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related behaviors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7초

The Outcomes of an e-Wellness Program for Lupus Patients in Thailan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pproach

  • Nop T. Ratanasiripong;Steven Cahill;Christine Crane;Paul Ratanasirip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54-163
    • /
    • 2023
  • Objectiv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or lupus patients usually experience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llenges. Sinc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se challenges have become even harsher. Using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valuated how an e-wellness program (eWP) impacted SLE-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lupus patients in Thailand. Methods: A 1-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was conducted among a purposive sample of lupus patients who were members of Thai SLE Foundation. The 2 main intervention components were: (1) online social support, and (2) lifestyle and stress management workshops. Sixty-eight participants completed all the study requirements, including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Results: After being in the eWP for 3 months, participants' mean score for SLE-related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t=5.3, p<0.001). The increase in sleep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3.1, p<0.01), with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slept less than 7 hours decreasing from 52.9% to 29.0%.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reporting sun exposure decreased from 17.7% to 8.8%.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tress (t(66)=-4.4, p<0.001) and anxiety (t(67)=-2.9, p=0.005). The post-eWP quality of life scores for the pain, planning, intimate relationship, burden to others, emotional health, and fatigue domain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0.05). Conclusions: The overall outcomes showed promising results of improved self-care knowledge,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LE Foundation continues to use the eWP model to help the lupus patient community.

서울시 고등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lated Psychosocial variab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이태화;신선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59-467
    • /
    • 2001
  • Although much has been written about th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little is known about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family support and risk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risk behaviors in urba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riables. Design for the study is descriptive-correlational. The sample consisted of 600 10th-grade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urba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tobacco use, alcohol use. eating habits, exercise, stress and coping skills. Preliminar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perceived health status. 54.2%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are healthy.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themselves healthier than the student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p<.05). Overall. frequently reported health concerns were eating habits (17.2%), depression (4.8%), tobacco use(0.8%), and alcohol use (0.7%). The mean score of family support of the students was 7.67 (SD=2.43) within the range of 1-12. Gend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family support among girls than boys. Data will be further analyzed in detail. The results will suggest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consider involving adolescents in planning. both (1) to ensure congruence of the plan of care with adolescentsconcerns and (2) to clarify the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their health risk behaviors.

  • PDF

경기지역 중학생의 식행동실태 및 학업관련 인자와의 관계 (Dietary behavior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y-related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 이명숙;현화진;송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455-464
    • /
    • 2018
  • 본 연구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8월 24일까지 중학생들의 식행동 실태와 식행동과 학업관련 인자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기지역의 일부 중학교의 남자 중학생 295명, 여자 중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학업관련 인자와 식행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수면시간은 6~8시간 미만이 71.3%로 많았고, 학교 외 공부시간은 2~4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다.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에서는 '거의 받지 않는다'가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다. 중학생들의 식습관 점수는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 '아침은 매일 규칙적으로 먹습니까?'의 점수가 높았고, '식사를 할 때는 식품 배합을 생각해서 먹습니까?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평균 식습관 점수는 남학생 $3.69{\pm}0.67$점 여학생은 $3.62{\pm}0.67$점으로 중간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서 남학생들은 '우유를 매일 마십니까?, 여학생들은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중학생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3회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 ~ 20분 걸리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이 짧았다. 식사가 규칙적인편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간식 섭취 횟수는 하루 1 ~ 2회가 가장 많았다. 학업관련인자에 따른 식행동 실태에서는 학교 외 공부시간이 2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2시간 미만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식습관 점수가 높았고, 학교외 공부시간 2시간 미만인 학생이 2시간 이상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2끼를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공부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조사대상 중학생들은 대체로 적정 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있었고,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은 중간 이상의 점수였으며, 하루 3끼니의 식사를 하고 식사가 규칙적인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의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이 식습관 점수와 식행동에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이 비교적 양호하고, 학업 관련 스트레스도 크지 않게 나타난 것은 매우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습관이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 등의 학업관련 인자와 관련성을 보였으므로, 특히 학업 부담으로 인한 학업관련 인자들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올바른 식행동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대학 교직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University Faculty and Staff)

  • 정미경;하명희;공정현;박연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59-26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교직원의 건강행태, 직무스트레스,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대학 교직원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이었다. 연구결과 건강행태 관련 특성에서 음주를 하는 비율이 68.6%였고, 흡연자 9.6%, 주 3회 이상 운동하는 비율은 15.4%,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가진 비율이 64.7%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평균점수가 63.7점이며, NIOSH의 직업적 근골격계 자각증상 기준에 해당되는 근골격계 질환 증상군은 18.6%으로 그 중 어깨 부위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비율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29.5%가 근골격계 통증의 원인이 업무라고 응답하였다.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깨부위 자각증상은 성별, 연령, 경력,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허리 자각증상은 흡연과 규칙적인 운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다리·무릎 자각증상은 학력, 규칙적인 식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대학 교직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완화,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wo-Dimensional Suicidal Type Based on Psychological Autopsy: A Focus on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 육성필;서종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1호
    • /
    • pp.75-99
    • /
    • 2023
  •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강도콘크리트의 재료역학적 특성 연구-변형도율과 인장강도를 중심으로-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The Effect of Strain Rate and the Tensile Strength-)

