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wardship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3초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R&D 투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National Pension Service's Shareholding Ratio on Firm Value: Focusing on Stewardship Code Implementation and R&D Expenditure )

  • 조대현;김영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79-787
    • /
    • 2023
  • 본 연구는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과 투자대상기업의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투자대상기업이 R&D 투자를 늘리도록 독려하여 기업가치의 제고를 간접적으로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R&D 투자 정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2018년 7월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에 따라 투자대상회사에 대한 R&D 투자 및 기업가치 향상 압박이 도입 전에 비해 더 커졌을 것으로 판단하여 위 매개효과에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미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 상장회사 자료들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국민연금의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R&D 투자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존재하고,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은 소유지분비율과 R&D 투자와의 관계,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모두 강화시켜 조절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는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전후에 따라 소유지분비율과 기업가치 간 관계에서 R&D 투자 정도의 매개효과가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the K-12 Scienc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Earth System and Environment

  • Lee, Eun-Ah;Fortner, Rosanne W.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23-7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the Earth system based program to help students achieve science literacy.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be connected across grade level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to have meaningful interdisciplinary context. All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 were inquiry-based,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sidered essential throughout the program. In addition, appreciation and stewardship for the Earth system were systematically emphasized on any grade level. Design of the program applied U.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quality of and conditions for school science programs.

Corporate Reputation and Accountability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oretical Triangulation and Conflicting Accountabilities

  • BUI, Minh L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21-2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paper argues that a theoretical lens that can connect three crucial concepts is often missing when it comes to assess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corporate reputation in term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se three concepts include the legitimacy of environmental disclosure information, stakeholder interest in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vironmental practices and disclosure. The second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ransparency and systemic thinking in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disclosure that could help to connect the information from environmental disclosure to internal information in firms, thereby minimizing conflicting accountabilities and increasing stakeholder engagement in environmental disclosure. Rather than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the author has follow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legitimacy, stakeholder, and stewardship theories. This study, thus, suggests the retention of many theories (e.g. legitimacy, stakeholder, and stewardship) to study and explain the relationship of corporate environmental practices, environmental disclosure, and corporate reputation.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시스템과 지배구조: 국민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Blockchain E-voting System and Governance: The Case of Korean National Pension Service)

  • 정혜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6
    • /
    • 2019
  • 블록체인 기술은 분권화를 통해 투표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부당한 개입과 조작을 방지하여 투표 결과의 신뢰성을 높여 공정한 여론 수렴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리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던 많은 분야에서 직접 의사결정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전세계적으로 공공 의사결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표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투명하고 공정한 여론 수렴 채널로 기능하여 공공 의사결정 과정과 지배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국민연금의 경우, 지배구조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취지와 달리 국민연금 가입자의 이해에 반하는 주주권 행사와 지나친 경영 간섭이 일어날 것이란 우려가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가입자 의견 수렴과 공공 의사결정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도입하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사회적 제도적 제반 여건에 대해 논의한다.

The Effect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ctivism on Earning Management after Adoption of the Korea Stewardship Code

  • Kwon, Ye-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83-191
    • /
    • 2022
  • 우리나라에서 2016년 12월 19일 '기관투자자의 수탁자책임에 관한 원칙'이라는 이름으로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를 전격 공표하였다. 이후 국민연금공단에서는 2018년 7월부터 스튜어드십 코드를 실행하기 시작했다. 기업들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할 것이라는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기 때문에 2018년 이후의 주주총회에서 언제나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알고 있었다. 이러한 주주권 행사는 주주총회에서 기업의 의결권 주식 5% 이상*을 소유한 투자자들이 이사선임(director)과 감사선임(auditor)의 선임 및 보수 증액, 정관 변경(article) 등의 의사결정에 가(yes) 부(no)의 투표권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피투자기업의 안건에 대해 국민연금이 반대투표를 하기 전과 후의 재량발생액 평균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민연금의 반대투표 안건들을 몇 가지로 분류하여 보면 정관 개정 등에 대한 반대투표, 이사나 감사 선임 안건과 보수 한도 증액 안건에 대한 반대투표 및 재무제표의 승인 안건에 대한 반대투표 등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정관개정, 합병·분할, 재무제표 승인에 관련된 반대투표는 투표 건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질 정도로 많지 않았다. 반면 지배 구조에 관련된 이사 및 감사의 선임 안건에 대한 반대투표는 이익조정의 대리 변수인 재량발생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반대투표 이후에는 그 이전에 비해서 경영진에 의한 이익조정(earnings management)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의 보수 증액 안건 등에 대한 반대투표는 오히려 경영진에 의한 이익조정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이사 및 감사의 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투표를 통해 경영진의 자의적 이익관리를 축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국민연금의 이익과 소액주주들의 이익이 침해될 가능성이 작아질 수 있다. 둘째, 이사 및 감사의 보수 증액 안건 등에 대한 반대투표는 오히려 경영진에 의한 이익조정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면 임원진 등의 보수 증액에 대해 무조건 반대라는 주주권 행사는 경영진의 자의적 이익관리에 도움이 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정관개정, 합병·분할, 재무제표 승인에 관련된 반대투표는 투표 건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질 정도로 많지 않았다.

