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t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7초

식물에 따른 공변세포의 형태적 특징과 개념화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ization of Guard Cells in Differernt Plants)

  • 이준상;박찬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289-1297
    • /
    • 2016
  • The walls of guard cells have many specialized features. Guard cells are present in the leaves of bryophytes, ferns, and almost all vascular plants. However, they exhibit considerable morphological diversities. There are two types of guard cells: the first type is found in a few monocots, such as palms and corn, and the other is found in most dicots, many monocots, mosses, ferns, and gymnosperms. In corns, guard cells have a characteristic dumbbell shape with bulbous ends. Most dicot and monocot species have kidney-shaped guard cells that have an elliptical contour with a pore at its center. Although subsidiary cells are common in species with kidney-shaped stomata, they are almost always absent in most of the other plants. In this study, there were many different stomatal features that were associated with kidney-shaped guard cells, but not dumbbell shaped guard cells, which are present in most grasses, such as cereals. Each plant investigated exhibited different characteristic features and most of these plants had kidney-shaped guard cells. However, the guard cells of Chamaesyce supina Mold, were often more rectangular than kidney-shaped. In contrast, Sedum sarmentosum guard cells were of the sink ensiform type and in Trifolium repens, the guard cells exhibited a more rhombic shape. Therefore, kidney-shaped guard cells could be divided into a number of subtypes that need to be investigated further.

지황 기내배양시 투명화된 잎과 정상잎간의 조직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Vitrified and Glaucous Leaf from Rehmannia glutinosa Plant Produced in Vitro)

  • 백기엽;유광진;박상일;신성련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23-327
    • /
    • 1997
  • 배지내 생장억제제의 첨가는 투명화 방지에 효과가 없었다. 기내에서 생산된 건전묘와 투명화묘에 있어서 잎과 기공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징을 조사해본 결과 기내건전묘나 포장활착묘는 책상 및 해면세포의 발달이 양호하고 세포간극이 차지하는 면적이 적었으나 기내 투명화묘는 책상세포의 발달이 불량하고 세포간극이 차지하는 면적이 현저히 많았다. 기공의 특성을 조사해본 결과 기내 건전묘는 포장활착묘에 비해 기공의 크기가 작았으며 둥근형태를 띄고 있었으나 투명화묘에 비해 공변세포와 부세포의 구별이 명확하였다. 또한 투명화묘에서는 기공의 형태가 비정상적이었고 표피 왁스의 발달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선버들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nipponica)

  • 이팔홍;손성곤;김철수;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1
    • /
    • 2002
  • The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life history of Salix nipponica were investigated in the wetland of the Nam-River, Jinju, Gyeongsangnam-do, Korea from 2000 to 2001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riverine ecosystem restor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nipponica. Salix nipponica had stomata on only lower side and stomata type was paracytic. Salix nipponica produced many small and light seeds. The seed number per mature ament was 1599.4, seed mass of 0.04 mg, and fertilization rate of 66.1%. Seed germination was little affected by light. Germination rate was high and mean germination time was short Under flooding condition, seeds were germinated normally and were viable after as much as 14 days of flooding.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under various water depths on germination rates. Tree age was closely correlated with more stem diameter than tree heigh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growth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tree. Growth rate was most rapid for 2 to 3 years after germination, and length growth was almost stopped for more than 11 years even though mass growth was done. Besides even a second-year indivisual was flowered.

