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ne relic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진전사지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예측 (Prediction of Landslide around Stone Relics of Jinjeon-saji Area)

  • 김경수;이춘오;송영석;조용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378-1385
    • /
    • 2008
  • The probability of landslide hazards was predicted to natural terrain around the stone relics of Jinjeon-saji area, which is located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As the analysis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laboratory test and geology and geomorphology data, the effect factors of landslides occurrence were evaluated, and then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was made up by use of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the effect factors. The susceptibility of stone relics induced by landslides was investigated as the grading classification of occurrence probability using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In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the high probability area of landslides over 70% of occurrence probability was 3,489m3, which was 10.1% of total prediction area. If landslides are occurred at the high elevation area, the three stories stone pagoda of Jinjeon-saji (National treasure No.122) and the stone lantern of Jinjeon-saji (Treasure No.439) will be collapsed by debris flow.

  • PDF

여수반도 지석묘 사회의 계층구조 (Hierarchy of the dolmen society in Yosu Peninsula)

  • 이동희
    • 고문화
    • /
    • 제70호
    • /
    • pp.109-132
    • /
    • 2007
  • 본고는 위세품이 풍부하고 타 지역보다 많은 지석묘가 발굴조사 된 여수반도를 대상으로 지석묘사회의 계층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수반도에서는 약 20개소의 지석묘 군이 발굴조사되었다. 지석묘의 수.상석.무게.입지 부장유물 등을 분석해 보면 지석묘군집별 위계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대개 지석묘의 수가 많아 집단이 크고 상석이 대형이며 입지가 곡간 평지나 구릉의 하단부에 자리잡은 집단이 부장유물이 풍부한 중심적인 집단으로 추정된다. 다만, 개별상석의 크기와 부장유물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석의 규모와 부장유물의 관계에서는 개별 상석보다는 지석묘군 전체를 검토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집단별로 어느 정도 크기의 상석을 옮길 수 있는지는 그 집단의 위상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위 지석묘군내에서도 상석, 매장주체부, 부장품 등의 차이에 의해 지석묘간의 차별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지석묘가 청동기시대 일부 주민의 무덤이라는 점에서,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석곽에 비해 동검이나 옥, 석검이 부장된 석곽묘의 존재는 하나의 친족집단내에서도 부나 권위에 근거하여 한 세대를 대표하는 유력자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지석묘 피장자 중 상석이나 매장주체부가 크고 위세품이 부장된 경우가 상층으로, 석곽이 비교적 작으면서 부장품이 없거나 빈약한 경우가 중층으로, 지석묘에 피장되지 못하는 다수의 계층이 하층으로 각기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 3계층은 각기 삼한시대의 대인, 하호, 생구와도 연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여수반도 지석묘사회는 단위 지석묘군내에서 계층구분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집단간에도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신라시대 교량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 유구의 지질공학적 특성에 근거한 산지 추정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Stone Relics of WoljungGyo Bridge built in Silla Kingdom based on Geological Properties)

  • 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9-88
    • /
    • 2016
  • 경주시에서는 신라시대에 건설된 교량 월정교에 대한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월정교는 760년에 건설되어 고려시대인 1280년에 중수한 기록이 남아있다. 따라서 월정교는 적어도 520년 이상 교량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원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월정교는 양측 교대의 일부와 4개의 교각기초 그리고 한 단 내지 두 단의 교각석이 남아있었다. 월정교 복원공사에 앞서, 복원에 사용할 석재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하여,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유구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정교석재 유구에 대한 암석학적 조사와 경주시 일원 지질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월정교 건설 당시 사용된 석재로는 경주일원의 대표적인 화강암인 남산화강암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주 남산의 동측사면 하부에 위치한 통일전과 탑곡 일원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토르나 핵석이 월정교 축조에 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석조문화재가 위치한 진전사지 주변의 사면재해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Slope Hazard Probability around Jinjeon-saji Area located in Stone Relics)

  • 김경수;송영석;조용찬;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8권3호
    • /
    • pp.303-309
    • /
    • 2008
  • 중요 석조문화재가 위치하고 있는 강원도 양양군 소재 진전사지 주변지역에 대한 사면재해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연구지역에 대한 현장조사, 실내시험, 지질 및 지형자료 분석을 통해 산사태에 유의한 영향요소를 평가하고 그 자료들을 예측모델에 적용하여 산사태예측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산사태예측도에 의해 발생확률을 등급별로 분류함으로써 산사태로 인한 석조문화재의 피해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사태예측도에 의하면, 발생확률 70% 이상으로 산사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대상면적의 10.1%인 $3,489m^2$정도로 비교적 넓은 면적비율을 나타내었다. 피해영향권에 속한 높은 고도의 산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국보 제122호인 진전사지삼층석탑과 보물 제439호인 진전사지부도에 사태물질로 인한 피해가능성이 예상된다.

