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alteration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Advanced Onset of Puberty in High-Fat Diet-Fed Immature Female Rats - Activation of KiSS-1 and GnRH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

  • Lee, Song-Yi;Jang, Yeon-Seok;Lee, Yong-Hyun;Seo, Hyang-Hee;Noh, Kum-Hee;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9
  • In mammals, puberty is a dynamic transition process from infertile immature state to fertile adult state. The neuroendocrine aspect of puberty is started with functional activation of hypothalamus-pituitary-gonadal hormone axis. The timing of puberty can be altered by many factors including hormones and/or hormone-like materials, social cues and metabolic signals. For a long time, attainment of a particular body weight or percentage of body fat has been thought as crucial determinant of puberty onset. However, the precise effect of high-fat (HF) diet on the regulation of hypothalamic GnRH neuron during prepubertal period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ye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effect of a HF diet on the puberty onset and hypothalamic gene expressions in immature female rats. The HF diet (45% energy from fat, HF group) was applied to female rats from weaning to around puberty onset (postnatal days, PND 22-40). Body weight and vaginal opening (VO) were checked daily during the entire feeding period. In the second experimen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on PND 36 to measure the weights of reproductive tissues. Hist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HF diet feeding on the structural alterations in the reproductive tissues. To determine the transcriptional changes of reproductive hormone-related genes in hypothalamus, total RNAs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the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Body weights of HF group animals te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imals between PND 22 and PND 3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PND 32, PND 34, PND 35 and PND 36 (p<0.05). Advanced VO was shown in the HF group (PND $32.8{\pm}0.37$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PND $38.25{\pm}0.25$). The weight of ovaries (p<0.01) and uteri (p<0.05) from HF group animal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ose from control animals. Corpora lutea were observed in the ovaries from the HF group animals but not in control ovaries. Similarly, hypertrophy of luminal and glandular uterine epithelia was found only in the HF group animals. In the semi-quantitative RT-PCR studies,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KiSS-1 in HF group anim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the control animals (p<0.001). Likewise, the mRNA levels of GnRH (p<0.05)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HF group animals.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feeding HF diet during the post-weaning period activates the upstream modulators of gonadotropin such as GnRH and KiSS-1 in hypothalamus, resulting early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 PDF

鷄胚의 細胞胞分化에 있어서 細胞 및 原形質膜 糖蛋白質의 變化 (Alterations in Cellular and Plasma Membrane Glycopreteins in Chicken Myogenesis in Vitro)

  • Kang, Man-Sik;Song, Woo-Keun;Ho. Woo Nam;Chung, Chang-Y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5-136
    • /
    • 1985
  • 본 연구는 계배근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에서 조절을 받는 단백질이 있는 지의 여부를 가려내기 위해서 근세포 및 그 원형질막의 당단백질의 변화양상을 표지된 Con A 염색법을 써서 검토한 것이다. 당단백질 중에는 세포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8종, 원형질막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4종, 그리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9종이 있었다. 그중에서 분화하는 동안에 변하지 않는 것, 증가하는 것, 감소하는 것, 증가하다 감소하는 것, 그리고 감소하다 증가하는 것 등 다섯가지 종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fibronectin이 근관형성후에는 감소되는 사실이 판명되었는데, 이 결과는 지금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어오던 상반된 결과들이 분화과정 중에서 택한 시기의 차이에 따라 나타난 결과들로 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근세포의 융합이 진행될수록 고분자량의 당단백질은 감소하고, 대신 저분자량의 당단백질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이와같은 결과는 근원세포가 융합을 함에 따라서 당단백질의 구조적인 재편성이 일어남을 암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 PDF

흡연 시 인삼, 쑥, 솔잎 추출물이 폐 세포의 구조와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Ginseng, Wormwood and Pine needle in Pulmonary Structure and Anti-oxidant Enzyme in Smoking)

