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scopic camera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1초

A Method for Precise Depth Detection in Stereoscopic Display

  • Lee Seung-Woo;Kim Nam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0권1호
    • /
    • pp.37-41
    • /
    • 2006
  •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 for precise depth detection in stereoscopic images. The geometry of a stereoscopic camera and a display system is presented.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s a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depth and the perceived depth of objects. For precise depth detection, the proposed registration method is investigated and proved by experiment in stable condition.

수평이동방식 입체카메라의 주시각 제어를 위한 Hybrid Cepstral Filter에 의한 시차정보 추출 (Hybrid Cepstral Filter for Precise Vergence Control of Parallel Stereoscopic Camera)

  • 권기철;김남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1-94
    • /
    • 2004
  • 수평이동방식 입체영상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에는 수평방향에 대한 좌, 우 영상의 시차정보만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의 수평방향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시차 값과 방향 정보를 찾기 위한 Hybrid Cepstral 필터에 의한 시차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차정보 추출 알고리즘은 좌, 우 영상의 수직 프로젝션 데이터를 사용하는 1차원 Cepstral 필터와 축소된 영상을 사용하는 2차원 Cepstral 필터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정확한 시차 값과 방향정보를 얻을 수 있다.

촬영 샷 정보를 활용한 2차원 영상의 입체 변환 (Stereoscopic conversion of 2D Image using Shot Information)

  • 김제동;계이기;최황규;조병철;김만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219-221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stereoscopic conversion based on movie shot information. To overcome the low stereoscopic quality of automatic stereo conversion technologies, the usage of the shot type is expected to provide more satisfactory stereoscopic perception. In general, movie clips are produced with a variety of shot techniques such as long shot, closeup shot, medium shot, etc. Each sho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tilized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Furthermore, description sceme for shot and camera information is presented in XML. XML shot editor generates XML shot data. and conversion module parses such data and converts 2D image into stereoscopic image.

  • PDF

스테레오PIV에 의한 원주후류 난류통계량 계측 (Measurement of Turbulent Properties of a Circular Cylinder with a New Stereoscopic PIV)

  • 도덕희;이원제;조용범;편용범;하승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71-474
    • /
    • 2002
  • A new stereoscopic PIV has been constructed using two CCD cameras, stereoscopic photogrammetry, and 3D-PTV principle. The capability of the developed stereoscopic PIV was verified through a test on the Standard Images which are provided on the website of VSJ. The arrangement of the two cameras was based on angular position For the acquisition of 3D velocity vectors, 2D velocity vectors were obtained using the gray-level cross-correlation method from the two camera images and they were matched stereoscopically. The wake of a circular cylinder was measured and turbulent properties were presented.

  • PDF

단일카메라 3차원 입자영상추적유속계-액적내부 유동측정 (Single Camera 3D-Particle Tracking Velocimetry-Measurements of the Inner Flows of a Water Droplet)

  • 도덕희;성형진;김동혁;조경래;편용범;조용범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
    • /
    • 2006
  • Single-Camera Stereoscopic Visio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based upon 30-PTV algorithm. The system consists of one camera $(1k\times1k)$ and a host computer. To attai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a plate having stereo holes has been installed inside of the lens system. Three-dimensional measurements was successfully attained by adopting the conventional 30-PTV camera calibration methods. As applications of the constructed measurement system, a water droplet mixed with alcohol was constructed on a transparent plastic plate with the contacted fluid diameter 4mm, and the particles motions inside of the droplet have been investigated with the constructed measurement system.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the constructed system was 0.04mm, 0.04mm and 0.09mm for X, Y and Z coordinates.

