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m sewer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초

시화호 유역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in Stormwater Runoff of Shihwa Lake)

  • 나공태;김경태;김종근;방재현;이정무;김성근;김은수;윤민상;조성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로 유입되는 다양한 비점오염원 중 도심유역을 흐르는 안산천 및 화정천과 산업지역인 반월산단 토구를 통한 강우유출수 내 총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영양염, 총인 및 총질소 등의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총유출부하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및 조사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강우 시작 후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한 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부유물질의 평균농도는 안산천이 315 mg/L로 가장 높았으며 반월산단 토구에 비해 약 2~5배 정도 높았으나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인 및 총질소의 평균농도는 반월산단 토구가 도심하천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부유물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총인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용존영양염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반월산단 토구를 통한 비점오염물질의 총유출량은 토구의 유역면적에 비례하였으며 가장 유역면적이 넓은 3토구에서의 비점오염물질의 유출량이 가장 높았다. 조사기간 내 약 30시간 동안 반월산단토구를 통하여 총부유물질 187,536 kg, 화학적산소요구량 17,118 kg, 총인 922 kg, 총질소 13,519 kg의 비점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월공단 토구 유역면적은 전체 시화호 소유역 중 3%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막대한 양의 비점오염물질이 별다른 처리과정 없이 시화호로 직접 유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은 시화호 수질을 더욱 악화 시킬 것이기 때문에 비점오염원 관리 및 저감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시행예정인 시화호 연안오염총량제의 비점오염 최적관리기법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GIS 및 Simulation 기법에 의한 하수도관거 대안 생성 (Generating Alternative Sewers Based on GIS and Simulation Technique)

  • 김형복;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85-194
    • /
    • 1997
  • 의사결정지원체계의 한 분류인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SDSS)는 지리정보체계(GIS)와 의사결정지원체계(DSS)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계획지원체계(PSS)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의 기능에 지리정보체계보다 고차원의 공간분석기능과 시간기능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본 연구는 계획가와 기술자가 적정 하수도 관경대안을 생성할 수 있는 계획지원체계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적정 하수도관경 결정을 위한 계획지원체계(PSS/GSS)의 이론적인 근거는 토지이용계획과 개발이 우오수관로의 수요를 유발한다는데 있다. 공급, 수요, 대안생성, 그리고 평가의 4단계를 통하여 PSS/GSS는 하수관거 생성의 기본계획, 기본설계,실시설계단계를 통합한다. GIS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수도관망 배치, 하수량 산장, 그리고 생성된 대안의 도시에 유용한 수단이다. 모의에 ?나 하수도관경결정모델은 초리관망을 생성하낟. 사용자는 하수도관망의직접조작에 의하거나 하수도관경결정모델의 매개변수 조정에 의하여 대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안의 타당성은 하수도관경결정모델에 의하여 점검된다.

  • PDF

강우유출오염부하를 고려한 호수수질모델링 (Lake Water Quality Modelling Considering Rainfall-Runoff Pollution Loads)

  • 조재현;강성효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2호
    • /
    • pp.59-67
    • /
    • 2009
  • Water quality of the Lake Youngrang in the Sokcho City is eutrophic. Jangcheon is the largest inflow source to the lake. Major pollutant sources are stormwater runoff from resort areas and various land uses in the Jangcheon watershed. A storm sewer on the southern end of the lake is also an important pollution source. In this study, water quality modelling for Lake Youngrang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rainfall-runoff pollution loads from the watershed. The rainfall-runoff curves and the rainfall-runoff pollutant load curves were derived from the rainfall-runoff survey data during the recent 4 years. The rainfall-runoff pollution loads and flow from the Jangcheon watershed and the storm sewer were estimated using the two kinds of curves, and they were used as the flow and the boundary data of the WASP model. With the measured water quality data of the year 2005 and 2006, WASP model was calibrated. Non-point pollution control measures such as wet pond and infiltration trench were considered as the alternative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lake. The predicted water quality were compared with those under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lake water quality were analyzed.

하수관거시설의 침수대응 운영·관리 실태 연구 (II)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I))

  • 류재나;차영주;오재일;현인환;김영란;장대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1-276
    • /
    • 2009
  • Under current design standard, sewers are designed to drain stormwater generated up to 10 year return period of storms. This implies sewer flooding could occur from rainfall exceeding a 10 year return period. 5, 10, 20 and 30 year return period of storm intensities were calculated for 22 locations (cities) of meterological stations over the nation and compared to the recorded rainfall intensities for the last 30 years. The comparison resulted in the numbers of year maximum rainfall intensities exceeded each return period.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incidences of flooding since 1980" of the previous paper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 the actual rainfall records on the date of flooding events we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number of flooding events caused by the exceedance of sewer capacity. For the last 30 years, more than 6 years of year maximum rainfall intensity (20%) were larger than the 10 year return period of storm in 4 cities of the 22 used for the first analysis. The number of rainfall records that exceeded the 10 year return period was 50 of the 260 actual flooding events investigated from the survey.