  • PDF

Foliar Micromorphological Response of In Vitro Regenerated and Field Transferred Plants of Oldenlandia umbellata L.: A Medicinal Forest Plant

  • Jayabal, Revathi;Rasangam, Latha;Mani, Manokari;Shekhawat, Mahipal Sing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54-60
    • /
    • 2019
  • Plant tissue culture techniques offer quick methods of regeneration of plants of medicinal importance but the survival chances of such plants are always questionable when shifted to the in vivo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enumerates the micromorphological developments in the leaves of in vitro regenerated and field transferred plantlets of Oldenlandia umbellata. The leaves developed in vitro after $4^{th}$ subcultures of multiplication phase and after 6 weeks of field transferred plants were 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omata, veins, raphides, crystals and trichome density per square mm were observed. The improvements in stomatal apparatus and density (decreased from 41.85 to 32.20), developments in leaf architectural parameters and emergence of defense mechanism through increased numbers of raphides (8 to 15), crystals and trichomes (13.5 to 18.2) proved acclimation of tissue culture raised plantlets from in vitro to the in vivo environments lead to 100 % success in field establishment of the plantlets. The in vitro induced foliar abnormalities (changes in stomata, venation pattern, vein density, trichomes, crystals etc.) were repaired while hardening of plantlets in the greenhouse and finally in the field. The observed micromorphological response of leaves under altered environmental conditions could help in determination of proper stage of field transfer and prediction of survival percentage of in vitro regenerated O. umbellata plantlets.

광의의 미치광이풀속(Scopolia Jacq. s.l., 가지과-Hyoscymeae족)의 잎표피 미세구조와 이의 계통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of the genus Scopolia Jacq. s.l. (Solanaceae-Hyoscymeae) and its systematic significance)

  • 홍석표;백진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7-282
    • /
    • 2001
  • 세계산 Scopolia Jacq. s.l.에 포함되는 세 개의 속인 Scopolia s.s., Anisodus, Atropanthe와 근연 군외군으로 선택된 Przewalskia 식물의 잎표피 미세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4속 10종(37개체)의 잎을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연구 분류군의 기공은 향축면과 배축면 모두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 (amphistomatic type)으로 밝혀졌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8-64{\times}11-48{\mu}m$로 속과 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가장 작은 공변세포는 군외군으로 포함시킨 단형속인 Przewalskia tangutica($24-27{\times}16-17{\mu}m$)이었고, 가장 큰 공변세포는 Anisodus carniolicoides ($62-64{\times}43-48{\mu}m$)에서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 불규칙형 (anomocytic:Scopolia s.s., Anisodus taxa:A. luridus, A. carniolicoides, A. acutangulus)과 불균등형 (anisocytic:Anisodus tanguticus, Przewalskia, Atropanthe)이 나타난다. 공변세포의 모양은 대부분 초생달 모양의 타원형이나, Przewalskia tangutica에서는 거의 원형으로 나타난다. 부세포의 수충벽(anticlinal wall)은 대부분 파상형 (undulate)이며, Przewalskia tangutica에서는 다소 아치형을 이루었다. 표피세포의 형태는 거의 불규칙한 다각형 (polygonal)으로 수충벽은 다소 또는 심하게 굴곡을 이루는 undulate/sinuate형이었다. 표피세포의 표면은 왁스층이 대부분의 분류군에서는 잘 발달되지 않았고, 일부의 분류군(e.g., Anisodus tanguticus)에서만 기공 주변으로 발달한 양상을 보였다. Scopolia s.s.와 Przewalskia 분류군에서는 독특하게 다세포로 구성된 'elongate-headed' 선모가 존재하였고, Atropanthe 및 Anisodus의 대부분의 분류군은 모용이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1종(A. luridus)에서는 단순(simple) 또는 가지를 친(branched:dendritic-type) 비선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조사된 Scopolia s.l.(Przewalskia 포함)의 분류군내의 속간 그리고 종간의 동정과 식별을 위한 잎의 미세형태학적 형질(기공복합체, 모용, 등)의 계통분류학적 또는 생태학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 PDF