  • PDF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동 영상정렬 및 모니터링 기법 (Automated Image Alignment and Monitoring Method for Efficient Stereoscopic 3D Contents Production)

  • 김재인;김태정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05-214
    • /
    • 2014
  • 고품질의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입체피로를 유발하는 문제요인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촬영과정에서 스테레오 좌우 영상 간에 발생되는 수직시차는 입체피로의 주된 요인으로, 정확한 입체시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후처리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촬영과 동시에 영상정렬이 수행된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화된 방식의 영상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법은 대응점 추출과 기하구조 추정, 그리고 수직시차의 제거로 이어지는 편위수정 부분과 카메라 움직임 탐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에 대해 성능분석이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은 비교분석을 위해 사용된 기존방법들에 비해 보다 향상된 성능을 나타냈으며, 카메라 움직임 탐지부분에서도 98.35% 성공률의 뛰어난 탐지성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성능검증을 통해 실제 콘텐츠 제작현장에서 본 논문의 제안방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의 입체시 특성을 고려한 입체 카메라의 광축 간격 조절 (Adjustment of Stereoscopic Camera's Optical Axis Distance Considering Human Stereopsis Characteristics)

  • 형세찬;전국진;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1-49
    • /
    • 2011
  • 최근 입체영상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인프라는 급속도로 구축되고 있지만,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만한 입체영상 제작기반은 부족한 상황이다. 지금의 입체영상 제작환경에서는 기존에 평면영상을 제작하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입체영상을 제작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인간의 시지각과 카메라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영상이 제작되고, 이것은 입체효과의 저하와 함께 영상 속 피사체의 크기가 현실과 다르게 왜곡되어 나타나는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더 나은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해, 입체영상 관람 시 나타나는 인간의 크기 지각 특성을 고려한 입체 카메라의 광축 간격 조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카메라의 광축 간 거리에 따라 영상 속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면적 변화와 비율 데이터를 산출하였고, 광축 간격을 변화시키며 실제 입체영상을 촬영,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간의 입체시는 인간의 두 눈간 거리인 6.5cm를 기준으로 약 60%에서 2,000% 범위인 3.9cm에서 130cm 내에서는 광축 간 거리가 변화하더라도 크기 지각에 왜곡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므로 입체영상 촬영할 때 광축 간격을 3.9cm에서 130cm 내에서 유지한다면 영상 관람에도 크기 지각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실제와 동일한 크기로 느껴지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방사선원 3차원 위치탐지를 위한 방사선 영상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Gamma-ray Camera)

  • 이남호;황영관;박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86-492
    • /
    • 2015
  • 방사선 영상장치는 방사능 누출사고의 조기처리 및 확산 피해 최소화에 필수적인 장비이며, 가까운 미래에 빅마켓으로 성장될 원전폐로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방사선 영상장치는 방사선 오염원의 위치를 방향 정보만으로 탐지하여 가시화하고 있고 방사선원의 거리 측정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원리를 적용하여 방사선원의 3차원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의 방사선 3차원 영상장치의 구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 대의 방사선 센서와 CCD 카메라, 그리고 팬틸의 컴팩트한 구성으로 설계된 방사선 3차원 영상장치(K3-RIS)는 위치변환 제어에 의한 스테레오 방사선 영상 취득과 연속모드 제어 및 고속 스테레오 영상정보처리 기능이 특징이다. 개발한 장치의 기능검증을 위해 감마 방사선원(Cs-137)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선원간의 거리와 무관하게 3% 이하의 거리측정 오차를 확인하였다.

원거리 입체촬영용 카메라 축간거리 조절을 위한 퍼지추론 시스템 (Design of Fuzzy Inference System for Cameras Inter-Axial Distance Control of Remote Stereoscopic Photographs)

  • 변기식;오세웅;김관형;김민;김현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1-49
    • /
    • 2015
  • 일반적으로 원거리 피사체를 입체로 촬영할 경우 두 대의 카메라를 교차하기 보다는 평행으로 놓고 좌우 영상을 획득한다. 이를 위해서 특정거리 피사체에 대하여 축간거리와 렌즈의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면서 좌우영상들의 깊이총량을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 작업을 통하여 시각적 피로와 시각적 불안정을 주지 않는 축간거리와 렌즈의 초점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들 데이터를 통하여 퍼지제어기를 설계하였다. 피사체에 대한 입체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설계한 퍼지제어기로 축간거리와 렌즈의 최대초점거리를 추론하여 안정된 입체영상임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퍼지제어기는 원거리 피사체의 거리만 입력되면 카메라의 축간거리와 카메라 최대 초점거리 범위가 설정되는 동적 시스템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