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checklist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Perioperative Comprehensive Supportive Care Interventions for Chinese Patients with Esophageal Carcinoma: a Prospective Study

  • Zhang, Xiao-Dan;Zhao, Qing-Yu;Fang, Yi;Chen, Guan-Xuan;Zhang, Hui-Fang;Zhang, Wen-Xiao;Yang, Xiao-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359-7366
    • /
    • 2013
  • Objective: To assess the effects of perioperative comprehensive supportive care interventions on outcome of Chinese esophageal cancer patients in a prospective study. Methods: 60 patients with primary esophageal carcinoma were randomized into an intervention group (IG, n=31) and a control group (CG, n=29). The Chinese version of symptom checklist-90 (SCL-90) was adopted to assess their psychological status. The interventions, including health education, psychological support, stress management, coping strategies and behavior training, were carried out in 3 phases (preoperative, postoperative I and postoperative II), and psychological effects were thereafter evaluated accordingly before surgery, and 1 week, 4 weeks and 24 weeks post-surgery. Medical costs were estimated at discharge. Survival of patients was estimated each year post-surgery. General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with-hospital were surveyed by a follow-up questionnaire 4 years post-surgery. Results: All the subjects demonstrated higher scores in the preoperative phase than the normal range of Chinese population concerning 7 psychological domains including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and paranoid ideatio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t admission, the scores of IG, which tended to decrease at a faster rate,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CG at weeks 1, 4 and 24 post-surgery.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edical costs of IG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CG and satisfaction-with-hospital was bett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4-year survival or health statu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Appropriate perioperative comprehensive supportive care interventions help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Chinese patients with esophageal carcinoma, to reduce health care costs and to promot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ith hospital.

0-8세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 보령 베이비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0-8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Mothers' Psychological States : Based on Boryung Baby Panel Data)

  • 박혜준;한경혜;박새롬;장미나;전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11-2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ages 0 to 8, and then explore specifically how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al levels are related to mothers' psychological states. This study was part of newly launched Boryung Baby Panel Study using web-based survey in 2011. The subjects were all mothers of 940 infants(0-2 years), 654 toddlers(3-5 years), and 484 school-age children(6-8 years) The mothers were asked to administer the web-based standardized developmental checklist for their child and fill out the questionnaires of psychological variables(life satisfaction, depression, parenting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or SPSS 20.0 window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fants(0 to 2) showed higher developmental level in cognition and fine motor skill domain compared to other domains. 2. Most toddlers(3 to 5) showed normal development in the most domain such as gross motor skill, fine motor skill, language, letter, number, self-help behavior. 3.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domain, the ratio of risk or delay group were highest at both infant and toddler. 4. The 6-8 years old children that belong to risk group by the result of SDQ(emotion and behavior assessment) were also relatively high. 5. The relation of the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reciproca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Aftermath of Child Sexual Abuse in Children in Korea: Data from the Nation-Funded Sexual Violence Victim Protection Center for Children

  • Lee, Soo Young;Kim, Tae-Kyoung;Cheon, Keun-Ah;Song,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2호
    • /
    • pp.32-3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3-year mean periods aftermath of child sexual abuse and to compare the sexual violence victims regard to the treatment. Methods: 682 sexual violence victims were recruited by Seoul Sunflower Children Center, a nation-funded sexual violence victim protection center for children age 13, from 2004 to 2008. Data from 49 victims among 116 consented a follow-up, were analyzed. The victims were assessed by psychological test. Data was analyzed by SPSS ver. 15.0 (SPSS Inc.). Results: The average time elapsed from the last presumed sexual abuse was 39.7 months [standard deviation (SD) 26.02]. Overall,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5.8 (SD 9.33) to 10.4 (SD 9.98), and several subscales (depression, anxiety, anger, posttraumatic stress, and dissociation) of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 (TSCC)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DI and TSCC scor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reatment-given and not-given groups, but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as decreased in treatment-given group, whereas it was increased in treatment-not-given group. The difference of RCMAS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28)=4.54, p<0.05]. Conclusion: Sexually abused children showed overall symptom decreases over time, but anxiety was not decreased in treatment not-given group.

성학대를 경험한 소아, 청소년에서 성학대가 외상 후 정신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ual Abuse on Posttraumatic Psychiatric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xual Abuse)

  • 신은영;천근아;정경운;송동호;김소향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38-44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 and sexual abuse on posttraumatic psychiatric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sexual abuse. Methods : A total of 137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recruited from the Seoul Sunflower Children Center, a nation-funded sexual violence victim protection center,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3. We collected the demographic data of the victims and the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 (TSCC) from victims. We hypothesized victims' age, sex, and intelligence quoti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as the affecting factors of posttraumatic psychiatric symptom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nalysis of demographic data, TSCC scores, and psychiatric symptoms. Results : The victims' 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raumatic distress of sexual abuse. R-square was 23% for anxiety, 39% for depression, 21% for posttraumatic stress, and 37% for dissociation on TSCC.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victims' age, type, frequency and duration of exposure, and disclosure of sexual abuse ar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on posttraumatic psychiatric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xploration of psychiatric symptoms other than posttraumatic symptoms, and relations between pretraumatic and posttraumatic psychiatric symptoms is needed through collection of larger samples.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진로인지계획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finding Model of Outpatient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 한기증;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36
    • /
    • 2007
  • Recently, hospital patients experience anxiety, confusion, and stress about wayfinding as the spacial layout and treatment circulatory system of hospitals have become complicated due to their oversized and complex structure. As part of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this study seeks to examine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wayfinding planning of O.P.D. in general hospitals, to develop the model of wayfinding,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wayfinding system.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dopted were literature review in wayfinding cognition, plan analysis of ten general hospitals, space analysis of these hospitals through space syntax, analysis of the system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through a field study, and analysis of surveys and follow-up surveys conducted to support the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posals for finding decision points,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developing a model planning are listed as follows. 1)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P.D. spacial layout and the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system is necessary to find the essential elements of wayfinding. 2) The decision points are found through the full understanding of spacial functions, circulation systems, and facility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spacial layout, the bound of the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circulatory system. Furthermore, the information decision points could be confined by space syntax. 3) The checklist and color compound & color codes, developed through the planning of signage system and color system could be applied to the methods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4) The planning of wayfinding system according to the whole process of practices for outpatients was mentioned above. The system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should be integrated in the spacial layout of the whole O.P.D.

