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ed lipi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L. Koch) 혈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Hemocytes of the Wolf Spider, Pardosa astrigera)

  • 장병수;여성문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2호
    • /
    • pp.29-38
    • /
    • 1995
  • The fine structure of the hemocytes in Wolf spider, Pardosa astrigera, is discribed and compared with that of similar cells in other spider species and insects. Five hemocyte types are identified in the hemolymph: prohemocyte, plasmatocyte, granulocyte, spherulocyte and adipohemocyte. Prohemocytes are small with a relatively undifferentiated cytoplasm. The nucleus is comparatively large and has a perinuclear space. Plasmatocytes and granulocytes are pinocytotic function in the hemolymph of the body. The plasmatocytes have some coated pits on the plasma membrane and well developed Golgi complex, The granulocytes appear sequence of events in the formation of coated vesicle from a coated pit on its plasma membrane. Golgi complex become well expressed and give rise to small secretory vesicles which fuse to large bodies. The spherulocytes are larger in cell size than other hemocytes. Their cytoplasm is filled with spherules. The spherules contain the floccurent materials and the helical structured materials, which are 220nm in length and 80nm in width. The adipohemocytes are oval shaped and have a number of lipid droplets.

  • PDF

모노글리세리드와 카프릴산으로부터 고정화 리파제를 사용한 디글리세리드 생산 (Synthesis of Diglyceride Containing Caprylic acid by Immobilized Lipase Catalyzed Esterification of Monoglyceride in a Solvent Free System)

  • 이장운;강성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5-370
    • /
    • 2009
  • 재구성 지방질의 기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중쇄지방산을 함유한 디글리세리드(DG)를 생산하기 위하여 리파제를 사용하여 중쇄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MG)로부터 DG를 생산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반응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조사된 리파제 중에 Lipozyme RM IM과 Novozym 435만이 중쇄지방산(carpylic acid, caproic acid, capric acid)과 MG로부터 DG를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고정화 효소인 Lipozyme RM IM을 사용하여 중쇄지방산인 카프릴산과 MG를 반응시킴으로써 DG 생산을 위하여 molecular sieve 첨가에 의한 반응혼합액 중의 수분 제거, 고정화 효소의 수분함량, 반응온도, MG/카프릴산의 몰비율 등의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Molecular sieve를 첨가 하였을 때 약 8%의 DG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정화효소(초기 수분함량: 3.8%(w/w))의 수분을 2.8%(w/w)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44%의 DG를 생산할 수 있었다. 최적의 반응 온도는 $60^{\circ}C$로 확인되었으며 $60^{\circ}C$에서 $25^{\circ}C$로의 온도 변화는 FFA의 함량이 증가하여 DG 생산에 적합하지 아니하였다. 조사된 모든 몰비율에서 반응 24시간 후의 DG의 생산량은 40% 전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화학양론적인 몰비율 1:1(MG/caprylic acid)에서 가장 많은 DG가 생산되었다. 또한 MG와 카프릴산의 몰비율이 0.3에서 1.8로 높아질수록 반응물 중의 FFA의 함량이 34%에서 13%로 감소하였고 MG 함량은 37%에서 50%로 증가하였다.