  • 김진근;박찬규;박연동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8
    • /
    • 1992
  • The mechanical behaviors related to the strain rate effect and the tensile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concrete cylinder specimens with 4 different compressive strengths from 232kg/$\textrm{cm}^2$ to 1113kgf/$\textrm{cm}^2$ were tested and analy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stress-strain relationship, compressive, modulus of elasticity, strain at peak compressive stress). From this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it seems that the current prediction model(ACI) for modulus of rupture need to be refined. Therefore, more refined equations for evaluation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are proposed.

  • PDF

알루미늄 판재의 이방성거동 예측을 위한 현상학적 모델과 결정소성학적 모델의 비교연구 (Study on Phenomenological and Crystal Plasticity Models to Predict Anisotropic Behaviors for Aluminum Alloy Sheets)

  • 정완진;윤정환
    • 소성∙가공
    • /
    • 제15권8호
    • /
    • pp.574-580
    • /
    • 2006
  • Anisotropy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strain distribution in aluminum alloy sheet form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thinning and formability of sheet metals. Thus, the anisotropy of the material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for the realistic analyses of aluminum sheet forming processes. For this, anisotropy can be approached in two different scales: phenomenological and microstructural (polycrystal) models. Recent anisotropic models (Yld2000-2d; Barlat et al.[1] 2003, Cuitino et al.[2] 1992) were employed in this work. For the simulation using shell element, the method which can impose plane stress condition in the polycrystal model is developed. Lankford values and yield stress ratios are calculated along various directions. As planar anisotropic behavior, a circular cup deep drawing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enomenological and microstructure models in terms of earing profile.

일상생활에서의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순간평가 일기법 연구 (Factors affecting Non-suicidal self-injury: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using a Daily Diary Method study)

  • 권호인;김선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321-340
    • /
    • 2023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가 발생하는 정서 및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의 성인 60명이, 14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전자일기에 접속하여 그날의 긍정 및 부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자해 사고 및 행동 여부에 대해 기록하였다. 수집된 총 663건의 엔트리를 활용하여 비자살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관련된 개인의 정서, 스트레스 사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간 수준의 높은 부정 정서와 낮은 긍정 정서, 스트레스 사건 총점은 각각 자해 사고 및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부정 및 긍정 정서와 스트레스 모두가 투입된 모형에서는 개인 간 수준의 낮은 긍정 정서가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 경험자의 정서 조절 개입에 있어 부정 정서 관리뿐 아니라 긍정 정서 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방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 요인을 탐색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의 제 변인들에 대한 모형 탐색 - (The Mediational Role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 The Effects of Parenting Related Variables on Child Self-Esteem -)

  • 최형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79-8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and child' self-esteem, including a mediational role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404 Korean child-mother dyads living in Seoul,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Warmth-Acceptance,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In the Warmth-Acceptance model,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related to child self-esteem through Warmth-Acceptance. In the Rejection-Restriction model,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related to child self-esteem both directly and through Rejection-Restriction. Child's temperament was also related to Rejection-Restriction directly. In the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model,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related to child self-esteem directly, not through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Child's temperament, also, was related to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directly.

전자제품 제조업체 남성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tabolic Syndrome of Male Employees of Electronic Goods Manufacturer)

  • 김태희;정명희;이세훈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4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workers. Methods: A total of 396 male workers employed in an electronic company, located in 'P' city, Gyeonggi Province, who had taken medical examination at the 'D' hospital, volunteered in this study. Al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D' hospital after getting consent and permission from the workers.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edical history,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highest occupational stress by sub-sector was reported in the order of insufficient job control,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 job demand, job insecurity, physical environment, job culture, and relationship conflict. The prevalence rate of metabolic syndrome of the participants was 19.9%.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metabolic syndrome of the subjects indicated that the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with family history, smoking habit and ex-smoking, working duration of 3 years and over, and with higher total score of occupational stress. It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when the degree of stress was high in the sub-sectors of occupational stress; job autonomy, job insecurity, lack of reward, and job culture.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lan to efficiently manage the job stress of these male workers, as the probability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ccupational stres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highest occupational stress was found to be job autonomy among its sub-secto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measures to enhance the autonomy of such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