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typ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6초

스테레오 영상과 준원근 카메라 모델을 이용한 객체의 3차원 형태 및 움직임 복원 (3D Object's shape and motion recovery using stereo image and Paraperspective Camera Model)

  • 김상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135-142
    • /
    • 2003
  • 본 논문은 영상내 객체정보의 정확한 복원을 위하여, 연속된 2차원 영상으로부터 특정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의 위치 데이터들로부터 원형의 3차원 모양 및 모션 정보를 복원하는 알고리즘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2차원 영상의 특징점 검출을 위해서는 물체와 배경이 명확히 구별되는 실험영상 환경에서 색상변환을 통한 자동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2차원 객체의 특징점들로부터 3차원 모앙, 움직임 정보를 복원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카메라와 준원근 카메라 모델을 적용하고 SVD(SinEuiar Value Decomposition)에 의한 인수분해연산을 수행하였다. 준원근 카메라 모델의 근본적인 문제인 깊이정보의 복원 에러가, 스테리오 영상 분석에 의해 최소화 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들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크기와 위치가 알려진 3차원 물체에 대해 실험을 행하였으며, 영상의 21개 특징점 위치와 공간상에서의 3개 방향으로의 움직임 각도를 연산에 의해 복원한 후 원형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본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증명하였다.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콘텐츠의 유인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 (Viewers' Psychophysiological and Self-report Responses to 3D Stereoscopic Display)

  • 임소혜;정지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11-222
    • /
    • 2012
  • 영상 콘텐츠가 2D와 3D의 다른 차원에서 재현되었을 때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다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인가와 각성과 같은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이 영상의 입체성과 연계되어 수용자의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과 수용자의 생리심리학적(psychophysiology)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동일한 영상이라도 3D로 시청하였을 때 수용자의 피부전도계수(SCL)는 유의미하게 높았던 반면, 심장박동(HR)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3D 영상에서 수용자의 실재감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지적 정보처리를 표식하는 회상기억에서 입체성에 따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수용자의 실재감과 이용의사에서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 중 유인가가 입체성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부정적인 콘텐츠는 3D 영상에서 긍정적인 콘텐츠는 2D 영상에서 보다 높은 실재감과 이용의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영상 산업의 발전을 위해 영상의 입체성과 콘텐츠의 속성이 가지는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rallax-barrier방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개발 (Development of parallax-barrier autostereoscopic display)

  • 이용범;이남호;안상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880-1883
    • /
    • 1997
  • An Parallax-Barrier type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is implemented to overcome the handicap of current glass-typed stereo imaging system which gives operators unnatural feeling and reluctance. This system is composed of image mixing part of two input images, A/D transformation part, scan conversion part to eliminate the rainbow interference phenomenon, and pin-hole type barrier lens. For the fine display the accurate slit width of barrier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retina size, and the samsung 10.4" TFT-LCO was used as flat display monitor.itor.

  • PDF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위한 새로운 구조 정보 추출 알고리즘 (Simple Algorithm of Structure Features Extration for Stereo Image Matching)

  • 최환언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
    • /
    • 1991
  • In this reseach, double-layered photoconductor consist of the carrier generation layer(CGL) of $\varepsilon$ type copper phthalocyanine thin film by an aqueous coating method and the carrier transport layer(CGL) of polyvinyl carbazol(PVK) by spin coating. We inverstigated effect of the surfactant solution and cathod electrolysis to the crystal type of $\varepsilon$-CuPc in CGL with TEM, SEM and X- ray diffraction spectroscopy and studied the mechanism of an aqueous coating for the preparation of CGL. The effect of the washing of CGL about the electro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varepsilon$-CuPc/PVK doublelayered photoconductors is studied also.

  • PDF

가상현실에서 스테레오 타입 방식으로 추출한 실물 객체 3D 정보를 이용한 객체간 충돌처리 연구 (Study on collision processing among objects by 3D information of real objects extracted from a stereo type method in AR)

  • 조인경;박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43-25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입력영상장치를 통해 출력영상장치에 투영되는 실물 객체의 3D 정보를 추출하여 가상의 공간에 실물 객체를 위치한다. 객체는 모두 각 객체간 상호 3D 정보 및 위치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충돌처리를 유효화 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물 객체의 3D 정보 추출 및 충돌처리는 객체간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증강현실에 있어서 무엇보다 선결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여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객체간의 충돌을 유효화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현실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3D object recognition using the CAD model and stereo vision

  • Kim, Sung-Il;Choi, Sung-Jun;Won, Sang-Chu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669-672
    • /
    • 2003
  • 3D object recognition is difficult but important in computer vision. The important thing is to understan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geometric structure in three dimensions and its image projection. Most 3D recognition systems construct models either manually or by training the pose and orientation of the objects. But both approaches are not satisfactory. In this paper, we focus on a commercial CAD model as a third type of model building for vision. The models are expressed in Initial Graphics Exchanges Specification(IGES) output and reconstructed in a pinhole camera coordinate.

