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2초

죽염의 약리작용 평가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Bamboo Salt)

  • 양지선;김옥희;정수연;유태무;노용남;이숙영;정면우;안미령;최현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2호
    • /
    • pp.178-184
    • /
    • 1999
  • Bamboo salt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precaution and treatment of certain diseases including cancer. Therefor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certain the effects of bamboo salt upon anti-cancer,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as well. To examine the anti-cancer activity of bamboo salt, ICR mice implanted with 1$\times$l0$^{6}$ cells of sarcoma 180 intraperitoneally had been treated daily with bamboo salt A, crude salt, and reagent-grade NaCl (0.2, 1.0, and 2.0 g/kg, p.o.) for 60 days using adriamycin (2 mg/kg) as a positive control. Neither survival rate nor body weight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ll the treatments indicating that bamboo salt A did not exert the anti-cancer effect on ICR mice. Anti-hypertensive activity was examine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which had been administered with bamboo salt A, crude salt, and reagent-grade NaCl (0.1, 0.5, and 1.0% in drinking water) for 28 days using hydralazin (2 mg/kg) as a positive contro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at 1, 3, and 4 weeks after the starting date. Significant anti-hypertensive activity was not observed in any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if bamboo salt had anti-diabetic activity, rats in which diabetes had been induced by streptozotocin (45 mg/kg, i.m.) were treated daily with bamboo salt A, crude salt, and reagent-grade NaCl (0.2, 1.0, and 2.0 g/kg, p.o.) for 28 days using insulin (50 U/kg, s.c..) as a positive control. Blood samples were taken and analyzed at 1,2, and 4 weeks after the starting date. Bamboo salt did not cause any decreasing effect on the blood glucose levels.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bamboo salt A did not exert anti-cancer, anti-hypertensive, or anti-diabetic activities in the present experimental animals.

  • PDF

Bacillus subtilis Y3-7 배양액의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Bacillus subtilis Y3-7 Culture Broth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 명길선;허건;윤석영;심재중;이정희;임광세;허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8-5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한 B. subtilis Y3-7 균주의 배양액이 $\alpha$-glucosid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B. subtilis Y3-7 균주를 TSB 배지에 30시간 이상 배양한 배양액은 1.62 mg/mL의 농도로 yeast $\alpha$-glucosidase의 활성을 50%까지 저해할 수 있었다. 또한 효소학적 분석을 통해 이것이 배양액 내 물질이 효소의 기질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B. subtilis Y3-7 균주의 배양액은 yeast 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의 장내 $\alpha$-glucosidase의 활성에도 영향을 미쳐 당부하에 따른 급격한 혈당상승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대량배양이 가능한 B. subtilis Y3-7을 통해 탄수화물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물질을 얻음으로써 항당뇨 물질의 안정적인 생산이 기대되는 바이다.

The role of discoid domain receptor 1 on renal tubular epithelial pyroptosis in diabetic nephropathy

  • Zhao, Weichen;He, Chunyuan;Jiang, Junjie;Zhao, Zongbiao;Yuan, Hongzhong;Wang, Facai;Shen, Bingxi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6호
    • /
    • pp.427-438
    • /
    • 2022
  • Pyroptosis, a form of cell death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is known to be involved in diabetic nephropathy (DN), and discoid domain receptor 1 (DDR1), an inflammatory regulatory protein, i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iabetes. However, the mechanism underlying DDR1 regulation and pyroptosis in DN remains unknown.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DR1 on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pyroptosis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DN. In this study, we used high glucose (HG)-treated HK-2 cells and rats with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as DN models. Subsequently, the expression of pyroptosis-related proteins (cleaved caspase-1, GSDMD-N, Interleukin-1β [IL-1β], and interleukin-18 [IL-18]), DDR1, phosphorylated NF-κB (p-NF-κB), and NL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s were determined through Western blotting. IL-1β and IL-18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ELISA. The rate of pyroptosis was assessed by propidium iodide (PI) staining. The results revealed upregulated expression of pyroptosisrelated proteins and increased concentration of IL-1β and IL-18, accompanied by DDR1, p-NF-κB, and NLRP3 upregulation in DN rat kidney tissues and HG-treated HK-2 cells. Moreover, DDR1 knockdown in the background of HG treatment resulted in inhibited expression of pyroptosis-related proteins and attenuation of IL-1β and IL-18 production and PI-positive cell frequency via the NF-κB/NLRP3 pathway in HK-2 cells. However, NLRP3 overexpression reversed the effect of DDR1 knockdown on pyroptosis.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DDR1 may be associated with pyroptosis, and DDR1 knockdown inhibited HG-induced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pyroptosis. The NF-κB/NLRP3 pathway is probably involved i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se findings.

