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ed light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5초

일로부터 추구하는 '재미'의 중요성 - 창의 노동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고찰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labor)

  • 안채린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5-144
    • /
    • 2017
  • 본 연구는 창의 노동자들의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생산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6명의 예능 방송 PD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창의 노동자들의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해석되었다. 이는 외부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미와 창의적 생산자로서 경험하는 재미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어서 창의 노동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창의적 업무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충돌과 갈등(시청률, 경제적 안정성, 일-삶의 균형)에 맞서 해당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원동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창의 노동자들이 창의 노동 과정에 산재해있는 자기 착취적 요소들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내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상적이지 않은 창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받아들이고 창의 노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의 노동자들의 특수한 경향에는 일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가 기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Job Vocational Calling on Job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Job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74-586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보육정책을 제일선에서 담당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관리에 관한 유의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직무와 관련하여 특정한 사고나 의식이 태도를 구축하고 태도가 근원이 되어 행동이 이루어진다는 인과관계를 염두에 두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열의 직무소진 등 직무태도, 창의적 행동 적극적 행동 윤리적 행동 등 직무행동을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209명의 보육교사가 응답한 구조화된 설문지 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었으며,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보육교사들은 근무시간이 초과될수록 직무소진이 심해졌으며, 직무소명의식은 직무태도 중 직무열의만, 직무행동 중 창의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만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직무열의만이 직무소명의식과 적극적 행동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Effects of Glass Texturing Structure on the Module Efficiency of Heterojunction Silicon Solar Cells

  • Park, Hyeongsik;Lee, Yoo Jeong;Shin, Myunghun;Lee, Youn-Jung;Lee, Jaesung;Park, Changkyun;Yi, Junsi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6권4호
    • /
    • pp.102-108
    • /
    • 2018
  • A glass-texturing technique was developed for photovoltaic (PV) module cover glass; periodic honeycomb textures were 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 lithography technique and diluted hydrogen fluoride etching solutions. The etching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three different types of textured structures. In contrast to a flat glass substrate, the textured glasses were structured with etched average surface angles of $31-57^{\circ}$, and large aspect ratios of 0.17-0.47; by using a finite difference time-domain simulation, we show that these textured surfaces increase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and reduce reflectance on the glass surface. In addition,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textured glass was markedly improved by up to 95% for wavelengths ranging from 400 to 1100 nm. Furthermore, applying the textured structures to the cover glass of the PV module with heterojunction with intrinsic thin-layer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resulted in improvements in the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and module efficiency from 39 to $40.2mA/cm^2$ and from 21.65% to 22.41%,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proposed method has the potential to further strengthen the industrial and technical competitiveness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Agreement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ith Those Using Actigraph Devices, Focusing on th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State

  • Seo, Kyoungsan;Jung, Mi Ok;Suh, Minhee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4호
    • /
    • pp.287-29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of physical activity (PA) between data obtained from wearable Actigraph devices an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nd PA.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physical measurements and surveys. PA was measured through both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the Actigraph GT3X+ devic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s well as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scores,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Bland-Altman plot method were employed. Results: Data from 36 healthy adults were analyzed. The overall levels of PA measured using the IPAQ and the Actigraph were 1,891.69 MET min/week and 669.96 MET/day, respectively. Total levels of PA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ologies. However, the moderate-intensity PA resulting from the IPAQ scor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ight-intensity PA recorded by the Actigraph. The Bland-Altman p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levels of PA as measured by the two different methods did not match. In addition, PA measured using the Actigraph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PA measured using the IPAQ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iv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the wearable Actigraph do not correlate or match in healthy adults.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 intensity through the Actigraph, or other wearable devices equipped with smartphone apps.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MZ세대의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MZ Users' Perception of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 김영주;권선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7-240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요소가 중요해지면서 메타버스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고, MZ세대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발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한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방향은 첫째, 메타버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둘째, 소통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를 장점으로 한 서비스의 제공. 셋째,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메타버스에 대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사서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 다섯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다.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대학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 (Recommendation System of University Major Subject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임덕선;민연아;임동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15
    • /
    • 2023
  • 기존의 단순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은 학생들의 수강 이력 데이터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수업을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개인화된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의 학과, 학년, 수강 이력 등의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각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와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전공과목을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DRL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통해 대학생들이 전공과목을 선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추천 시스템은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에 비해 수강 과목 예측률에서 약 20%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반영하여 개인화된 과목 추천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이 자신의 선호와 목표에 맞는 전공과목을 찾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열경화가 가능한 poly(p-phenylenevinylene)계 정공전달 물질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Cross-linkable Hole Transporting Material Based on Poly(p-phenylenevinylene) Derivative)