과불화합물의 규제 및 산업적 용도에 대한 화학구조적 고찰 (Chemical Structural Approach to Understand Global Prohibition on Perfluorinated Compounds and their Uses)

  • 최은경;나진성;조영달;송기봉;이수영;석광설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4-155
    • /
    • 2016
  • Perfluorinated chemicals are highly diverse and widely used. More than 160 substances are pre-registered under REACH and approximately 140 substances are in the existing chemicals list of Korea from this chemical group. Chemical structures of PFCs that are globally prohibited and still in uses are identified with OECD's classification of PFCs with an overall review on their uses in consumer products including textile products. Case examples for current domestic situation on use of PFCs as a major component of water-repelling agents in textile products as well as a brief summary of eight major PFC manufacturers' situation are presented from our survey study along the supply chains and the most recent report of EPA stewardship programme, respectively.

Family Firm Governance and Long-term Corporate Survival: Evidence from Korean Listed Firms

  • Ahn, Se-Yeo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25-39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family firm governance is related to long-term corporate survival. To find out whether and why family firms have higher chances of long-term survival compared to non family firm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governance characteristics that are prevalent in family firms and corporate long-term viabil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s a sample of 285 family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KSE) to probe the influence of governance characteristics on corporate survival. This study conducts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influences on the survival duration. Findings -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ms with particular governance characteristics show higher long-term survivability. Specifically, the probability of firm's long-term survival is increased when the CEO is the largest shareholder, which may be related to CEO's stewardship attitud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direct causal variables that enhance long-term corporate viability through a large scale empirical examination. Also, the study findings provide some clues as to why certain family firms outlive non-family firms.

파스퇴르의 브랜드 스토리텔링 캠페인 (Pasteur Brand Storytelling Campaign)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42-149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유가공(乳加功) 기업인 파스퇴르의 유산균 발효유 '쾌변 요구르트'에 대한 스토리텔링 캠페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파스퇴르의 스토리텔링 캠페인은 브랜딩과 포지셔닝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브랜딩과 포지셔닝은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전략을 수립하는 브랜드 스튜어드쉽 모델(Brand Stewardship Model;BSM)을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BSM 분석결과, '쾌변 요구르트'라는 브랜드 네임이 탄생되었는데 그 배경은 후발주자로써 단기간 동안 소비자 이익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제품의 핵심가치인 '쾌변'을 브랜드화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파스퇴르는 '쾌변'이라는 신제품의 브랜드명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짧은 기간 동안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시키기 위한 포지셔닝을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쾌변 요구르트'의 포지셔닝은 '안 나오면 쳐들어 간다'이다. 그 근거는, 소비자에게 익숙한 멜로디를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배변에 좋은 '쾌변'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캠페인 초기 티저광고 형태로 집행된 '안 나오면 쳐들어 간다'는 신제품을 포지셔닝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즉, 파스퇴르 사례는 브랜딩과 포지셔닝 간의 전략적 조합이 스토리텔링 캠페인에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증명했다는 의미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Seaweed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Korea

  • Hwang, Eun Kyoung;Park, Chan Sun
    • ALGAE
    • /
    • 제35권2호
    • /
    • pp.107-121
    • /
    • 2020
  • Mariculture is regarded as the only option to supply the increasing demands for seaweeds as human food, feeds, fodder, and phycolloids in a sustainable manner. Technologies for culturing a range of seaweed species have been developed successively in Korea since the 1970s. In 2017, Korean marine farms produced 1,761,526 t of seaweed. The key focus of the industry is on the production of Pyropia (523,648 t), Undaria (622,613 t), and Saccharina (542,285 t). Pyropia is economically the most important species in Korea, accounting for up to 68% of total production value. As the top exporter of Pyropia in the world, Korea exported up to US $525 million of Pyropia products to 110 countries in 2018. Other economically important genera include Sargassum, Ulva, Capsosiphon, Codium, and Gracilariopsis, all of which are used for food, and Gelidium, Pachymeniopsis, and Ecklonia which are used as raw material for phycocolloid extraction. Significant work has gone into developing more productive strains of key seaweed species, and in 2012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certify seaweed varieties. To date, 19 seaweed cultivars have been registered including 13 Pyropia, 5 Undaria, and 1 Saccharina. The industry is now seeking not only to increase productivity but also to add value through processing. Convenience foods and snacks have been developed that target health-conscious consumers and utilize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seaweeds. The industry is also seeking to promote the sustainability of seaweed farming. One seaweed company in Korea obtained the world's first ASC-MSC (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Marine Stewardship Council) certification in 2019 and more are expected to follow their lead. With continued research support, the Korean seaweed industry plans to continue to expand to meet new market demands at a sustainable pace.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ership Style of CEO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최성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522-5533
    • /
    • 2015
  • 본 연구는 중소기업 CEO의 리더십 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 종업원의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중소기업 전기, 전자, IT업체 종사자를 대상(573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서번트 리더십의 감정적 치유, 지혜, 청지기 정신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 거래적 리더십의 예외적 관리, 서번트 리더십의 지혜, 청지기 정신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CEO는 종업원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향상을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과 애로사항, 문제 등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적극 검토하고, 이를 CEO 리더십 역량 강화에 포함하여 시행해야 한다. 또한 종업원이 자신과 함께 일하고 있다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가치관이나 신념 등을 강조하고, 장래 비전을 제시해 주며, 최종적으로 CEO와 종업원이 같은 공동목표를 갖는 공동체라는 것을 인식시켜 줄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