STZ에 의한 당뇨 유발 마우스에서 betulinic acid의 식후 고혈당 개선 효과 (Betulinic Acid Amelior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 이정경;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589-594
    • /
    • 2022
  • 이 연구에서 베툴린산이 STZ에 의해 유발된 고혈당 쥐에서 탄수화물 소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식후 고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베툴린산이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 활성에 강력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α-글루코시다아제와 α-아밀라아제에 대한 베툴린산의 IC50는 각각 12.83± 6.81 및 18.32±3.24 μM으로, 이는 경구 혈당강하제인 acarbose의 IC50 보다 값이 낮아 베툴린산의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당뇨쥐와 정상쥐에서 증가된 식후 혈당은 베툴린산을 투입한 고혈당군, 정상군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식후 혈당이 억제되었습니다. 30, 60, 120분에 각각 혈당을 측정하였을 떄, 당뇨쥐에서 베툴린산을 투여한 군의 혈당은 23.22±1.1, 24.38±1.31, and 21.05±1.36 μM 으로 대조군의 혈당인 24.64± 1.7, 27.22±1.58, and 26.36±1.40 μM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뇨쥐에서 베툴린산 투여한 군의 AUC도 대조군 쥐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acarbose를 투여한 군에 비해서는 더 많이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베툴린산이 탄수화물 소화 효소의 강력한 억제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당뇨병 쥐의 식후 고혈당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발효홍차 음료가 당뇨 암쥐의 지질대사 및 단백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Fungus/Kombucha Beverage on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 in Diabetic Female Rats)

  • 노민희;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1-668
    • /
    • 2002
  • 본 연구는 발효홍차가 당뇨 암쥐의 성장률, 혈청 및 간의 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체중 155.5$\pm$9.3 g 전후되는 Sprague- Dawley계 암쥐에 음료수를 급여한 정상군, 당뇨대조군 및 당뇨발효홍차군은 음료수에 발효흥차를 20%와 40%씩 혼합한 군 등 4군으로 나누어 각 실험음료로 2주간 사육한 다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키고 계속 5주간 각 실험음료로 사육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당뇨유발 전 2주간 체중 증가는 대조군과 각 농도별 발효홍차 급여군이 비슷하여 발효홍차가 성장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뇨유발후 5주간의 체중변화는 정상군 48.3 g증가에 비하여 당뇨대조군과 각 농도별 당뇨발효홍차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장애로 6.8~7.1 g으로 증가율이 낮았다. 공복시 혈당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발효홍차군이 비슷한 경향으로 혈당량을 낮추지는 못하였다. 간, 신장 및 췌장의 무게는 당뇨대조군과 각 수준의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간과 신장의 무게는 정상군 보다 당뇨 실험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췌장의 무게는 정상군보다 당뇨실헌군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중성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0% 당뇨발효홍차군이 당뇨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당뇨발효홍차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인지질 농도는 40% 당뇨발효홍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총 단백질과 알부민 및 간의 단백질 농도, 혈청의 alkaline phosphatase, GOT 및 GPT 활성은 당뇨대조군과 각 당뇨발효홍차군들이 비슷하였다.

감(Diospyros kaki Thunb) 또는 감부산물에서 추출한 감시럽의 혈당수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Syrup Extracted from Persimmon and Persimmon By-products on Blood Glucose Level)

  • 유기환;김석진;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82-6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과실 중 하나인 감과 감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럽인 PSI과 PSII의 총 탄수화물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그리고 혈당반응에 의한 혈당지수를 측정하였다. PSI과 PSII의 총 탄수화물 함량 측정결과 $70.6{\pm}0.6$, $66.6{\pm}1.6%$로 나타났으며 시판중인 감미료인 설탕, 메이플 시럽, 꿀의 $100.0{\pm}0.6$, $80.0{\pm}0.8$, $69.9{\pm}1.9%$ 탄수화물 함량보다 비교적 적은 함량의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페놀성 화합물은 포도당, 설탕, 메이플 시럽, 꿀이 $0.1{\pm}0.1$, $0.1{\pm}0.1$, $0.5{\pm}0.1$, $0.2{\pm}0.1$ mg/g을 함유하고 있으며, PSI과 PSII는 $0.3{\pm}0.1$, $0.6{\pm}0.2$ mg/g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판중인 감미료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양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 혈당의 mouse에 대한 PSI과 PSII의 혈당반응을 측정한 결과 급격한 혈당 증가와 감소를 보인 대조군과는 다르게 PSI과 PSII는 적은 양의 혈당 증가와 완만한 혈당 감소를 보였다. 당뇨가 유발된 SD rat에 대한 혈당반응 역시 메이플 시럽의 실험군을 제외하고 다른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PSI과 PSII는 적은 혈당 증가를 보였다.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혈당반응 실험 결과 시료섭취 30분 이내에 모든 실험군의 혈당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가장 높은 혈당증가를 보인 꿀에 비해 PSI과 PSII의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적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혈당반응 면적을 통해 혈당지수를 구한 결과 PSI과 PSII의 혈당지수는 각각 51.9, 35.7로 나타났다. 감시럽은 당질 이외에 감에서 유래된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또한, 동일한 탄수화물 양을 섭취하여도 혈당의 상승폭이 크지 않았으므로 이는 혈당 증가의 부담 없는 천연 감미료의 개발 및 기존 감미료를 대체하는 천연 감미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