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ike/dip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2초

포항분지내 지각변형 해석 (Interpretation of geologic structure in Tertiary Pohang basin, Korea)

  • 이병주;송교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1호
    • /
    • pp.69-77
    • /
    • 1995
  • Tertiary Pohang basin distributed in south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omposed of Chunbuk formation as the basal conglomerate, Hakjon formation, Duho formation and intrusive basalt having 15 Ma by absolute age data. The basement of the basin is represented to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Hakjon welded tuff and Chilpo welded tuff and rhyolite. The fault systems in the basement of Tertiary Pohang basin are consist of $N20^{\circ}E$ fault, $N60^{\circ}W$ and E-W trend. NNE fault is not only strike-slip but also normal dip-slip. WNW fault has sinistral strike-slip sense and the geometry of E-W fault is strike-slip and normal faults. In the basin, the fault system is represented to $N20^{\circ}E$ strike-slip, E-W normal and NNE thrust faults. By these fault relationship and geometry, it is interpreted that NNE sinistral strike-slip fault and N-S normal faults have acted at the Cretaceous basement. After Miocene NNE dextral strike-slip fault has acted and created E-W normal fault. Progressively Tertiary basin was influenced by the transpression to make thrust and fold, namely inversion tectonics.

  • PDF

점진원모델을 사용한 층상지반에서의 깊이에 따른 지반운동 특성 변화연구 (A Study on the Depth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a Layered Ground Medium Using Point Source Models)

  • 고현무;김재관;권기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453-462
    • /
    • 1994
  • 다층 탄성반무한체에서 지진파장의 깊이에 따른 변화특성을 propagator matrix와 경사계단함수(ramp function) 형상의 단층이동함수(fault slip function)를 갖는 점진원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반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고 각층에서는 재료특성이 균일한 지층으로 구성된 반무한체로서 모델링되었다. 각 층에서 지진운동의 지배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 Fourier Hankel 변환기법이 적용되었다. 층상지반아래 반무한체에 있는 연직 dip-slip 및 주향이동(strike slip) 점진원에 의한 각층경계에서의 가속도와 변위의 시간이력과 주파수내용을 개발한 해석프로그램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그 특성을 논의하였다.

  • PDF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단층면해 비교해석 (Fault Plane Solutions for the June 26, 1997 Kyong-ju Earthquake)

  • 정태웅;김우한
    • 지구물리
    • /
    • 제3권4호
    • /
    • pp.245-250
    • /
    • 2000
  • P, S파 극성 및 진폭비를 이용하여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단층면해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절단면의 주향, 경사, 면선각이 $150{\pm}4^{\circ}\;,\;63{\pm}6^{\circ}\;,\;65{\pm}7^{\circ}$ 또는 $18{\pm}12^{\circ}\;,\;26{\pm}3^{\pm}\;,\;120{\pm}5^{\circ}$ 라는 값에서 주향이동이 포함된 역단층성의 단층면이 도출되었다.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주 압축응력을 시사하는 본 연구결과의 단층면해는 저주파 기록을 역산하여 얻은 결과와 거의 일치하며, 양산단층 일대의 미소지진을 복합단층면해에 의해 도출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 PDF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보경사지역의 조구조지형학적 분석 (Tectonic Geomorphology on Yugye-Bogyeongsa Area of Yangsan Fault Zone)

  • 이초희;성영배;오정식;김동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6
    • /
    • 2019
  • The Yangsan Fault is one of the main fault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segments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by its paleoseismic and structural geologic properties. Based on the geomorphic features of the northern segment, which includes the Yugye Fault, we identified deflected streams as a geomorphic marker of strike-slip component of the fault, and knickpoints along the streams as evidence of dip-slip component of the fault. Geomorphic analyses showed that (1)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of deflected streams decreased and (2) the retreat amounts of knickpoints tend to increased toward north along the lineament. We interpreted the variations caused by strain partitioning; that is, there might be some increases of the vertical component toward north, whereas the main strike-slip fault system dies out, splaying into horsetail structure toward north. Based on the response time of the landforms, these interpretations imply that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orizontal slip rate and vertical slip rate along strike, and/or (2) there were different timings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deformations by fault.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진원단층면 방향 (Fault plane solutions of the December 13, 1996 Yeongweol earthquake)