일제강점기 이후 석탑(石塔) 조사연구사 (A Study on the Research History of Stone Pagoda after Japanese Colonial)

  • 지성진;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1호
    • /
    • pp.61-75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aspects about research methodology of stone pagoda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to now.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purpose, method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each perio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make lists of almost stone pagodas in Korea. Following this, Japanese researchers conducted detailed research for academic purpose. They took measurements of stone pagodas and made drawings. After liberation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relics contained in pagodas. They proceeded to investigate the inner relics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eople. In the late 1900's, the repair works of cultural heritages were increased. Many reports of the repair works were released and sent to administration offices. The reports contained the change aspects of situation between before work and after with drawings or simple investigation documents. In the 1990's, the restoration works for important stone pagodas were sta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ince then, researches from various way - architectural and conservational researches about historical interpretation, shape, structure, proportion, technique, etc. - progressed for careful restoration and accurate study. In Recent years,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in the field of structure, physics, chemistry, biology, lithology, etc.) started to join the researches. Researches conducted studies directly with the stone pagodas, as well as conducting indirect studies with the stone pagodas, such a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tone pagodas, the characteristics of rock, and conservation chemicals. Today the research project 'The preservation project of stone cultural property' is being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gain more detailed and accurate investigation documents to be provided for the people. In conclusion, researches from various fields must be included in the research. Furthermore, a synthetic study should be done through comparing similar characteristics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many research results.

폄석(砭石)의 한반도 기원과 형성에 관한 연구 (Archeological Quest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Stone Needle in the Korean Peninsula)

  • 임용수;손인철;강연석;김성철;김재효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1-61
    • /
    • 2009
  • Objective: Much has been known that the systematical theory of acupuncture was developed from stone needle as therapeutic tools for orthopedic diseases in ancient times. Stone needle is very old therapeutic method like moxibustion and has been recognized that it was developed since the Stone Age in China so far.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for the origination and formation of stone needle based on stone relics of the Stone Age in Korean Peninsular, the medical and geographical liter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acts of stone needle was examined and arranged on the ancient medical or geographical literatures such as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Shanhai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etc. The clan societies and family related to an origination of stone needle was chased together with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origination. The stone relic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 sites in the North-East Asia were examined for a relevance to stone needle. Results: In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it was referred to the stone needle that originated from a fishery zone related to the east coast district in North-East Asia. Through the examination of Shan Hai Jing as an ancient geographical book and its historical reviews, a Go-yi clan society who keep Go's family tree dealt well with the stone needle and jewels including jade in the North-East Asia before the publication periods of The Yellow Emperor's Canon Internal Medicine, and is comprised in the culture of Dong-yi clan society but not the Chinese culture. The obsidian stones, which have been digged out of historical sites in the North-East Asia since the Stone Age, are originated from volcanic areas combined with seashore that seems to be Baekdu mountain district in Korea and Kyushu district in Japan. Furthermore, obsidian stone tools which were found out at Laodung peninsul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archeologically similar to the stone needle with regards to the shape, size and dual-use. In addition, specific obsidian stone tools have been used in orthopedic surgery as well-crafted obsidian blades have a cutting edge up to five times sharper than high-quality steel surgical scalpels. Conclusion: The origin of obsidian stone needle is well corresponded to the explanation about that of the stone needle. It is suggested that the stone needle which influenced in completion of acupuncture and Meridian theory in China seems to be an obsidian stone, and distribution of obsidian stone needle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Dong-yi clan society which are lived in the North-East Asia including Baekdu-mountain district.

  • PDF

국내 역사계박물관의 소장자료 분류체계와 수장고 분류방안 (Classification System of Collections and Distribution of Storages in Domestic Museum of Historic Relics)

  • 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38-149
    • /
    • 2006
  • A museum's collections is fundamental factors to construct important activity of museum performing a role as cultural facility for learning, education and research. Therefore, conservation of collections through appropriate environments is previously established in step of planing a museum. 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and suggest a useful guidance of the storage division in a domestic muse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actors of deterioration ar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a museum storage, so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the objective standards of these factors.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collections can be performed as follow: the group for nonorganic materials subdivide metal, chinaware, earthenware, and jade stone, the group for organic materials subdivide leather hair paper fabric, bone horn shell mound and wood herbage and the group for composed materials. Third, for storage division of a domestic museum, basically has to consider that it is reasonable to plan $4{\sim}5$ storages in metal, jade stone, chinaware earthenware, and organic materials of $1{\sim}2$ units in case of a serial of history like archaeological, antique museum. And in case of folk relic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re collected, it is reasonable to plan over 5 storages add composed materials to foregoing classification.

