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in penetra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원위치 관입실험기를 활용한 철도 노반 평가 (Railbed Evaluation by using In-situ Penetration Test)

  • 김주한;박정희;윤형구;고태훈;이종섭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1-267
    • /
    • 2011
  • The test fit has commonly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railbed condition, and indirect methods by using the compressional wave are also studied. the direct evaluation method by penetration test has not been studied. For the measurement of in-situ cone tip resistance of the railbed with minimizing the disturbance of the upper railbed. the cone penetrometer with the helical type outer rod(CPH) was developed. The outer rod, which has helical screw, is penetrated through the gravel layer and provides the reaction force for cone penetration testing. the cone tip resistances are measured by the mini cone penetrometer, where diameter is 15mm. For the developing the mini cone, strain gauge installation, circuit configuration, penetration rates and calibration process are considered. For the easy penetration of the screw rod in the field, the reaction force stepping plate and guide column are arranged. The screw rod are penetrated through the gravel layer. And the mini cone was pushed into the subgrade railbed at the penetration rate of 1mm/sec. The penetration test shows that the cone tip resistance increases along the depth. In addition, the subgrade condition is evaluat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PH may be effectively used for the evaluation of subgrade method any damage of the gravel layer.

  • PDF

Fenobucarb 및 Carbofuran의 저항성 벼멸구 체벽 투과량과 체내대사에 관한 연구 (The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Fenobucarb and Carbofuran by Susceptible and Carbamate Insecticide-selected Strain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 박형만;이영득;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7
    • /
    • 1991
  • 벼멸구의 살충제 저항성 기구를 구명하고자 fenobucarb와 carbofuran으로 벼멸구를 18세대 이상 누대 선발하여 얻어진 저항성 벼멸구를 대상으로 저항성 기루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 중 살충제의 체벽 투과량, 대사 및 대사산무렝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Fenobucarb및 carbofuran은 처리 1시간 이내에 처리된 양의 50%이상이 벼멸구 체벽을 투과하였고, 계통별 체벽 투과량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저항성 계통에서 적었으며, 배설된 양도 처리 3시간 이후 저항성 계통에서 증가하여 5시간 후에는 감수성 계통에 비해 각각 1.9배, 1.6배가 많았다. 벼멸구 체내에서는 두 살충제 모두 감수성 계통에 비하여 저항성 계통에서 2시간 정도 빠르게 분해되었다. 벼멸구 homogenate를 이용하여 대사산물을 조사한 결과 fenbucarb의 주 대사산물은 OSBP(o-sec-butyl phenol)이고, crbofuran의 주 대사산물은 3-ketocarbofuran phenol이었으며, 대사산물량은 저항성 계통에서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주 대사산물인 OSBP 및 3-ketocarbofuran phenol의 감수성 벼멸구에 대한 반수치사약량은 100$\mu\textrm{g}$/g 이상으로 독성이 없었다. 살충제의 빠른 분해대사는 벼멸구의 주요한 저항성 기구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DMS 흡수방지재를 적용한 SHCC의 압축강도 및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SHCC Coated by PDMS-based Penetrating Water Repellency)

  • 이준희;현정환;박수현;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6-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표면 침투 및 코팅형 흡수방지재인 Polydimethylsiloxane(PDMS)을 고인성 섬유복합체(ECC)에 적용하여 적용성, 강도 평가 및 염화물이온 침투 저항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DMS 적용 방법에 따른 침투깊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방법에서 KS F 4930 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용 방법 중, 침지 방법이 가장 우수한 침투깊이를 보였으나 현장적용성을 고려할 경우 스프레이 방법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ECC 배합에 따른 PDMS 침투깊이 실험 결과 배합강도가 감소할수록 침투깊이는 최대 70%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에서는 PDMS 침투 깊이가 큰 M4-A, M4-B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PDMS를 적용하지 않은 M4 시험체와 비교하여 9.6%, 8.0% 압축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침투깊이가 작은 M1-A와 M1-B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M1 시험체와 비교하여 4%, 2.2% 감소하여 PDMS 침투깊이가 클수록 강도감소율이 증가하였다. 염소이온침투 저항성능 평가 시험결과, PDMS의 침투깊이가 클수록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f pile-up/sink-in during spherical indentation for various strain hardening levels

  • Shankar, S.;Loganathan, P.;Mertens, A. Johnney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3권3호
    • /
    • pp.429-442
    • /
    • 2015
  • The measurement from the indentation process depends on the amount of pile-up or sink-in around the contact impressions.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concept is utilized to study the pile-up and sink-in behaviour for the wide range of materials with different young's modulus, yield stresses, strain-hardening exponents and coefficient of friction values. The exact indentation model is created by using the two dimensional axisymmetrical model for simulating the spherical indentation process on the lines of Taljat and Pharr (2004) work. The result shows that during spherical indentation process the amount of pile-up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train hardening exponents in addition to other material properties and depth of penetration. The numerical results from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re also validated using the exact multilinear material properties obtained from the tensile testing for the materials like mild steel, brass and aluminium.