  • 박창업;신진수;지헌철;강익범;류용규
    • 지구물리
    • /
    • 제1권1호
    • /
    • pp.23-30
    • /
    • 1998
  • 격자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1996년 12월 13일에 일어난 규모 4.5의 영월 지진의 진원단층 방향을 추정하였다. 국내의 기상청, 한국자원연구소, 원주 KSRS 관측망과 일본내 관측망에서 기록된 30개의 P파 극성 자료를 이용하였다. 격자 테스트 방법으로부터 계산된 진원단층면의 방향은 스러스트가 포함된 주향 이동 단층임을 보여준다. 즉 진원단층의 방향은 180±20°주향, 50±5°경사, 150±5°면선각(rake), 또는 292±3°주향, 65±5°경사, 30±10°면선각이 된다. 이들 단층 방향은 1980년 1월 7일 삭주, 1981년 4월 15일 포항, 및 1976년 10월 6일 군산 앞바다에서 일어난 지진과 유사하다. 응력의 주 압축 방향은 동북동-서남서의 경향을 가지며, 이는 이전 연구에서 구해진 한반도 및 주변부의 광역의 지구조적 응력 방향과 유사하다.

  • PDF

Favorable driving direction of double shield TBM in deep mixed rock strata: Numerical investigations to reduce shield entrapment

  • Wen, Sen;Zhang, Chunshun;Zhang, Y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37-245
    • /
    • 2019
  • In deep mixed rock strata, a double shield TBM (DS-TBM) is easy to be entrapped by a large force during tunneling. In order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the entrapment, we need to investigate a favorable driving direction, either driving with or against dip, which mainly associates with the angle between the tunneling axis and strike, ${\theta}$, as well as the dip angle of rock strata, ${\alpha}$. We, therefore, establish a 3DEC model to show the changes of displacements and contact forces in mixed rock strata through LDP (longitudinal displacement profile) and LFP (longitudinal contact force profile) curves at four characteristic points on the surrounding rock. This is followed by a series of numerical models to investigate the favorable driving direction. The computational results indicate driving with dip is the favorable tunneling direction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DS-TBM entrapment, irrespective of ${\theta}$ and ${\alpha}$, which is not in full agreement with the guidelines proposed in RMR. From the favorable driving direction (i.e., driving with dip), the smallest contact force is found when ${\theta}$ is equal to $90^{\circ}$.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beneficial for route selection and construction design in TBM tunneling.

Surface Deformation Measurement of the 2020 Mw 6.4 Petrinja, Croatia Earthquake Using Sentinel-1 SAR Data

  • Achmad, Arief Rizqiyanto;Lee, Chang-W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9-151
    • /
    • 2021
  • By the end of December 2020, an earthquake with Mw about 6.4 hit Sisak-Moslavina County, Croatia. The town of Petrinja was the most affected region with major power outage and many buildings collapsed. The damage also affected neighbor countries such as Bosnia and Herzegovina and Slovenia. As a light of this devastating event, a deformation map due to this earthquake could be generated by using remote sensing imagery from Sentinel-1 SAR data. InSAR could be used as deformation map but still affected with noise factor that could problematize the exact deformation value for further research. Thus in this study, 17 SAR data from Sentinel-1 satellite is used in order to generate the multi-temporal interferometry utilize Stanford Method for Persistent Scatterers (StaMPS). Mean deformation map that has been compensated from error factors such as atmospheric, topographic, temporal, and baseline errors are generated. Okada model then applied to the mean deformation result to generate the modeled earthquake, resulting the deformation is mostly dominated by strike-slip with 3 meter deformation as right lateral strike-slip. The Okada sources are having 11.63 km in length, 2.45 km in width, and 5.46 km in depth with the dip angle are about 84.47° and strike angle are about 142.88° from the north direction. The results from this modeling can be used as learning material to understand the seismic activity in the latest 2020 Petrinja, Croatia Earthquake.