  • 최지영;이봉;김주현
    • 공업화학
    • /
    • 제19권3호
    • /
    • pp.299-303
    • /
    • 2008
  • 열경화가 가능한 PPV유도체인 poly[(2,5-dimethoxy-1,4-phenylenevinylene)-alt-(1,4-phenylenevinylene)] (Cross-PPV)를 Heck coupling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Cross-PPV 박막은 $200^{\circ}C$에서 경화 시키면 일반적인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의 고분자 박막이 된다. 열경화 전 후의 Cross-PPV의 구조는 FT-IR로 확인하였으며 구조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경화된 Cross-PPV는 일반적인 유기용매에 대하여 내용매성이 강하다. 순환전압전류법과 흡수분광법으로 측정한 경화된 Cross-PPV의 호모 및 루모 에너지 준위는 각각 -5.11 eV와 -2.56 eV으로 ITO로 부터의 정공주입장벽(hole injection barrier)이 작아(약 0.1 eV) 정공주입층으로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 호모 및 루모 에너지 준위가 각각 -5.44 eV, -3.48 eV인 poly(1,4-phenylenevinylene-(4-dicyanomethylene-4H-pyran)-2,6-vinylene-1,4-phenylene-vinylene-2,5-bis(dodecyloxy)-1,4-phenylenevinylene) (PM-PPV)을 발광층으로 사용하여 두층의 구조(bilayer structure)를 갖는 소자(ITO/crosslinked Cross-PPV/PM-PPV/Al)를 제작, 특성을 평가한 결과 최대 효율은 0.024 cd/A, 최대 발광세기는 $45cd/m^2$으로 단층형 소자(ITO/PM-PPV/Al)(최대 효율 = 0.003 cd/A, 최대 발광세기 = $3cd/m^2$)에 비하여 매우 월등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층의 구조를 가지는 다층형 소자의 발광스펙트럼은 단층형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과 동일하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ITO 및 Al에서 주입된 전자는 모두 발광층인 PM-PPV층에서 재결합(recombination)되어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All Solution processed BiVO4/WO3/SnO2 Heterojunction Photoanode for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 Baek, Ji Hyun;Lee, Dong Geon;Jin, Young Un;Han, Man Hyung;Kim, Won Bin;Cho, In Sun;Jung, Hyun Suk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7-417
    • /
    • 2016
  • Global environmental deterioration has become more serious year by year and thus scientific interests in the renewable energy as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replacement of fossil fuels have grown exponentially. Photoelectrochemical (PEC) cell consisting of semiconductor photoelectrodes that can harvest light and use this energy directly to split water, also known as photoelectrolysis or solar water splitting, is a promising renewable energy technology to produce hydrogen for uses in the future hydrogen economy. A major advantage of PEC systems is that they involve relatively simple processes steps as compared to many other H2 production systems. Until now, a number of materials including TiO2, WO3, Fe2O3, and BiVO4 were exploited as the photoelectrode. However, the PEC performance of these single absorber materials is limited due to their large charge recombinations in bulk, interface and surface, leading low charge separation/transport efficiencies. Recently, coupling of two materials, e.g., BiVO4/WO3, Fe2O3/WO3 and CuWO4/WO3, to form a type II heterojunction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viable means to improve the PEC performance by enhancing the charge separation and transport efficiencies. In this study, we have prepared a triple-layer heterojunction BiVO4/WO3/SnO2 photoelectrode that shows a comparable PEC performance with previously reported best-performing nanostructured BiVO4/WO3 heterojunction photoelectrode via a facile solution method. Interestingly, we found that the incorporation of SnO2 nanoparticles layer in between WO3 and FTO largely promotes electron transport and thus minimizes interfacial recombination. The impact of the SnO2 interfacial layer was investigated in detail by TEM, hall measurement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techniques. In addition, our planar-structured triple-layer photoelectrode shows a relatively high transmittance due to its low thickness (~300 nm), which benefits to couple with a solar cell to form a tandem PEC device. The overall PEC performance, especially the photocurrent onset potential (Vonset), were further improved by a reactive-ion etching (RIE) surface etching and electrocatalyst (CoOx) deposition.