알루미늄 합금 박판 스탬핑 공정의 단면 성형 해석 (Sectonal Forming Analysis of Stamping Processes of Aluminum Alloy Sheet Metals)

  • 이광병;이승열;금영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8-47
    • /
    • 1996
  • Sectional analysis program for plane strain or axisymmetric geometry of aluminum alloy sheet metals was developed. For modeling the anomalous behavior of aluminum alloy, Barlat's strain rate potential and Hill's 1990 non-quadratic yield theory arranged under the plane stress assumption were employed. 2-D rigid-viscoplastic FEM formulation based on the bending-augmented membrane theory was derived, solving simultaneously force equilibrium as well as non-penetration condition. Isotropic hardening law was also assumed for yielding behavior. To verify the validity and avail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2-D stretch/draw forming process for plane strain geometry and cylindrical cup deep drawing process for axisymmetric geometry were simulated.

  • PDF

Modified Cam-Clay Model을 이용한 피에조콘 시험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Piezocone Test using Modified Cam-Clay Model)

  • 김대규;이우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89-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반모델인 Modified Cam-Clay 모델을 이용하여 피에조콘 관입 및 소산시험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Modified Cam-Clay 모델 및 관련 유한요소 식들을 피에조콘 관입의 대변형 현상을 고려하기 위하여 Updated Lagrangian frame에서 formulation 하였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 얻어진 콘 관입저항치, 간극수압 및 소산곡선을 양산지역 현장 시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시험결과와 비교적 잘 부합하는 것으로 고찰되었으나 보다 현실에 근접한 simulation을 위하여 연속적인 깊은 관입의 적절한 수치해석적 modeling이 요구되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deep penetration problems using the material point method

  • Lorenzo, R.;da Cunha, Renato P.;Cordao Neto, Manoel P.;Nairn, John 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1권1호
    • /
    • pp.59-76
    • /
    • 2016
  • Penetration problems in geomechanics are common. Usually the soil is heavily disturbed around the penetrating bodies and large deformations and distortions can occur. The simulation of the installation of displacement piles is a good example of the interest of these types of problems for geomechanics. In this paper the Material Point Method is us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imulations of problems involving large deformation and full displacement type penetration. Recent modifications of the Material Point Method known as Generalized Interpolation Material Point and the Convected Particle Domain Interpolation are also used and evaluated in some of the examples. Herein a footing submitted to large settlements is presented and simulated, together with the processes associated to a driven pile under undrained conditions. The displacements of the soil surrounding the pil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the Small Strain Path Method. In addition, the Modified Cam Clay model is implemented in a code of MPM and used to simulate the process of driving a pile in dry sand. Good and rather encouraging agreement is found between compared data.

굽힘피로 하중을 받는 배관의 피로균열 발생수명 예측 (Crack Initiation Life Analysis in Notched Pipe Under Cyclic Bending Loads)

  • 곽상록;이준성;김영진;박윤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10호
    • /
    • pp.1528-1534
    • /
    • 2001
  • In order to improve Leak-Be(ore-Break methodology, more precisely the crack growth evaluation, a round robin analysis was proposed by the CEA Saclay. The aim of this analysis was to evaluate the crack initiation life, penetration life and shape of through wall crack under cyclic bending loads. The proposed round robin analysis is composed of three main topic; fatigue crack initiation, crack propagation and crack penetr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first topic, crack initiation in a notched pipe under four point bending. Both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and Neuber's rule were used to estimate the crack initiation life and the finite element models were verified by mesh-refinement, stress distribution and global deflection. In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crack initiation life was determined by strain amplitude at the notch tip and strain-life curve of the material. In the analytical method, Neuber's rule with the consideration of load history and mean stress effect, was used for the life estimation. The effect of notch tip radius, strain range, cyclic hardening rul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When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ones, the global deformation was a good agreement but the crack initiation cycle was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result.

관통부의 철근 절단으로 인한 주변 철근의 응력분포 특성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Reinforcing Bars due to Reinforcing Bar Cutting in Penetration)

  • 정철헌;문일환;이정휘;송재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775-786
    • /
    • 2022
  •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을 포함하여 플랜트 구조물에서는 사용 중 설비보강을 위하여 벽체 및 슬래브에 관통부를 신설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관통부 설치작업 중에 철근이 절단되는 사례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 이 관통부들은 설계 또는 건설 단계에서 고려된 것이 아니므로 설치 중 발생한 철근의 절단은 사실상 구조물의 손상이기 때문에, 관통부 주변 응력 전이범위 또는 유효폭을 고려한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중인 원자력발전소 벽식 건물의 전단벽에 관통부를 신설할 경우에 발생하는 철근 절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선형 해석과 정적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관통부 신설과 철근의 절단으로 인한 벽체의 강성저하와 관통부 주변 철근의 응력 및 변형률 분포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시험 방법을 이용한 서해안 송도 지역에 분포하는 실트질 모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 평가 (Evaluation of Maximum Shear Modulus of Silty Sand in Songdo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Various Testing Methods)

  • 정명훈;이강원;김명모;권형민;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65-75
    • /
    • 2005
  • 흙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는 동적/정적 지반구조물 설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기본 토질상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송도 지역의 실트질 모래에 대해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자가굴착식 공내재하시험, 다운홀 시험, 탄성파 탐사 콘관입시험, 공진주 시험 등을 수행하여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운홀 시험을 기준으로 표준관입시험 및 콘관입시험에 대한 경험식으로 구한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비교하고 새로운 경험식물 제안하였다. 제안식으로 구한 전단탄성계수는 다운홀 시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제안식을 이용하여 적절히 지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