경사구조에 대한 쌍극자 IP 응답의 해석 (Analyses of Dipole-Dipole IP Responses over Dipping Structures)

  • 김희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1호
    • /
    • pp.49-55
    • /
    • 1984
  • 유도 분극법에서 지하의 경사 물체에 대한 3차원 표준곡선을 해석하였다. 이들 물체 대한 쌍극자 IP 응답은 적분 방정식을 이용한 수치계산 방법으로 구해졌다. 이때 물체의 경사각은 각각 0,20. 45,70 및 90도 이다. 물체가 수평 (경사각 0 도) 및 수직(경사각 90도)일 때는 단면도에서 대칭성 IP 패턴이 되지만, 20, 45 및 70도로 경사하고 있을 때는 최대값의 등치선이 물체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비대칭성 패턴을 나타낸다. 이중 가장 현저한 비대칭성 패턴은 20도 경사 모델에서 나타났다. 쌍극자 IP 데이터로서 70도 경사물체와 수직물체를 식별하기는 어렵다. 또한 측선이 물체의 중심에서 주향방향으로 멀어질 때의 반응은 IP anomaly가 작은 값으로 단면도에서 보다 깊은 곳에 나타나게 된다. 한편, 탐사대상물의 위치를 추정할 때 평면도는 단연도보다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입체사진을 이용한 원거리 면구조 측정 (Remote Measurements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Using Photogrammetric Method)

  • 황상기
    • 지질공학
    • /
    • 제15권2호
    • /
    • pp.201-212
    • /
    • 2005
  • 입체사진을 이용하여 암반절취면의 지질구조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획된 입체사진을 획득할수 있는 사진기 시스템과 사진을 분석 할 수 있는 s/w가 제작되었다. 제작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 건설사면에서 컴퍼스와 사진으로 측정된 25개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2배의 표준편차 범위에서 주향은 $5.25\pm4.53$, 경사는 $3.18\pm3.17$의 오차로 서로 일치하였다. 동일 구조면을 사진으로 20회 반복 측정한 결과는 동일 오차범위에서 $8.2\pm3.4$, 경사가 $6.6\pm3.4$의 오차를 보였다. 이 결과는 암반구조의 측정에서 일반적으로 허 용되는 10도 이내의 오차범위 이므로 제작된 시스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제작된 시스템을 현재 도로공사가 진행중인 5개의 사면에 적용하여 컴퍼스와 사진측정 기법의 결과를 투영망에 점기하여 비교한 결과, 두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가 매우 유사함이 입증되었다. 사진측정의 경우는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절취면의 지질구조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지질조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조사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삼광광산에서의 주향이동단층에 의한 함금-은 석영맥에 대한 구조규제 (Structural Constraints on Gold-Silver-Bearing Quartz Mineralization in Strike-slip Fault System, Samkwang Mine, Korea)

  • 이현구;유봉철;홍동표;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6호
    • /
    • pp.579-585
    • /
    • 1995
  • 삼광광산은 옥천대의 서부에 위치하는 백악기의 금-은 광상으로서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내에 배태되어 있다. 광산의 금과 은의 품위는 각각 8.4 g/t, 13.6 g/t으로서 가채 매장장은 335.000 MT으로 추정된다. 이 광상은 Au-Ag광물 이외에 유비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황동석, 황철석, 자류철석을 함유하는 열수성 석영맥상광상이다. 광상을 이루는 맥들의 구조를 근거로 할 때 광화작용의 구조규제는 $N40^{\circ}-80^{\circ}E$ 주향과 $55^{\circ}SE$-수직의 경사를 보이는 본맥의 생성, EW주향과 $30^{\circ}-80^{\circ}S$의 경사를 보이는 상반맥의 발달 그리고 $N25^{\circ}-40^{\circ}W$ 주향과 $65^{\circ}-80^{\circ}SW$ 경사를 갖는 국성맥의 생성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광상배태의 구조운동은 이 지역에 발달하는 주향이동단층의 최소응력축$({\sigma}_3)$과 관련이 있으며 광맥은 이때에 발생한 열극을 충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5단계로 해석된다. (1) NS계의 불연속면에 예각으로 작용한 주응력 $({\sigma}_1)$에 의한 주단층$(F_1)$의 생성, (2) 이와 동시에 발달한 인장파쇄대 $(T_1)$를 충진한 국성맥의 생성. (3) 단층의 계속적인 성장과 $T_1$의 경사가 커짐에 따른 $T_2$(대홍맥)의 계속적 발달, (4) ${\sigma}_1$이 우수향을 보일 때 발달하는 $T_3$(염기성 암맥)의 관입, (5) 역단층의 활동에 의한 국사봉액으로부터 상반액의 생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