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mutan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9초

Development of a Magnetic Bead-Based Method for Specific Detec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Using C-Terminal Domain of ECP3 Phage Endolysin

  • Yoon-Jung Choi;Shukho Kim;Jungmi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7호
    • /
    • pp.964-972
    • /
    • 2023
  • Bacteriophage endolysins are peptidoglycan hydrolases composed of cell binding domain (CBD) and an enzymatically active domain. A phage endolysin CBD can be used for detecting bacteria owing to its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toward the bacterial cell wall. We aimed to develop a method for detec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using an endolysin CBD. The gene encoding the CBD of ECP3 phage endolysin was cloned into the Escherichia coli expression vector pET21a. A recombinant protein with a C-terminal 6-His-tag (CBD) was expressed and purified using a His-trap column. CBD was adsorbed onto epoxy magnetic beads (eMBs). The bacterial species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bacterial binding to CBD-eMB complexes were determined using the bacterial colony counting from the magnetic separations after the binding reaction between bacteria and CBD-eMB complexes. E. faecalis could bind to CBD-eMB complexes, but other bacteria (such as Enterococcus faecium,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cinetobacter baumannii,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could not. E. faecalis cells were fixed onto CBD-eMB complexes within 1 h, and >78% of viable E. faecalis cells were recovered. The E. faecalis recovery ratio was not affected by the other bacterial species. The detection limit of the CBD-eMB complex for E. faecalis was >17 CFU/ml.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 faecalis using bacteriophage endolysin CBD and MBs.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termine that the C-terminal region of ECP3 phage endolysin is a highly specific binding site for E. faecalis among other bacterial species.

황련 메탄올 추출물의 주요 구강 병원성 세균에 대한 포괄적 활성 평가 (Evaluation of Comprehens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Coptidis rhizoma against Several Oral Pathogenic Bacteria)

  • 서채현;송영천;임동술;최성숙
    • 생약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7-37
    • /
    • 202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optidis rhizoma (MECR) against oral pathogen. We studied the antibacterial, anti-biofilm, anti-gingipai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CR.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MECR was 100 ㎍/mL against several oral pathogens. The formation of biofilm of Streptococcus mutans was reduced to 8.93~24.12% in the presence of 25 ㎍/mL of MECR. The gingipain activ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were reduced to 3.91~6.23% in case of Kgp and 5.73~7.78% in case of Rgp in the presence of 10 mg/mL of MECR. The expression of fadA mRNA, virulence factor of Fusobacterium nucleatum (F. nucleatum) was 3 folds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25 ㎍/mL of MECR. In case of YD-38 cells challenged with F. nucleatum, RQ values of IL-8 and IL-6 were reduced about 12 folds and 5.45 folds in the presence of 2 ㎍/mL of MECR. In case of RAW 264.7 murine cell challenged with F. nucleatum, RQ values of IL-1β and IL-6 were 2.52 folds and 2.55 folds reduced in the presences of 2 ㎍/mL of MECR. Conclusively, MECR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Periodontal health status, oral microbiome, white-spot lesions and oral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clear aligners versus fixed appliances: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 Ana Sandra Llera-Romero;Milagros Adobes-Martin;Jose Enrique Iranzo-Cortes;Jose Maria Montiel-Company;Daniele Garcovic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374-392
    • /
    • 2023
  • Objective: Assess and evaluate the different indica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among patients treated with clear aligners (CAs) versus those treated with conventional fixed orthodontics (FAs). Methods: An electronic search was performed on the database is Web of Science, Scopus, and Embase databases.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control trials, cross-sectional, prospective cohort and retrospective trials were included. Quality was assessed with risk of bias tool and risk of bias in non-randomised studies. Meta-analyses were performed with random effects models, estimating the standardized and non-standardized mean differences, odds ratio and risk ratio as the measure of effect. The effect on time was determined using a meta-regression model. Results: Thirty one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qualitative synthesis and 17 in the meta-analysis. CAs had a significantly lower negative impact on QoL, with an "important" effect size, while the influence of time was not significant. Periodontal indicators plaque index (PI), gingival index (GI), probing depth (PD), and bleeding on probing show significantly better values in patients treated with CAs, with moderate to large effect sizes. PI and GI have a significant tendency to improve over time. In microbiological indicators, CAs present a lower biofilm mass withou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high counts of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i bacteria. The risk of white spot lesion onset is ten times lower in carriers of CAs. Conclusions: Patients wearing CAs show better periodontal indicators, less risk of white spot development, less biofilm mass and a better QoL than patients with FAs.

