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glulam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집성재건축의 자재특성과 구조디자인 연구 -지붕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of Materials and Structural Designs in the Glulam Architecture -Focusing in the Roof Structure-)

  • 김란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203-215
    • /
    • 1997
  • This Study typed the roof-design in analysis of structural design of the glulam architecture, developed worldwidely, nowaday. For this, it is studied the characters of glulam as the history of glulam architectures, manufacture of glulam, shapes and section of glulam, fireproof and combution of glulam. And it is studied roof-design according to structural type of glulam roof-structure. Conclusively, types of glulam roof design typied as 1)the Simple Beam str., 2)the Multi-Joints continous Beam str. 3)the Hinge str. 4)the Rahmen str. 5)the Archi str. 6)the Grid str. 7)etc str. (Folded-plate str., Radial str., Cylinder Shell str., Ring Dome str., Geodesic Dome str., Conic Coloid Shell str., H.P Shell str. Cantilever Shell str.)

  • PDF

소경재를 이용한 통직집성재의 휨강도 특성 (Bending Strength Properties of glulam made from small diameter logs.)

  • 박준철;홍순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ength and technical feasibility of glulam from small diamete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mall diameter logs are currently not used in structural laminated beam construction, but it is suggested that its properties may be feasible for this purpose. The glulam combinations were designed with high grade laminae located at outer laminations (face) and low grade laminae located at center laminations. Important problems of finger jointed glulam as a structural beam are the small modulus of rupture (MOR). One solution for this problem Mi to use veneer and solid wood as the face laminae. The MOE values were predicted for each beam from laminae. The results showed that actual beam MOE values exceeded slightly the predicted values. Based on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Pinus and Larix glulam, the maximum load of Larix kaempferi glulam indicated large values. The bending properties of A and E types glulam were superior to others. It is suggested that this small diameter log can be a candidate for structural glulam construction, providing the proper combinations of face laminae.

  • PDF

Structural Properties of Steel-glulam Composite Column

  • Jang, Sang-Sik;Kim, Yun-Hui;Shin, Il-Jo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5호
    • /
    • pp.399-404
    • /
    • 2010
  • A new green home designed to save money while at the same time saving the environment with some of the finest green features available in the market. Composite column composed of structural steel and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is avery Eco-friendly building products for design building because that use recycled or second hand. For compare to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glulam), structural steel, and composite column (steel-glulam), tested compressive strength of each specimen. 1)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 Theoretical compressive strength is 151.6 kN similar to elastic limits. 2) structural steel (H type) : Theoretical compressive strength is 148.2 kN little under the elastic limits. 3) structural steel (D type) : Theoretical compressive strength is 147.3 kN upper than the elastic limits. 4) composite column : Actual elastic limits are about 600 kN. Result in, composite column improve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steel column and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uilding.

CuAz-3처리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한 구조용 집성재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Laminated with CuAz-3 Preservative Treated Lumber)

  • 김광모;엄창득;이상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21-530
    • /
    • 2011
  • 구조용 집성재의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다양화되면서 교량이나 파고라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는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 내구성 구조용 집성재에 대한 시장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산 침엽수재로 제조되는 구조용 집성재에 적합한 방부처리 기술 및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부처리된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고 제조 단계별 생산수율과 KS 품질기준 충족여부를 평가하였다. 방부집성재의 제조수율은 일반 집성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목재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집성재 제조수율 향상방안과 함께 부산물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리기다소나무 방부처리재의 경우 불균일한 방부약제 흡수량으로 인하여 구조용 집성재 제조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집성재 제조 후에 유용성 방부제를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요구되었다.

복합재료로 보강된 집성보의 휨 실험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Bending Test of Glulam Beam Reinforced with GFRP Strips)

  • 김영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99-204
    • /
    • 1999
  • 최근에 복합재료는 콘크리트, 집성보와 같은 기존의 구조재를 보강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의 집성보 구조물은 춤이 큰 부재를 필요로 하는데 섬유보강판을 이용하여 보의 상하부를 보강하면 춤을 크게 하지 않고도 보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성보에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판(GFRP)을 붙여 스팬 중앙에 집중하중을 가한 휨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결과를 층간이론을 이용한 수치해석법과 비교하였다.