황룡사 서금당 전축기단 연구 (A Study on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ngsa temple site)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4호
    • /
    • pp.55-64
    • /
    • 2015
  •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architectural historical meaning of the brick-constructed platform of the west hall in Hwangnyoungsa buddhist temple site based on studying published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and comparing with other platforms of Silla remains. Mass and height of the building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in a buddhist temple site, this is applicable in Hwangnyongsa. So in case of a rank equal to or lower buildings than the west hall, those of platforms were built of brick-constructed. As stone relics, jidaeseoks are very narrow, I think that wooden pagoda and main hall's platform were built of brick in first construction period. West hall's platform was built at the late 6th~the mid of 7th century, these brick-remains were considered as a quite earlier construction period relics. Because in west hall there is no jidaeseok under bricks, and all bricks relics have a rectangular shape.

불국사(佛國寺) 진입(進入) 석조계단(石造階段)의 공간분할적(空間分割的) 의미(意味) (A Study on Space-Divisional Meaning of Stone Entrance Stairs in Bulguksa)

  • 염중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57-75
    • /
    • 2007
  • Bulguk Temple, one of the national temples, sublimated the high formalism and symbolism into lovely art, and thus be called the pinnacle of Korean architecture. Of many characteristic structures of Bulguk Temple, the stone stereobate and stairs have a great importance in that we can read out the purpose of the architect through their relics. Especially, the stone stairs are noteworthy for they structuralize the intentional space division. The objects of this observation are Yeonwhagyo and Chilbogyo bridges at the entrance of Keungnakjeon precinct, and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stairs at the entrance of Daewoongjun precinct. All these relics are the structures that divide the precinct areas on the basis of Buddhist theory and have strong symbolic meanings as well. Although the diverse studies have made on the structures, there are many insufficient aspects for the manifestation of the meanings. In this study, I considered the Buddhist dogmatic meanings of the structures in the formalistic view of the Buddhist architecture. The study was proceeded in the way that the establishments of former studies were fully reflected in it. Through the study, I could confirm that the objects of consideration have the double formalistic meanings and they are strongly structuralizing the symbolism.

  • PDF

일제강점기의 신라고분조사연구에 대한 검토 (An Study on Cognition and Investigation of Silla Tumuli in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 차순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95-130
    • /
    • 2006
  • 근대 초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를 비롯한 일본인 관학파 연구자들은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적 전반에 대한 조사연구와 자료수집활동을 했다. 이들은 초기에는 메이지정부의 지원을 받았고 한국이 식민지화된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와 유관기관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고고, 미술, 건축, 인류학, 민속학 등 전 분야에 걸친 조사를 하였다. 이들이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산을 조사한 목적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필요한 자료를 찾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지역적으로 편중되고 왜곡된 시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1886년부터 한국의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관심을 가진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방한 조사가 계속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1904년 세키노가 한국에서 조사한 건축조사 보고서인 "한국건축조사보고(韓國建築調査報告)"에는 오릉을 비롯한 여러 고분에 대한 내용이 간단하게 소개되었고, 1906년에는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최초로 소금강산에 위치한 '북산고분(北山古墳)'과 황남동 남총(南塚)에 대한 발굴조시를 한 후, 적석목곽분(積石木樹墳)과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의 구조에 대한 초보적인 인식이 이루어졌다. 1909년 건축학을 전공한 야츠이 세이이치(谷井第一)는 서악동 석침총(石枕塚) 발굴조사에서 작성한 석실의 평면도와 단면도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발굴조사에서 최초로 제작된 유구실측도면으로 수치가 표현된 점에서 이전의 스케치된 그림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이후 발굴조사에서는 이러한 유구 실측도면의 작성은 계속 이어진다. 이마니시와 야쯔이는 신라고분의 입지적 특징, 분구의 형태와 규모, 출토유물 등에 대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은 서로 연대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조선총독부는 1916년에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과 "고적조사위원회규정"을 시행하고 고적조사위원회와 박물관협의회를 설치했다. 박물관이 활동하게 되면서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유적을 조사하는 사업들은 모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얻어야 됐다. 1921년에는 금관총(金冠塚)이, 1927년에는 서봉총(瑞鳳塚)이 각각 발굴조사되면서 경주의 대형 적석목곽분은 화려한 출토유물로 주목을 받게 되지만, 전국 각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여러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 발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 몇몇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서 미발간 보고서가 간행되었지만, 서봉총과 같이 중요한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가 아직 출판되지 못한 점은 당시의 한계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노모리 켄(野守健)이 지적도를 기초로 제작한 경주고분 분포도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155기의 고분의 규모와 위치를 명기한 자료로 시내에 소재한 여러 고분의 전체 모습을 확인시켜준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1930년대부터 아리미츠 쿄이찌(有光敎一)와 사이토 타다시(齋藤忠)는 다수의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서 한 묘제에 여러 가지 형식의 분묘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복잡하게 중복된 모습으로 노출된 적석목곽분에 대한 발굴조사경험은 이전에 이루어진 발굴조사와 보고서간행 등에 있어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번에 지난 근대~일제강점기에 발굴조사된 신라고분에 대한 발굴조사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이때 조사된 여러 유적들에 대한 조사내용을 재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한국고고학사를 정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실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