광량에 따른 실내식물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제거능 (Particulate Matter Removal of Indoor Plants, Dieffenbachia amoena 'Marianne' and Spathiphyllum spp.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 권계정;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62-68
    • /
    • 2018
  • 본 연구는 실내공간을 모형화한 아크릴챔버($600{\times}800{\times}1,200mm$, $L{\times}W{\times}H$)와 공기정화 장치인 그린바이오필터($495{\times}495{\times}1,000mm$, $L{\times}W{\times}H$)를 아크릴로 제작하여 광량 0, 30, $60{\mu}mol{\cdot}m^{-2}{\cdot}s^{-1}PPFD$의 3수준에 따른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1) 제거능과 두식물의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기공수를 비교하였다. PM10이 $1{\mu}g$이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있어서 디펜바키아는 광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0과 $60{\mu}mol{\cdot}m^{-2}{\cdot}s^{-1}PPFD$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스파티필럼은 0과 $30{\mu}mol{\cdot}m^{-2}{\cdot}s^{-1}PPFD$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0{\mu}mol{\cdot}m^{-2}{\cdot}s^{-1}PPFD$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90분 경과 후, $60{\mu}mol{\cdot}m^{-2}{\cdot}s^{-1}PPFD$에서 스파티필럼의 PM1, PM10 잔존량이 가장 적었으며, 이때 이산화탄소 잔존량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티필럼은 $0{\mu}mol{\cdot}m^{-2}{\cdot}s^{-1}PPFD$에서도 PM1, PM10 잔존량이 디펜바키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식물 모두 광량이 높을수록 광합성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공전도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스파티필럼은 디펜바키아보다 광합성율과 기공전도가 높았고, 기공수가 많았으며, 잎의 앞 뒷면 모두에서 기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식물적 특성으로 인하여 같은 광량에서 스파티필럼의 공기정화 효과가 디펜바키아보다 더 좋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내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서는 실내광량에 따른 식물의 광합성율과 기공수, 기공의 배치형태 등 식물 각각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눈개승마속(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genus Aruncus (Rosaceae))

  • 옥민경;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3-152
    • /
    • 2018
  •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times}7.50-16.99{\mu}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times}13.47{\mu}m$)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A. gombalanus (평균 $11.11{\times}8.94{\mu}m$)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모두 불규칙형(anomocytic)으로 확인되었다. 기공의 빈도는 면적당($0.05mm^2$) 평균 27.54개로, A. gombalanus에서 가장 높은 빈도(60.4개/$0.05mm^2$), A. dioicus var. acuminatus에서 가장 낮은 빈도(11.6개/$0.05mm^2$)로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2종류로 짧은 자루의 두상선모(short stalked capitate glandular trichome)와 비선모(non-glandular trichomes)가 확인되었고, 비선모는 부세포(subsidiary cells)의 유무와 발달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타입으로 구별되었다. 불규칙형의 기공형태와 이면기공엽, 두상선모의 분포는 본 속을 인식하는 주요형질로 판단되었으며, 기공의 크기와 빈도, 표피세포의 미세형태, 모용의 종류와 분포양상 등은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 인식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속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만다린 잡종에서 자연발생 배수체의 발생 빈도와 생장 특성 (Frequenc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olyploids Occurred Spontaneously in Some Mandarin Hybrids)

  • 송관정;김샛별;박재현;오은의;이경욱;김동욱;강종훈;김정순;오정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617-622
    • /
    • 2011
  • 자연발생 배수체를 이용한 다양한 육종 소재를 개발함에 있어 그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종자의배형성이 다른 일부 만다린 잡종에 대해 종자 형성 정도, 자연발생 배수체의 발생 빈도, 배수체의 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배성의 'Amakusa', 'Haruka', 'Hayaka' 및 'Seminole' 4품종과 단배성의 'Benibae'와 'Harehime' 2품종에 대해 방임수분된 과실로부터 종자를 채취하였다. 과실당 종자수는 10.0개이었고, 이 중 소형의 발육종자 형성 빈도는 25.1%이었다. 이들 소형 종자의 기내 발아 식물체에 대해 배수체 분석기 및 염색체 분석으로 배수성을 분석하고 배수체를 선발하였다. 'Harehime' 3배체 1개, 'Amakusa' 4배체 1개, 그리고 'Benibae' 4배체 1개가 각각 획득되었다. 이들 4배체와 3배체의 잎의 형태, 두께, 엽병 길이 및 절간장을 2배체와 비교하였는데,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공의 크기와 분포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어 3 또는 4배수체 식물에서 기공의 크기가 커지고 분포 밀도는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 값과 광합성 정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로 감귤 만다린 잡종에서 방임수분으로도 자연발생 배수체 생산이 가능하며, 다배성보다는 단배성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icient Selection Method for Drought Tolerant Plants Using Osmotic Agents