  • PDF

Multiple Color and ToF Camera System for 3D Contents Generation

  • Ho, Yo-Sung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3호
    • /
    • pp.175-182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ulti-depth generation method using a time-of-flight (ToF) fusion camera system. Multi-view color cameras in the parallel type and ToF depth sensors are used for 3D scene capturing. Although each ToF depth sensor can measure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scene in real-time, it has several problems to overcome. Therefore, after we capture low-resolution depth images by ToF depth sensors, we perform a post-processing to solve the problems. Then,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depth sensor is warped to color image positions and used as initial disparity values. In addition, the warped depth data is used to generate a depth-discontinuity map for efficient stereo matching. By applying the stereo matching using belief propagation with the depth-discontinuity map and the initial disparity information, we have obtained more accurate and stable multi-view disparity maps in reduced time.

Stereo Vision Based Balancing System Results

  • Tserendondog, Tengis;Amar, Batmunkh;Ragchaa, Byambajav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1호
    • /
    • pp.1-6
    • /
    • 2016
  • Keeping a system in stable stat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control theory. The main goal of our basic research is stabi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 (quadrotor). This type of system uses a variety of sensors to stabilize. In control theory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to stabilize any system it is need to apply feedback control based on information from sensors. Our aim is to provide balance based on the 3D spatial information in real time. We used PID control method for stabilization of a seesaw balancing system and the article presents our experimental results.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of balancing of seesaw system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from stereo vision system only.

Origin of the Multiple Type II Solar Radio Bursts Observed on December 31 2007

  • Cho, Kyung-Suk;Bong, Su-Chan;Kim, Yeon-Han;Kwon, Ryun-Young;Park, Geun-Seok;Moon, Yong-Jae;Park, Young-Deuk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37.1-37.1
    • /
    • 2009
  • Solar type II radio burst is regarded as a signature of coronal shock. However its association with coronal mass ejections (CMEs)-driven shock and/or flare blast waves remains controversial. On December 31 2007, SOHO/LASCO and STEREO/COR observed a CME that occurred on the east limb of the Sun. Meanwhile, two type II bursts were observed sequently by KASI/E-Callisto and the Culgoora radio observatory during the CME apparence time. In this study, we estimate kinematics of the two coronal shocks from dynamic spectrum of the multiple type II bursts and compare with the kinematics of the CME derived from the space observations. An origin of the multiple type II bursts is inspected and discussed briefly.

  • PDF

고해상도 입체 위성영상 처리를 위한 무기준점 기반 상호표정 (Relative RPCs Bias-compensation for Satellite Stereo Images Processing)

  • 오재홍;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7-293
    • /
    • 2018
  • 고해상도 입체 위성영상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종시차를 제거한 정밀한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시차 제거를 위해서는 두 입체 영상간의 정밀한 센서모델링이 선행되어야하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지상 기준점을 이용한 번들 조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접근이 힘들거나, 참조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지역, 또는 절대적 위치 정확성이 크게 중요치 않은 경우에는 기준점을 활용하지 않고, 공액점(conjugate points)만을 활용한 상호표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항공, 지상 사진 등에 사용되는 프레임 카메라와는 달리, 위성 센서에 활용되는 푸쉬부룸 센서의 경우 상호 표정의 정확성 등의 분석의 검증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입체 영상 처리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RPCs의 무기준점 편위 보정을 통하여 상호표정의 정밀성을 분석하고 입체 영상 생성 시 종시차 달성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공액점은 영상간의 매칭을 통해 생성하였고, 공액점의 오차를 고려하여 과대오차 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필터링하였다. RPCs 편위보정은 affine과 다항식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보정 후 RPCs의 투영 오차를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에피폴라 영상을 생성하여 종시차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아리랑 3호 영상의 경우 2차 다항식으로 1픽셀 수준의 종시차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