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safety management pla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8초

사회 연결망분석을 활용한 법제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원자력산업의 관계 법령정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structure of the nuclear law syste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전지은;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7-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원자력 법제의 전체적인 법령조항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법적 체계의 정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원자력기술의 안전규제의 중심 법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원자력안전법"의 법령 구조를 파악하여 안전관리에 있어서의 주요 규정에 대해 검토하고 원자력 안전관리 및 규제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동법의 법적체계의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입법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원자력기술 및 산업관련 정책수립 활동 과정에서 과도한 입법 활동을 줄이고, 제 개정의 필요성 시급성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또한 향후 타 과학기술의 정책분야에 적용하여 법률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도로포장 상태에 대한 분석 및 구조적 개선방안 (Analysis of Road Pavement Condition and Structural Improvement Plan)

  • 배윤신;신경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9-137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시 도로포장의 구조적 개선을 위하여 포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파손 발생과 도로포장 상태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조사에서는 플랜트, 시공 및 감리 분야 실무자 의견을 통하여 서울시 도로포장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선진 도로포장 관리 사례를 조사하여 서울시 도로포장 관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결론으로는 서울시 중하중과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한 도로파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하여 획일적인 덧씌우기 공법으로 인한 도로포장의 조기파손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실무자에 대한 교육의 강화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시 보다 철저한 온도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벽식구조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A Process Model of Eco-friendly Demolition Work for Wall Type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기현;김경래;한주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204-215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 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a Process Model of Environment-friendly Demolition Works for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92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 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 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역할 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

  • 홍지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21-30
    • /
    • 2018
  • This study aims for improving the system i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overall disaster management system was compar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reliability,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has a structure that promptly investigates and restores damage by a simple procedure. Korea disaster management system manages information on top-down structural disasters through the flow of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The process from disaster response to recover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disaster safety headquarters is simplified. Disaster management tasks are dispersed among departments,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uch as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and recovery, are carried out. The disaster managemen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focusing on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budget to operate the organization - centered disaster management budget and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The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disaster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plan. In order to utilize disaste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nformation system such as integrate and streamline of the private resource database and NDMS.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y Principles, Organizational Action on Work-related Stress and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in Italy

  • Stavroula Leka;Luis Torres;Aditya Jain;Cristina Di Tecco;Simone Russo;Sergio Iavicol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4호
    • /
    • pp.425-430
    • /
    • 2023
  • Background: It is acknowledged that legislation acts as a motivator for organizational action on psychosocial risks. Our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policy principles and organizational action on work-related stress, and, in turn, with reported employee job demands and resources and their experience of work-related stress. We focus on Italy where specific legislation and practices on work-related stress were introduced in 2008 which are underpinned by these key OSH policy principles.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Italian samples from the employer ESENER-2 and employee 6th EWCS surveys was conducted, using path analysi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linking the two datasets. Results: We found a stro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SH policy principles and organizational action on work-related stress (C.I. = .62-.78 p < .001). The existence of an organizational action plan on work-related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reported job resources (C.I. = .02-.24, p < .05) but these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work-related stres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having an organizational action plan for work-related stress and reported job demands. However, job demand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ported work-related stress (C.I. = .27-.47, p < .001). Conclusions: Findings add support to the call for specific legislation on work-related psychosocial risks and highlight how an organizational OSH culture underpinned by key OSH principles, and awareness/competence development on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action. However, further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organizations around developing primary prevention intervention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 the aim of reducing job demands.

증강현실을 활용한 배근 이력 가시화 방안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Visualization of Bar Placing Records Using Augmented Reality)

  • 박우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6-127
    • /
    • 2018
  • Rebar work is important in terms of cost and proces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long with formwork and concrete construction, and the quality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horoughly inspect the steel reinforcement after casting the concrete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einfor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o visualize the records of bar placing work, which is increasingly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order to improve maintenance of reinforced concret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effectively manage the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uctural drawing, the placing drawing, and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construction and inspection stage, and develop a system that utiliz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can display the state of the inside of a concrete structure by superimposing it on actual environment.

  • PDF

FACTORS ACOUNTING FOR ACTIVITY-TIME AND PROJECT-TIME UNCERTAINITIES IN BORED PILES CONSTRUCTION PLANNING: CASE STUDY ON A BUIDLING PROJECT IN HONG KONG

  • Stephen K.K. Cheng;Ming Lu;Hongqin F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47-753
    • /
    • 2009
  • Planning the construction for a system of bored piles in building foundation engineering is (1) to predict the time duration required to complete all the bored piles with due consideration of relevant engineering factors and site constraints; then (2) to predict the total project time generally by aggregating the predicted working duration for construction of each bored pile. The duration for construction of an individual bored pile results from analyzing various working sequences and different activity duration (such as predrilling, excavation, steelfixing, air-lifting, and concreting, etc.), which is informed by experiences and site records of previous projects. However, determining the project duration for constructing many bored piles on one site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adding up the time duration for individual piles. In practice, project schedules are often found to be unrealistic and incorrect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This is because construction planning is not based on a exhaustiv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ite factors, such as site layout plan, site constraints, quality control, environmental control, safety control and 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rades. In this paper, we identify those factors based on a foundation engineering site in Hong Kong with ninety-seven bored piles and address their effects on uncertainties in activity time and project time.

  • PDF

정규화 기법 기반의 설계VE 기능 및 비용 점수 산출 모델 (Calculation Model for Function & Cost Score based on Normalization Method in Design VE)

  • 이종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98-106
    • /
    • 2015
  • VE는 공공건설사업의 예산절감과 기능향상, 구조적 안전, 품질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내용이 설계의 경제성 검토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적 안전과 품질확보를 위한 검토가 미흡해 질 가능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VE를 단순한 원가절감방법으로 생각하는 인식으로 인해 VE 수행 시 비용절감에 치중된 대안이 제시되어 왔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정부에서는 생애주기비용절감 가치향상 제안서를 도입하고 원안과 대안의 비용 점수와 기능 점수, 가치 변화를 명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과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론적 근거보다는 실무적 편의 위주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행 방법은 원안과 대안의 비(比)를 이용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하지만 현행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 값을 점수화 하면 설계안 속성에 따라 다양한 값이 산출되어 광범위한 점수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많은 양의 VE 안을 평가하여 수정 설계를 위한 최적 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평가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이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요소로서, VE대안의 비용과 성능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가치 점수의 신뢰성 및 객관성 검증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VE 안 평가 시 의사결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기능 점수와 비용 점수 산출 절차와 방법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으로서, 정규화 기반의 기능 및 비용 점수 산출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3종시설물 지정을 위한 실태조사 체크리스트 개선방안 (Propose an Improvement of Checklist for Actual Condition Survey for Designation of Class-lll Facilitie)

  • 윤지호;장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0-101
    • /
    • 2021
  • Facilities with high risk of a disaster or requiring continuous safety management are designated as class-III facility. In order to designate a class-III facility, it is evaluated based on the safety status of the facility, the risk to the building users, and the number of years elapsed of the facility, etc. and this shall be referred to the actual condition survey for the designation of a class-III facility. I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conducted to designate the safety status is calculated by the checklist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s consisting of five stages each item, and is evaluated in three stages by 'good', 'careful observation', and 'designated review' through the average of the combined scores. Currently, the actual condition survey being conducted applies only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risk factors such as damage to the finish, the risk of cracking, and the type and weight of major structures are not included in the checklist for the actual condition survey, so even if experts think it is dangerous, scores cannot be refle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checklist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 for the designation of class-III facility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checklist for the actual condition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