시럽 여부에 따른 커피 섭취 후 구취 수치의 차이 : 증례보고 (Difference of malodor according to intake of coffee with syrup or without syrup : Case report)

  • 김유진;이승희;이예린;조여진;최가을;최지영;황수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3
    • /
    • 2018
  • The coffee demand market in Korea is growing every year, and the adults drink an average of one cup of coffee every da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ffee on oral malodor, 15 Korean subjects were recrui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oral malodor using BB checker(Taiyo, Japan) in the factors of sex, smoking, drinking, feeling oral malodor by themselves, feeling oral malodor by others, periodic scaling,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bleeding on probing, and coffee drinking habits.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calculus index, index of coat on the tongue, toothbrushing time, toothbrushing frequency had no correlation with oral malodor.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drinking coffee with syrup(17.93±16.54) was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drinking coffee without syrup(1.13±14.75) was not significant. We suggested the cause of oral malodor after drinking coffee was syrup, but not coffee.

고체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세척제 개발 (Development of Mouthwash Products with Solid Fermented Oriental Medicinal Herb)

  • 조병제;홍준영;김미정;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80-13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발효 한약재를 사용하여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고자 후박, 감초, 천궁, 박하 및 정향을 상황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 하였다. 후박, 감초 천궁은 수분을 30% 첨가한 조건에서 고체발효에 성공하였으며, 박하는 30% 수분과 현미가루 10%를 영양성분으로 제공하였을 때 고체발효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정향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여 상황버섯균사체를 이용한 고체발효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고체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DPPH 소거능은 발효 후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항균효과 역시 상승하였다. 구강질환 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s, Streptococcus pyogenes, Candida albicans 또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후박, 감초 및 천궁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항균활성은 고체발효에 의해 약 100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방구강세척제 조성비를 확립하기 위하여 발효한 후박, 감초 및 천궁의 에탄올 추출물을 5:3:2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 혼합액 0.075%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박하와 정향 열수 추출물(100:15, v/v) 83.64%를 베이스로 하는 한방구강세척제 조성을 관능검사에 의거 결정하고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와 시판하고 있는 한방구강세척제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n=30)를 실시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품이 종합적인 평가 점수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구강세척제 사용 후 지속 효과를 구취 측정계로 측정하여 시간을 산출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의 지속 효과가 다소 길었다.