  • PDF

단순 및 복합외상 유형 집단의 자기-와 타인-개념의 차이: 자극 제시시간에 따른 정보처리 편향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 and Other-concept in the Single and Complex Trauma Type Groups)

  • 김예슬;이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3-2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외상 유형(단순 외상과 복합 외상)에 따라 PTSD 증상의 심각도와 자기 및 타인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166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 중 단순 외상(n=31)과 복합 외상(n=30)으로 분류된 참여자들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참여자들은 생활사건 체크리스트(LEC), 개정된 사건 충격 척도(IES-R)와 E-prime으로 제작된 정서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외상 집단보다 복합 외상 집단에서 더 높은 수준의 PTSD 증상이 나타났다. 둘째, 스트룹 과제에서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반영하는 단어를 2초 제시한 조건에서 복합 외상 집단이 단순 외상 집단보다 반응시간이 더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외상 집단과 단순 외상 집단이 적어도 PTSD 증상 및 자기개념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정서의 기능에 관한 서술적 고찰 (A Descriptive Study on the Function of Emotion in the Context of Eyewitness Testimony)

  • 이승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7-278
    • /
    • 2022
  •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의 기능에 관한 문헌 고찰을 시도하였다. 목격자 증언의 정확성과 정서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 소개된 주요 이론과 개념들, 연구 방법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해당 결과는 정서의 정의, 정서 유도 방식, 정서 측정 방식 순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 정서, 각성, 스트레스, 기분을 중심으로 정서의 정의를 기술하였고, 정서 유도 방식은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상, 가상현실, 연구자가 연출한 모의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정서 측정 방식은 자기보고식, 행동 측정, 정신생리학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객관적이고 과학적 정서 연구를 위한 접근 방식, 적절한 실험 설계와 기억 검사, 개인차 통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목격자 증언 맥락에서 진술 정확성에 미치는 정서의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선행 연구의 비일관된 결과를 검토하고, 관련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이와 같은 지식은 목격자 증언의 신뢰성 판단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노반응척도의 개발과 임상적 적용 (Development of the Anger Response Scale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 고경봉;박중규;김찬형;김도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122-134
    • /
    • 2004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성인 정상인 123명을 대상으로 분노반응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척도의 임상적 적용은 환자군 189명(불안장애 59명, 우울장애 72명, 신체형장애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 즉 공격성반응, 짜증반응, 도피반응, 분노억압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53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4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3-.71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4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62-.7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76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공존 타당도의 평가는 공격성질문지 (Aggression Questionnaire) 총점, 상태-특성분노표출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의 분노 및 공격성 하위척도,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의 적대감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도피반응과 분노억압반응 하위척도에서만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격성 및 짜증반응, 척도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피반응 하위척도 점수에서 우울장애군과 신체형장애군은 각각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분노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의 도구이고, 특히 도피반응은 우울장애군 및 신체형장애군의 특징적인 분노반응일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PDF

PCL-5(DSM-5 기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한국판 종단 타당화 연구 (A Longitudin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CL-5(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

  • 이동훈;이덕희;김성현;정다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187-217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5(PCL-5)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두 시점에서 온라인 설문을 1년 간격으로 실시하였고, 1시점에서는 1,077명, 2시점에서는 563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요인, 4요인, 6요인, 7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4, 6, 7요인이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 6, 4요인 순으로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내적일치도, 오메가 계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선별 평가지(K-PC-PTSD-5)와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BSI-18)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검사 모두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국판 PCL-5가 향후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시점에서 한국판 PCL-5로 측정한 PTSD 증상이 2시점의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ROC 곡선 분석을 통해 PCL-5의 PTSD 증상집단 구분에 대한 변별력을 확인하고 최적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PCL-5의 한국판 종단타당화 결과, 본 척도가 한국인에게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측타당도 분석을 통해 한국판 PCL-5가 PTSD 증상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화와 같은 PTSD 관련 증상을 예측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PTSD 증상집단에 대한 변별이 가능한 절단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PTS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 타당화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영성(영적 경향성)이 대학생에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 이정식;김한성;한승리;한승민;최선;김서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20
    • /
    • 2018
  • 본 연구는 영성이 어떠한 대처방식을 통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적 안녕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Pearson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성은 심리적 안녕감, 적극적 대처방식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존적 안녕은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종교적 안녕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성이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변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영성은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 중 실존적 안녕이 우울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가 있는 군과 남자 군에서 더욱 설명력이 높았다. 영성이 심리적 안녕과 스트레스 상황 시 적극적인 대처방식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존적 영성이 적극적 대처방식을 통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근거로 실존적 영성을 활성화 하는 치료적 개입을 통해 환자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