  • PDF

Bearing Strength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Bolted Connection

  • Kim, Keon-ho;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652-660
    • /
    • 2015
  • To study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for structural design, bearing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Bearing loads were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ains, and the holes were prepared in such a way that the bolts would bear and support all the layers. The yield bearing strengths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non-reinforced glulam, and were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increases in bolt diameter. The ratio of the experimental yield bearing strength to the estimated bear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suggested equation of the Korea Building Code and National Design Specification was 0.91~1.03. For the non-reinforced glulam and the sheet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ulam, the maximum bearing load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plitting fracture of specimens under bolt. The textil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underwent only an embedding failure caused by the bearing load. The failure mode of reinforced glulam according to bearing load will influence the failure behavior of bolted connection, and estimating the shear yield strength of the bolted connection of the reinforced glulam is necessary, not only by using the bearing strength characteristics but also using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reinforced glulam.

Feasibility of Non-Korean Standard Glulam Using a Lower Grade Lamina of Japanese cedar for Structural Use

  • Oh, Jung-Kwon;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85-93
    • /
    • 2010
  • Japanese cedar has low density and poor mechanical performance. Manufacturing glue-laminated timber (glulam) is the best way to compensate for its poor mechanical performance. The Korean Standard (KS) confines outermost lamina of glulam to higher grade than E8, but the yield of higher than grade E8 from logs is only 6.5%.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on-Korean-Standard glulam in structural applications. Allowable stresses determined by both hand-calculation and Monte-Carlo simulation show a higher allowable stress than that of the KS-standard glulam of 6S-22B. In the Korean Standard (KS), knot characteristics are not taken into account. Japanese cedar has relatively small knots. We believe that the small knots in Japanese cedar contribute to a higher allowable stress than the KS-standard glulam would predict. The species classification of KS is required to be further subdivided into sub-species groups based on knot characteristics.

낙엽송 블록접착집성재의 접착 및 휨 강도 성능 (Bending and Bo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Larix Block-glued Glulam)

  • 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15-322
    • /
    • 2016
  • 2개 이상의 보부재 집성재 요소들의 측면접착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대단면 목조건축물의 건축부재로 활용 가능한 구조용재다.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은 접착제의 종류와 도포량 및 압체압력을 각기 다른 조합으로 접착하여 박리시험과 전단블록시험으로 접착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레조시놀접착제 $500g/m^2$을 도포하고 압체압력 1.5 MPa의 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성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양호한 측면접착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동일단면계수의 대조군 집성재와 휨 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블록접착집성재의 휨 탄성계수는 대조군 집성재와 유사하였으며, 파괴계수는 대조군집성재 보다 27% 향상되었다. 할렬은 대조군집성재 보다 블록접착집성재에서 다량 발생하였으며,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층에서 계면파괴나 응집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집성재를 이용한 막구조물의 시공 및 설계 (Membrane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by Using Glued Laminated Timber)

  • 황부진;고광웅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2
    • /
    • 2008
  • 목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공학목재는 기존에 구조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목재제품에 비해 강도가 높으면서도 안정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설계 상세에 따라 부재를 주문 제작이 가능하며, 대규모 건축물에도 주요 구조체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장 스팬이 요구되는 재료로 구조용 집성재나 목재 I형장선, 단판적층재(LVL) 등을 활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공학목재 중에서 집성재 및 막재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으로, 강원도 뿌리기념관 공원공사 중 "야외무대 지붕공사"로 구조 재료, 구조설계 및 시공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 구조재는 PVF/PFLT(테드라 필름코팅) 소재의 막이 사용되었다. 기둥 및 경사 부재는 강재(SS400)를 사용하였고, 캔틸레버 보 부재는 비대칭 구성 집성재(10S-28B)를 이용하였다.

  • PDF

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심국보;박주생;김운섭;임진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22
    • /
    • 2007
  •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