제2형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당대사, 지질대사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Cardiac Functio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 유지수;이숙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6-554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Method: Two investigators systematically searched and reviewed English articles from PUBMED from 1988 to 2004, selec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structured exercise programs for DM patients. Out of 87 studies identified, a meta analysis was done for eleven studies which satisfied inclusion criteria and focused on glycemic indices, lipid indices, and cardiac function indices. Result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ompared for experimental groups that received exercise-only or exercise and diet programs and control groups that received no intervention or only diet education. The groups were considered homogeneous as the p value of the Q score in each variable group was over 0.05. The experimental groups demonstrated a moderate positive effect on HbA,c and $VO_{2max}$ (d=0.55 & 0.5), and a small positive effect on fasting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d=0.38 & 0.2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HDL and LDL cholesterol levels, however, showed a very low positive effect (d=0.11 & 0.12) in the experimental groups. Aerobic exercise was more beneficial than resistance exercise on $HbA_1c$ (d=0.59 vs 0.28) in the groups. Conclusions: Regular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HbA_1c$,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VO_{2max}$ in Type 2 diabetic patients.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DHA 함유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and Enzymatic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DHA Using a Stirred-Batch Type Reactor)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2-1058
    • /
    • 2005
  • 미세조류(microalgae)인 Schizochytrium sp.로부터 유래된 조류유(250 g)와 식물성 유지인 대두유(250 g)의 혼합 유지를 기질로 하고, sn-1,3 위치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Lipozyme RM IM(Rhizomucor miehei, EC 3.1.1.3)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에 의해 회분식 반응기$(65^{\circ}C,\;300 rpm,\;15hr)$에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합성 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DHA$(15.7\;mol\%)$와 linoleic acid$(31.1\;mol\%)$, palmitic acid$(20.2\;mol\%)$, oleic acid$(13.5\;mol\%)$$EPA(6.6\;mol\%)$로 분석되었으며, linoleic aicd와 DHA가 sn-2 위치에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Normal-phase HPLC 분석결과 재구성지질은 $87.1\;area\%$의 TAG와 $12.1\;area\%$의 DAG 형태와 같은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Reversed-phase HPLC 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의 $PN=20\~22(10.3\;area\%),\;PN=24\~32(53.1\;area\%)$$PN=36\~48(36.6\;area\%)$ peaks내에 각각 PN=20, PN=22, PN=28, PN=30, PN=34, PN=38, PN=42를 가지고 재구성 지 질 함량의 약 $50.5\;area\%$를 차지하며 반응기질과 구별된 새로운 peaks가 합성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재구성지질의 요오드가는 고도의 불포화도를 가지는 조류유(274.0)보다 약 $25\%$ 낮아진 206.7을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을 설명하는 비누화 값이 183.8, 산가는 반응기질과 같은 0.3 이하의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재구성지질의 Hunter color $L^{\ast}(\pm\;lightness/darkness)$ 값은 13.8로 측정되었으며, $b^{\ast}(\pm,\;yellowness/blueness)$ 값은 13.8로 측정되었으며, $b^{\ast}(\pm,\;yellowness/blueness)$ 값은 반응기질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55.1을 나타내었다(p<0.05).

비 용매계에서 DHA가 함유된 Diacylglycerol의 효소적 반응에 의한 합성연구 (Synthesis of Diacylglycerol-Enriched Functional Lipid Containing DHA by Lipase-Catalyzed in Solvent-Free System)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84-589
    • /
    • 2005
  • 지방산 TAG 분자의 sn-1,3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Lipozyme RM IM(from Rhizomucor meihei)을 촉매로 이용, 비용매계(solvent-free system)조건에서 glycerolysis를 통하여 조류유(from Schizochytrium sp.)와 대두유로부터 DAG, MAG 함유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유지는 DHA(16.0mol%)와 linoleic acid(32.4mol%), palmitic acid(18.2 mol%), oleic acid (14.0mol%), EPA(6.7mol%) 및 myristic acid(4.9mol%) 등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유지 내 TAG 분자의 sn-2 위치에는 DHA(21.0 mol%)와 linoleic acid(29.2 mol%)가 높은 분포로 함유되어 있었다. 48시간의 효소 반응 후 DAG의 지방산 조성은 DHA(13.3mol%)와 linoleic acid(34.3 mol%), palmitic acid(20.0 mol%), oleic acid(13.2mol%), myristic acid(5.8mol%) 및 EPA(5.5 mol%) 등으로 조사되었고, MAG의 경우는 DHA(8.6mol%)와 linoleic acid(34.0mol%), palmitic acid(23.9mol%), oleic acid (15.1mol%) 및 EPA(4.1mol%) 등으로 분석되었다. 효소적 glycerolysis 반응 완료(48hr) 후 총 지질 내 약 60%의 DAG 및 MAG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는 19.2area%의 1,3-DAG와 22.2 area%의 1,2-DAG, 16.0area%의 MAG 및 TAG(42.3area%), FFA(0.2area%)와 같은 중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능성 유지의 요오드가는 208.8, 비누화가는 179.6으로 측정되었으며, 산가(조류유, 대두유; <0.3)는 3.4이하를 나타내어 합성 중 생성, 잔류 가능한 유리 지방산 제거(산가 저하)를 위한 정제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능성 유지는 Hunter $L^*(+/-,\;lightness/darkness;\;77.9),\;a^*(+/-,\;redness/greenness;\;15.9)$$b^*(+/-,\;yellowness/blueness;\;54.6)$와 같은 색도를 나타내었다.