  • Park, Dong-Jin;Im, Hyeon-Jeong;Jeong, Mi-Jin;Song, Hyeon-Jin;Kim, Hak-Gon;Suh, Gang-Uk;Ghimire, Balkrishna;Choi, Myung-S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24-234
    • /
    • 2018
  • An efficient method to select drought tolerant Korean native plants using in vitro culture system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While the plant growths and root inductions of each plant were proportionately affected by concentrations of mannitol on in vitro culturing seven plant species to test tolerance to osmotic stress, growth index (GI) and number of root induction of Chrysanthemi zawadskii var. latilobum and Dianthus chinensis var. semperflorens plantlet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in 125mM mannitol. In test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plantlets of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D. chinensis var. semperflorens showed higher GI and number of root induction than the others in 33.3mM. On testing whether the well grown plants under osmotic stress are tolerant to virtual drought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ithering rates of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D. chinensis and those of were Aster yomena and Centaurea cyanus after 12 days without watering.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ly lower stomata numbers were shown in both drought tolerant plants than the sensitive plants. Averages of the stomata circumferences and the stomata area in the plantlets of the tolerant species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sensitive plants D. chinensis var. semperflorens showed the lowest transpiration level per unit area. The highest stomatal area per unit area was found in C. zawadskii, followed by D. chinensis var. semperflorens, Aster yomena and C. cyanus. In conclusion,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D. chinensis var. semperflorens were more tolerant to drought than other two species. Furthermore in vitro selection was successfully used to screen drought tolerance species of native plant species.

소맥엽신의 기공운동과 기공의 환경변이에 관한 연구 제1보 소맥엽신의 기공개도 측정법 및 기공개도의 일변화 (Studies on the Stomatal Movement and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to Stomate in the Wheat I. Measurement of the Stomatal Aperture and Diurnal Movement of the Stomata in Wheat 1.Measurement of the Stonatal Aperture and Diurnal Movement of the Stomanta on Wheat)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0-136
    • /
    • 1982
  • 소맥엽신에 있어서 기공개도의 측정법 및 기공개도의 일변화를 검토하여 광합성연구 및 수분생리 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조사하였든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공개도의 실측치와 침윤법에 의한 시약순위와는 직선적인 비례관계가 있었다. 2. 침윤법으로 측정한 시약순위 1의 경우 기공개도의 실측 평균치는 0.7$\pm$0.5$\mu$이었으며 순위 6의 경우는 6.3$\pm$0.6이었다. 3. 동일엽신내에서도 엽신의 기부는 선단부보다 기공개도가 현저히 컸다. 4. 지엽과 제1엽 엽신의 기공은 10시경에 제2엽은 12시경에 기공개도가 가장 컸으며, 오후가 되면서 기공개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18시경에는 거의 완전히 폐공하였다. 5. 기공개도의 최대치는 지엽보다 제1엽이 또 세력이 왕성한 분벽의 엽신일수록 큰 경향이었다. 6. 엽신기부의 기공은 선단부에 비하여 모든 엽위와 어는 시각에서도 기공개도가 큰 일변화를 보였다. 7.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맥엽신의 기공개도 측정은 침윤법으로 가능하나 품종이나 육종재료들에 대하여 기공개도를 비교할 때는 엽위, 엽신부위 및 분벽간에 차가 있으므로 측정재료 선정에 주의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