토사적체에 따른 우수관의 허용용량 및 안전도 해석 (Analysis of safety and allowable capacity of storm sewer according to debris accumulation)

  • 권혁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9-249
    • /
    • 2011
  • 본 연구에서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성능불능확률(Probability of capacity failure)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전국 여러 도시의 연 최대강우강도(Yearly Maximum Rainfall Intensity)를 이용하여 그 확률분포함수를 규명하였고 우수관(Storm sewer)의 성능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모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적용도시의 강우자료를 면밀히 분석하고 연 최대강우강도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신뢰함수를 구축하였으며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우수관에 적체되는 토사의 깊이에 따라 우수관의 용량을 산정하였다. 재현기간별 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청주와 춘천의 원형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한 결과, 재현기간의 증가에 따란 성능불능확률을 급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년, 10년, 20년 재현기간에 따른 연 최대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청주와 춘천의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또한 토사의 적체에 따른 우수관 유효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두 도시의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원형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한 결과, 토사의 적체에 따라 우수관의 용량은 감소하여 성능불능확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수관의 용량 감소를 막고 성능불능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수관에 적체된 토사의 양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적체된 토사와 콘크리트나 강관벽면이 복합된 우수관에 대한 조도계수를 보다 더 정확히 정량화 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물 환경 건전화를 위한 도시하천의 물 순환 모의 (II) - 도림천 유역 - (Hydrologic Cycle Simulation of Urban River for Rehabilitation of Water Environment (II) - Dorimcheon Basin -)

  • 이상호;이정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15-823
    • /
    • 2006
  • The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by rapid urban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SWMM 5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hydrologic cycle of the Dorimcheon catchment which suffers from the distorted hydrologic cycle as a typical urban catchment. This study compare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combining the channel and sewer system with that of channel only in the Dorimcheon catchment. Continuous simulations of urban runoff were performed for the upstream basin of Dorim bridge. The urban impervious regions were processed by the land use analysis from LANDSAT_TM images. It was performed from 1975 to 2000 for every five years. Surface, groundwater and wastewater runoffs wer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imulations one at a time. Such simulations made it possible to evaluate those components quantitatively. The result of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combining the channel and sewer system is that peak flow and recession are well simulated. The analysis results of urbanization effect on runoff are as follows: the surface runoff in 2000 increases to 64% of the whole precipitation whereas the surface runoff in 1975 amounts to 46% of the precipitation; the groundwater runoff in 2000 amounts to 6% and shows 8% de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1975 to 2000.

도시소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수문모형의 개발과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Hydrologic Model of Storm Sewer Runoff at Small Urban Area)

  • 박승우;이영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0년도 수공학논총 제32권
    • /
    • pp.19-19
    • /
    • 1990
  • 도시화한 소유역에서 배수조직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의한 유출현상과 침수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시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URAM)을 개발하여 시험유역에서의 실측치와 본 모형을 이용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한 후 실유역에 적용하여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URAM을 이용 시험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발생한 결과 실측치와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상습침수지역에 대하여 침수현상을 모의발생시킨 결과 계산된 침수특성은 실제 현황과 정상적으로 잘 일치하여 본 모형은 도시소유역 유출해석에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하수도 시스템 유무에 따른 강우유출특성 분석 - 팔당호 유역을 대상으로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Runoff according to Sewer System in Paldang Watershed)

  • 강동한;사자드 라자 우말;김극태;이창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8
    • /
    • 2016
  • 토지이용이 혼재되고 하수관거 시스템이 미흡한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 유역에서 토지 이용 및 하수관거 형태에 따른 강우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팔당호 유역 7개 시·군에서 공공 하수관거 시스템 지역 48개소, 개인하수처리시설 지역 28개소에 대한 강우 유출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개인하수처리시설 지역의 토지 이용은 산림과 논의 비율이 높았으며 SS, TN, TP EMCs와 초기세척강도가 공공하수처리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기 강우 차집 시스템을 설치하여 초기강우 유출수 43%를 처리할 경우 59%의 TP 유출부하량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된 지역에서 강우량 및 강우지속시간과 영양염류 유출 부하량은 양의 상관관계(R>0.6)를 나타내어 팔당호의 부영양화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개인하수처리지역에 대한 우선적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오염부하 물질수지 분석을 통한 합류식 하수관거 적정 차집용량 결정(I) -오염부하 물질수지 분석- (Determination of Interception Flow by Pollution Load Budget Analysis in Combined Sewer Watershed - Analysis of Pollution Load Budget in Watershed -)

  • 이두진;김주환;우형민;안효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47-556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dequate intercepting flow during wet weather conditions in combined sewer system. Two study sites are selected under considering different population density, one is developed area with heavy urbanization. Another is recently developing area. In the analysis of field investigation, SS was most significant in initial flushing effects compared with other factors and showed the result with the order of COD, TP, TN. As compared with event mean concentration(EMC) of runoff, BOD, TN and TP showed high concentrations in wide area with relatively large population density. It is by the reason that much pollution load was discharged to receiving water from urbanized area during wet period. According to results of storm-water modeling, 53% of total COD and 52% of total SS pollution load were discharged to receiving water by overflow than intercepting capacity in middle population density site. Also, in the urbanized area, pollution load was discharged to receiving water by 49% of total COD and 77% of total SS.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setup for pollution load flow(budget) generation, collection, treatment and discharging in order to obtain adequate intercepting flow.

SWMM모델을 이용한 도시지역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 연구 -전주시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Municipal Area Using SWMM Model -A Case Study in Jeonju City)

  • 백도현;임영환;최진규;정팔진;곽동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185-1194
    • /
    • 2005
  •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s in the municipal area of Jeonju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The flow rates and water qualities of runoff from two types of drainage conduits were measured respectively. One was a conventional combined sewer system and the other was a separated sewer system constructed recentl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04, investigations on two rainfall events were performed and flow rate, pH, BOD, COD, SS, T-N and T-P were measured. These data were also used for model calibration.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data and the simulation results by SWMM, it is reported that $80-90\%$ of pollution load is discharged in the early-stage storm runoff. Therefore, initial 10-30 mm of rainfall should be controlled effectively for the optimal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urban area. Also, it was shown that the SWMM model was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urban area and for the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