전화추후관리가 우울성향을 가진 당뇨병 환자의 혈당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Blood Glucose Improvement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 송민선;김희승;이동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29-39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on glycemic control, lipid profiles. and treatment method in diabetic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over one year follow-up period. Twenty-two diabetic patients attended the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05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o measure depressive symptoms. The patients showed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criterion being a BDI score at least 16.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telephone follow-up for one year.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cNemar test. The patients decreased their mean glycosylated hemoglobin(HbAlc) levels by 1.9%(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change in the fasting blood sugar(FBS) level, with a mean change of -61mg/$d{\ell}$(p=0.008).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elephone follow-up may be effective in the HbAlc and FBS control.

  • PDF

An Update on Accumulating Exercise and Postprandial Lipaemia: Translating Theory Into Practice

  • Miyashita, Masashi;Burns, Stephen F.;Stensel, David J.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sup1호
    • /
    • pp.3-11
    • /
    • 2013
  • Over the last two decades, significant resear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acute effect of a single bout of exercise on postprandial lipaemia. A large body of evidence supports the notion that an acute bout of aerobic exercise can reduce postprandial triacylglycerol (TAG) concentrations. However, this effect is short-lived emphasising the important role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lowering TAG concentrations through an active lifestyle. In 1995, the concept of accumulating physical activity was introduced in expert recommendations with the advice that activity can be performed in several short bouts throughout the day with a minimum duration of 10 minutes per activity bout. Although the concept of accumulation has been widely publicised, there is still limited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it but sever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cumulated activity on health-related outcomes to support the recommendations in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One area, which is the focus of this review, is the effect of accumulating exercise on postprandial lipaemia. We propose that accumulating exercise will provide additional physical activity options for lowering postprandial TAG concentrations relevant to individuals with limited time or exercise capacity to engage in more structured forms of exercise, or longer bouts of physical activity. The benefits of accumulated physical activity might translate to a reduc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long-term.

부산지역 건강검진 수검자의 식행태와 혈청 지질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Serum Lipids of Health Examinees at General Hospitals in Busan)