  • 정혁;김상기;김상국;성미영;김현정;김범학;김유영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38-142
    • /
    • 2004
  • 본 실험에서 메탄올을 추출 용매로 한 인삼, 쑥, 그리고 솔잎 추출물을 수동분무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통해 직접 실험동물에게 투여하였을 경우 그 효과가 폐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에도 길항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즉, 추출물을 흡입시킴으로서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흡연으로 인한 세포의 파괴 및 불규칙적인 구조 이상을 줄일 뿐만 아니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인삼의 saponin, 쑥의 sesquiterpene과 cineol, 솔잎의 rutin 등의 항산화제의 작용에 의해 흡연으로 생긴 유해 라디칼의 분해를 촉진시키거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in vitro나 in vivo에서의 경구투여나 주사를 통한 방법이 아니라 호흡을 통해 직접 폐에 투입함으로써 그 결과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rphologic Alterations in Amygdala Subregions of Adult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Lee, Hyun-Jae;Han, Kyu-Man;Kim, Aram;Kang, Wooyoung;Kang, Youbin;Kang, June;Won, Eunsoo;Tae, Woo-Suk;Ham, Byung-Joo
    • 생물정신의학
    • /
    • 제26권1호
    • /
    • pp.22-31
    • /
    • 2019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inconsistent results on amygdala volume in adult bipolar disorder (BD)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HC). Since the amygdala encompasses multiple subregions, the subtle volume changes in each amygdala nucleus might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measure of the total amygdala volume, causing discrepant results. Thus, we aimed to investigate volume changes in each amygdala subregion and their association with subtypes of BD, lithium use and clinical status of BD. Methods Fifty-five BD patients and 55 HC underwent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analyzed volumes of the whole amygdala and each amygdala subregion, including the anterior amygdaloid area,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basal, lateral, accessory basal, central, cortical, medial and paralaminar nuclei using the atlas in the FreeSurfer. The volume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with individual volumes as dependent variables, and age, sex, and total intracranial volume as covariates. Results The volumes of whole right amygdala and subregions including basal nucleus, accessory basal nucleus, anterior amygdaloid area, and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in the right amygdala of B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C group. No significant volume difference between bipolar I disorder and bipolar II disorder was found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The trend of larger volume in medial nucleus with lithium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lness duration and amygdala volume, and i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right central nucleus volume and depression severity. Conclusions Significant volume decrements of the whole amygdala, basal nucleus, accessory basal nucleus, anterior amygdaloid area, and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were found in the right hemisphere in adult BD patients, compared to HC group. We postulate that such volume changes are associated with altered functional activity and connectivity of amygdala nuclei in BD.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Genistein의 효과 (Effect of Geniste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Female Rats)

  • 이경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06
  • 콩류 섭취가 유방암이나 골다공증,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학계는 물론 일반인들에까지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콩류, 특히 그 주성분인 genistein(GS)이 상기한 긍정적인 효과 외에도 여성의 생식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S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효과와 호르몬 수용체 등 이때의 다양한 생식 지표들의 변화들 조사하였다. GS(100mg/kg/day i.p.)를 생후 25일부터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최초의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다음 날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 변화와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GS가 이들 조직의 세포분열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조직절편의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채취한 혈액내의 LH 수준은 방사면역측정법(RIA)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궁 성숙의 지표가 되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의 mRNA 수준에 대한 정량적인 RT-PCR 조사를 수행하였다. GS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앞당겨짐이 확인되었고 ($35.3{\pm}0.7$ day in control group vs $31.2{\pm}0.6$ day in GS group, p<0.0l), 이 때 GS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관찰하였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 그리고 혈중 LH 수준이 GS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GS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가 되는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의 난소는 미성숙한 난포들만이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GS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는 모든 세포층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의 에스트로겐 유사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RT-PCR에서 난소와 자궁에서의 PR mRNA 수준은 GS 투여에 의해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전 특정 시기에 단기적인 GS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조기 사춘기가 유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di(2-ethyl hexyl)phthalate(DEHP)의 효과 (Effect of Di(2-ethyl hexyl)phthalate(DEHP) on the Onset of Puberty in Female Rat)

  • 이경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147-154
    • /
    • 2006
  • 전세계적으로 매년 대량생산되는 프탈레이트(phthalate)류 물질은 플라스틱처럼 다양한 생활용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노출 정도가 매우 높은 산업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di(2-ethyl hexyl)phthalate(DEHP)와 그 활성 대사물인 monoethyl hexyl phthalate(MEHP)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로 작용하여 인간과 실험 동물의 생식계를 교란한다는 증거들이 급속히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DEHP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생후 25 일부터 corn oil 또는 DEHP(100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다음 날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DEHP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혈액내의 LH 수준을 방사면역측정법(RIA)로 측정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DEHP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35.3{\pm}0.7\;day$ in control group vs $37.3{\pm}0.7\;day$ in DEHP group, p<0.05). 흥미롭게도, 첫번째 주사 다음 날(p<0.05)부터 이후 마지막 주사 날(p<0.01)까지 DEHP 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관찰하였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 그리고 혈중 LH 수준도 대조군에 비해 DEHP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DEHP 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DEHP 군에서는 모든 세포층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는 DEHP가 과립세포에서의 에스트로겐 합성 분비에 억제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RT-PCR 결과 난소(p<0.05)와 자궁(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DEHP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전 특정 시기에 단기적인 DEHP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Vinclozolin의 영향 (Effect of Vinclozol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 안나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45-251
    • /
    • 2007
  •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vinclozolin(VCZ)은 과일, 야채, 관상용 식물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병들을 통제하는데 사용되어왔다. VCZ의 대사산물인 M1과 M2는 흔히 토양, 식물, 포유류에 잔존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VCZ가 갖는 항안드로겐성 활성 때문에 주로 수컷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암컷의 사춘기와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VCZ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후 21일부터 vehicle(DMSO) 또는 VCZ(10 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날 오후에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VCZ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하여 단백질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VCZ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PND $34.00{\pm}1.22$ in control group vs PND $38.20{\pm}1.92$ in VCZ group, p<0.05). 그러나 체중 변화의 경우, 대조군과 VCZ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VCZ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에서는 모든 세포층과 분비선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RT-PCR 결과, 난소(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VCZ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개시 전 특정시기에 단기적인 VCZ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 개시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