자몽종자추출물과 자일리톨이 배합된 껌의 치은염 예방 및 항균효과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 진미성;유윤정;최봉규;이희영;김미정;노회진;박종섭;조규성;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85-497
    • /
    • 2003
  • Grapefruit seed extrac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40 healthy subjects with gingivitis or early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whil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only xylitol. All subjects received scaling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1 week after scaling was set as baseline.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cored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Bleeding index, probing pocket depth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were scored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Streptococcus mutans in unstimulated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unted at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Gingival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850${\pm}$0.298, 0.575${\pm}$0.345, 0.533${\pm}$0.332, 0.459${\pm}$0.311, 0.408${\pm}$0.224 and 0.758${\pm}$0.379, 0.592${\pm}$0.276, 0.563${\pm}$0.281, 0.454${\pm}$0.194, 0.413${\pm}$0.199 (mean${\pm}$SD), respectively. Plaque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497${\pm}$0.500, 0.375${\pm}$0.484, 0.332${\pm}$0.471, 0,286${\pm}$0.452, 0.210${\pm}$0.407 and 0.411${\pm}$0.492, 0.375${\pm}$0.484, 0.354${\pm}$0.479, 0.313${\pm}$0.463, 0.193${\pm}$0.395, respectively. Bleeding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0.377${\pm}$0.177, 0.298${\pm}$0.152, 0.192${\pm}$0.108 and 0.383${\pm}$0.124, 0.318${\pm}$0.153, 0.225${\pm}$0.126, respectively. Probing pocket dept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6${\pm}$1.00, 2.40${\pm}$0.65, 2.23${\pm}$0.64 and 2.45${\pm}$0.682.37${\pm}$0.57, 2.19${\pm}$0.57, respectively. Clinical attachment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8${\pm}$1.01, 2.43${\pm}$0.67, 2.26${\pm}$0.65 and 2.49${\pm}$0.70, 2.40${\pm}$0.59, 2.22${\pm}$0.62, respectively. The % of reduction of total bacteria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46 ${\pm}$ 53%, 53 ${\pm}$ 5% and 69 ${\pm}$ 33%. The % of redu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52${\pm}$69%, 88${\pm}$30% and 89${\pm}$17%.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gular use of grapefruit seed extract /xylitol chewing gum may be effective to control and prevent gingivitis and may have caries-preventive effect.

참담치(Mytilus coruscus) 유래 항균 펩타이드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 from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 오륜경;이민정;김영옥;남보혜;공희정;김주원;안철민;김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59-1268
    • /
    • 2016
  • 항생제 남용의 문제점 및 사용제한에 따른 천연물 유래 항생제 대체제 개발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인 참담치의 족부 근육 추출물로부터 항균 펩타이드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C_{18}$ 역상 컬럼을 사용하여 항균 펩타이드를 정제하였으며, MALDI-TOF/MS로 분석 결과 분자량은 6,701 Da에 해당하였다. edman degradation 방법으로 N-말단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하여 20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밝혔으며 이는 캘리포니아 홍합(Mytilus californianus)의 sperm-specific protein 또는 protamine-like PL-II/PL-IV precursor와 100% 상동성을 지님을 밝혀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ORF를 분석한 결과 60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183 bp로 캘리포니아 홍합의 protamine-like PL-II/PL-IV precursor와 아미노산 서열이 100% 일치하였고 유전자 염기서열은 97.2%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합성된 항균 펩타이드는 그람 양성 균주 Bacillus cereus (MEC, $20.8{\mu}g/ml$), Bacillus subtilis (MEC, $0.2{\mu}g/ml$), Streptococcus mutans (MEC, $0.2{\mu}g/ml$), 그람 음성 균주 Pseudomonas aeruginosa (MEC, $5.7{\mu}g/ml$), Escherichia coli (MEC, $2.6{\mu}g/ml$) 그리고 진균류 Candida albicans (MEC, $56.3{\mu}g/ml$)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높은 열안정성을 지녔으며, C. albicans를 제외하고 염안정성을 지닌 항균 펩타이드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참담치 유래의 항균 펩타이드는 항생제 대체제의 후보소재로 높은 가능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참담치 족부 근육 유래 항균 펩타이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해양무척추동물의 선천성 면역 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용 과자의 우식유발능에 관한 생체 외 연구 (IN VITRO STUDY OF CARIOGENIC POTENTIAL OF INFANT CONFECTIONARIES)