  • 손은주;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6-52
    • /
    • 2013
  •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수검자 209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혈청지질 농도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인의 식습관 및 식품섭취유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건강증진센터 이용자 및 심혈관계질환자들을 위한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조사대상자의 BMI는 여자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1)으로 높았고, 남자가 여자보다 BMI가 높았다. 혈청 지질 농도는 여자가 TC, LDL, TG가 연령이 증감함에 따라 모두 유의적(p<0.01)으로 증가하였고, 남자는 TG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습관 점수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남녀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식습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 전체 점수는 BMI와 유의적인(p<0.05) 음의 상관관계를, 인스턴트식품 섭취 안함은 HDL과 유의적인 양(p<0.01)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품의 섭취빈도에서 과자류 섭취빈도는 HDL과는 유의적인(p<0.05) 음의 상관관계를, LDL과 TG와는 유의적인(p<0.05)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지방 식품 섭취빈도는 HDL과는 유의적인(p<0.01) 음의 상관관계를, LDL과는 유의적인(p<0.01)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육류(p<0.05)와 인스턴트식품(p<0.01) 섭취빈도는 HDL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튀김류(p<0.01) 섭취빈도는 TG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식품군별 섭취빈도와 혈청지질 농도와 의미있는 관계를 보인 식품군들이 나타났지만 앞으로 조사대상자를 확대시킨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사패턴에 맞는 식사관리 지침 프로그램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의 심박변이도와 혈중 지질 농도와의 연관성 (Heart Rate Variability and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안은정;최진숙;장용이;이해우;심현보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1호
    • /
    • pp.27-34
    • /
    • 2012
  • 목 적 : HRV 검사는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억제 체제에 의해 조절되는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민감하고 비침습적인 도구로 인정받고 있다. 우울증 환자들은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자율신경계 억제 기전의 교란을 받게 된다. 우울증은 또 심혈관 질환의 이환과 사망률을 예측하는 독립적 예측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V 검사를 통하여 정상인과 우울증 환자 사이에서 HRV와 lipid level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 : 2011년 7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서울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우울증 클리닉에 내원한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 환자(42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들과 나이, 성별을 일치시킨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 중 정신과 과거력과 신체 질환이 없는 사람(32명)을 대상으로, HRV, 혈중 지질 농도, HAM-A(hamilton anxiety scale), HAM-D(hamilton depression scale)를 조사하였다. 우울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을 독립표본 t-검정 및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Pearson 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의 심각도, HRV 세부지표, 혈중 지질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p<0.05). 결 과 : 우울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에 인구학적 변인은 차이가 없었으며, 우울증 환자군에게서 HAM-D & HAM-A 점수가 높았다. 혈중 지질 농도 검사에서, 우울증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cholesterol, TG, LDL 수치가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HRV 시간영역 분석(time domain analyses)에서, 우울증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SDNN이 낮게 나왔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ApEn(approximate entrophy)이 정상군보다 우울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pEn은 LDL, HAM-D, HAM-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우울증 환자군의 HRV에서 ApEn이 정상대조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ApEn은 최근에 개발된 비선형적 분석으로 HRV 신호가 얼마나 복잡한 지를 통계적으로 정량화한 수치이며, 데이터 양이 적고, 잡음이 많은 생리학적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pEn이 우울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으며, ApEn이 LDL, HAM-D, HAM-A와도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HRV를 임상적 상황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에 있어, ApEn을 새로운 평가 도구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석류 종자유로부터 얻어진 Conjugated Linolenic Acid를 함유한 기능성 고체지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nic acids extracted from pomegranate seed oil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이구;신정아;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95-405
    • /
    • 2012
  • 기능성 지방산인 CLnA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석류 종자유로부터 합성된 가수분해물과 고체지인 팜 스테아린을 기질로 사용하여 Lipozyme TL IM 효소를 촉매로 하여, 기능성 고체지들을 무용매 반응(NH-SL)과 n-hexane 반응(H-SL)조건에서 합성하였다. 합성은 기질 비율 1:6 몰(w/w, PS:HPSO)로, 각 12, 24, 72 hr 동안 반응하여 이루어졌다. 합성 후 반응물은 탈산과정을 수행한 후 각 기능성 고체지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지방산 조성분석결과,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NH-SL에서 CLnA의 함량은 34.38%, 37.68%, 40.63%의 함량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H-SL에서 CLnA의 함량은 36.81%, 41.19%, 45.83%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p<0.05). TAG 조성분석 결과, 기능성 재구성지질들(NH-SL, H-SL)에는 LnLnLn(PN=36), LnLnL(PN=38), LnLL과 LnLnP(PN=40), LLL(PN=42), PLP(PN=46), OOLn과 PLO, POP, PPS(PN=48), LOO, POS(PN=50)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LnLnLn의 함량이 1.63%에서 11.54%로 증가하였고, H-SL의 경우 5.89%에서 18.45%로 증가하였다. 또한 주된 TAG 조성인 LnLnP의 경우 각각 23.15~33.77%(NH-SL)와 28.76~36.44%(H-SL)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합성한 석류종자유 가수분해물의 산가는 200.46이었으며, 합성 후 탈산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산가는 1.05~1.41로 낮았다. 또한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요오드가 측정결과, 무용매 반응과 용매 반응 모두에서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요오드가가 점차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LnA의 함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IV가 점차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고체지들의 total tocopherol 함량 측정결과,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3.37~2.13 mg/100 g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H-SL의 경우 3.89~2.51 mg/100 g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SFI 측정결과, H-SL의 경우 $10^{\circ}C$에서 NH-SL보다 고체지 함량이 낮았으며, $25^{\circ}C$에서는 거의 액체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융점이 낮으며 불포화지방산인 CLnA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마가린과 같은 적절한 spreadability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무용매 반응(NH-SL)에서 12 hr과 24 hr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이 적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72 hr 동안 반응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NH-SL, H-SL)의 경우, $3.86{\AA}$에서 낮은 강도를 나타내어, 주로 ${\beta}$'의 결정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