  • PDF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포와 상관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Microenviromnent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rnbong Biosphere Reserve Area, Korea)

  • 이규송;조도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41-253
    • /
    • 2000
  • 생태계 내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 요인의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일은 생태계의 구성원리와 생태계의 관리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점봉산 일대의 온대낙엽수림에서 식생요인과 환경요인의 공간적 이질성을 정량화하고, 임상식생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소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은 영구방형구내 미소지소간에 변이를 나타내었다. 환경요인 중에서 공간의존도가 높은 요인들은 지형적요인(고도, 경사도), 낙엽층 두께, 토양수분 함량 및 상대광도이었고, 공간의존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요인은 낙엽층 두께, 상대광도 및 마그네슘 함량이었다. 식생요인 중에서 아교목층의 피도, 가을 초본층의 피도 및 철쭉꽃의 피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들의 공간의존도는 높은 편이었다. 교목층의 피도, 관목층의 피도 및 가을 초본층의 종다양성 지수의 공간의존거리는 15 m 이내이었고,초봄 초본층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및 가을 초본층의 종풍부도의 공간의존거리는 28∼48 m이었다. 초봄과 가을 임상식물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낙엽층 두께, 경사도, 아교목층의 피도, 관목층의 피도, 조릿대의 피도 등이었는데,그 중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낙엽층 두께로서 낙엽층 두께가 두꺼운 곳일수록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낙엽층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바람의 방향, 미소지형 및 관목의 밀집정도로 추정되었다.

  • PDF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Practicum of Student Teachers Majoring in Physics Education)

  • 윤혜경;심재규;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9-299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in the light of constructivist view of teacher education. Participant observation, unstructure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the role of practicum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9 student teachers majoring in physics education; 8 had participated at boys junior high school, 11 at senior high school. The student teachers had very critical and negative perception on their school days' science lessons. They had expected to do 'better' in their practicum but there were only 3 to 5 opportunities of teaching under the umbrella of textbook. Explanation in the classroom and solving exercise problem were the main features of student teachers' lessons. Much of the lessons were similar when it is to same topic and the main reference for their lesson preparation was the textbook. The student teachers felt the design of teaching approach as the most difficult thing during their lesson preparation. They realized that teaching is harder than they thought and they should consider students' level and responses. Though they had become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teaching job through their field experiences, their decision on job preference did not change. More than half did not want to be a teacher. The student teachers recognised the course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as the most useful to their teaching in practice among the program of college of education which they had taken. The experience of writing one lesson plan or teaching in front of their peers, designing a new demonstration equipment were recognised as valuable and helpful element of the courses. They proposed to reduce the amount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to emphasize the courses relevant with science education and practicum. The limited opportunity of teaching in practicum was pointed out as problematic. Though the practicum was recognized as a 'good' experience to student teachers, it was confined by textbook and limited teaching opportunity. In conclusion, the practicum was not organized and implemented as a meaningful experience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ere should be more structured studies on what kind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e student teachers had brought to the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 how they interact with the elements of the program and how they affect to their science teach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practicum also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so as to make practicum as a meaningful experience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