7***, p<0.001), Age (x2=407.5***, p<0.001), Resident (x2=127.5***, p<0.001) Family (x2=289.4***, p<0.001). I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mputer liking (t=2.102, p<0.05) and computer use ability affected Truth seeking (t=-6.319, p<0.01), computer use ability was affecting analyticity (t=-5.630, p<0.01), computer use ability was affecting systematicity (t=-2.545, p<0.05), computer use ability was affecting maturity under statistical significance (t=-2.583, 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uter liking and computer use ability affect the sub-factor componen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ruth seeking, analyticity, systematicity, and maturity, therefore the emphasis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it is desirable to use the computer as a medium of learning based on computer literacy rather than worrying about excessive computer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