  • 송지현;이광희;김대업;라지영;이동진;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46
    • /
    • 2008
  • 유아기우식증의 식이요인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외에서 시판되고 있는 4종의 유아용 과자의 우식유발능을 완충능, 산생성능, 탈회능 등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생체외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4종의 유아용 과자를 실험군으로 하고, 10% 자당용액과 우유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료용액 50ml의 pH를 4.0까지 낮추는 데 소모된 0.1N 유산용액의 양으로 완충능을 측정하였고,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의 배양액을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기 전과 후에 각각 시료용액의 pH, 시료용액 속에 담근 유치 법랑질 시편의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여 산 생성능과 탈회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아용 과자의 완충능은 자당용액보다 크고 우유보다 작았으며 유아용 과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8시간 배양 후 유아용 과자의 평균 pH는 $3.93{\pm}0.26$으로서 자당용액의 $3.93{\pm}0.12$와 유사하였고 우유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유아용 과자 상호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배양 전후의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의 감소율 차이는 유아용 과자군이 평균 23.02%로 자당용액군의 25.09%와 비슷하였고 우유군의 10.34%보다 유의하게 컸다(p<0.05). 국내외 시판 유아용 과자의 우식유발능은 생체외 연구에서 유치의 치아우식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기본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용 과자 상호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우식증의 복합적 발생요인 중에서 식이조절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아용 과자의 우식유발능을 더욱 낮추기 위한 학계와 산업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잣나무 정유의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 황현정;유정식;이하연;권동주;한웅;허성일;김선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한 성분분석,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잣나무 정유를 GC-MS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한 결과 ${\alpha}$-pinene이 19.38%로 가장 높은 구성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3-carene (11.16%), camphene (10.57%), limonene (9.79%)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특유의 향취 조합으로 인해 잣나무 정유 고유의 향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악취물질 4종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를 주입한 1시간 후 75.17%의 ammonia 소취능을 나타내어 4종의 정유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Formaldehyde에 대한 소취력 평가에서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정유가 61.6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잣나무 정유는 23.33%를 나타내었다. Trimethylamine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0분 후 편백나무, 전나무, 소나무 정유가 평균 6.70%로 낮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잣나무 정유를 주입함으로서 41.58%의 매우 높은 소취력을 나타내었다. Methylmercaptan에 대해서는 정유 주입 1시간 후 소나무(82.22%), 잣나무(70.56%), 전나무(62.22%), 편백나무(59.44%) 정유 순으로 소취력을 나타냈다. 구강균에 대한 정유 별 항균력 평가에서는 잣나무 정유($2.90{\pm}0.15mm$)는 L. paracasei에 대하여 전나무($1.83{\pm}0.18mm$)와 소나무($1.54{\pm}0.09mm$) 정유보다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 대한 잣나무 정유($2.86{\pm}0.08mm$)의 항균활성 또한 전나무($1.15{\pm}0.20mm$)와 소나무($1.85{\pm}0.08mm$) 정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S. sobrinus에 대한 항균활성은 편백나무($1.42{\pm}0.01mm$)와 잣나무($1.40{\pm}0.01mm$) 정유를 처리함으로써 강하게 나타났으며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은 편백나무>전나무>잣나무>소나무 정유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E. faecalis에 대해서는 소나무($0.79{\pm}0.05mm$)정유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천연물 유래 잣나무 정유는 악취물질에 대한 소취효과 및 구강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구강탈취제, 구강청결제 등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용 시럽제의 우식유발능에 대한 생체 외 연구 (IN VITRO STUDY ON CARIOGENIC POTENTIAL OF SYRUP-FORM MEDICINES FOR CHILDREN)

  • 임화신;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6-154
    • /
    • 2011
  • 어린이용 시럽제의 우식유발능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시판 중인 일반의약품 어린이용 시럽제 8종에 대한 생체 외 연구를 사행하였다. 어린이용 시럽제 8종을 실험군으로 10% 자당을 양성 대조군, 인공 타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pH를 측정하고 시료용액 20 ml의 pH를 7로 맞추는데 필요한 2 N NaOH의 부피로 완충능을 측정하였다. Ostwald 파이햇을 시료용액 2 ml가 통과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비점조도를 계산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의 배양액을 접종 후 48시간 배양하여 pH의 변화를 측정해서 산생성능을 살펴보았다. 하루에 3번 시료용액에 유치 법랑질 시편을 20분간 넣은 후 인공타액에 보관하는 pH 순환모텔을 5일간 적용하였고 표면미세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유치 법랑질 침식능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어린이용 시럽제는 자체 산도 및 완충능, 점조도, 유치 법랑질 침식능에서 모두 우식유발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산생성능에서도 3종를 제외한 어린이용 시럽제가 양성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우식 유발가능성이 높음을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