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wood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7초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팽창조직(膨脹組織)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Swollen Tissue in a Stem of Platanus occidentalis L.)

  • 이필우;정연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7-11
    • /
    • 1993
  • 상해(傷害)에 기인하여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수간에 형성된 팽창조직(膨脹組織)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조직학적(組織學的) 및 수량적(數量的) 측면(側面)네서 정상조직(正常組織)과 비교(比較) 고찰(考察)하였다. 팽창조직은 정상조직에 비하여 세포배열이 불규칙적이고 도관요소내 타일로시스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후벽화(厚壁化)된 목섬유가 흔히 관찰된다는 점, 복합관공이 덜 나타난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관공의 직경이 작고 도관요소와 목섬유의 길이가 짧으며 도관빈도(vessel frequency)는 작은 반면, 도관요소내 계단상 천공관의 bar 수(數)가 많으며, 방사조직 빈도(ray frequency)가 크고 방사조직의 폭이 넓으나 높이가 작은 특성(特性)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산 Kenaf 이용에 관한 연구(제1보) -국내에서 재배한 kenaf의 생장 및 해부학적 특성- (Utilization of Kenaf Cultivated in Korea(I) -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Cultivated in Korea -)

  • 이명구;윤승락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4호
    • /
    • pp.68-74
    • /
    • 2003
  • Kenaf(Hibiscus cannabinus L.) cultivar, Tainung 2, had been grown for 152 days at the experimental farm of Jinju National University, Gajoa-dong, Jinju-si, Kyongnam, Korea. The planting, growth rate, fertil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ultiv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enaf, and the product usage were investigated. The narrowest diameter at kenaf bottom was 10 mm, the widest 42 mm and the average about 28 mm, and the shortest height 150 cm, the tallest 480 cm and the average about 350 cm. The weight of a core fraction was 68.1% and a bast fraction 31.9%. The weight ratio of core material to bast fiber was 2.31. The weight ratio of dry stem was 73.5% and that of leaves 26.5%. The weight of dry plant produced in 1 $m^2$ was 1,467 g, and about 1,052 g of stem could be used for the commercial purpose,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growth rate of the diameter at plant bottom and the height. Bast fiber, phloem ray and cortex parenchyma cell were observed in bast, and vessel, wood fiber and ray in core.

강원도 영서지역 소나무 마을숲의 생장환경과 관리방안 (Growth Environm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inus densiflora Village Groves in Western Gangwon Province)

  • 조현길;서옥하;최인화;안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3-90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주변의 전통 소나무숲을 선정하여 숲의 구조와 생장실태를 조사하고, 양호한 생장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 소나무숲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분포하는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숲의 조성시기는 개소별로 최소 50~최대 200년 전이었고, 소나무의 평균 흉고직경과 밀도는 각각 27~52cm, 0.5~9.3주/$100m^2$이었다. 생장기반인 토양환경은 소나무 생장에 대개 양호한 편이었으나, 토성이 사토로서 보비력이 낮은 2개소의 경우 토양양분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부 숲은 복토, 답압 등으로 인해 근계생장 장해에 따른 수세저하가 나타났다. 수간의 수피탈저 및 공동피해가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은 인위적 외상, 전정 부주의, 동해 등이었다. 병해는 그을음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이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피해정도는 경미하였다. 충해의 경우는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로서 피해정도는 6개소에서 경미하였으나, 2개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저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 소나무숲의 생장저해를 야기하는 주 요인은 양분부족, 복토 및 답압, 수간훼손, 병충해 등이었다. 이들 원인별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당 소나무숲을 보전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관리방안은 유기물과 석회 시용, 복토 제거, 토양굴기와 자갈포설, 목도설치 또는 우드칩 포장, 목책 및 보호틀 제공, 수간 외과수술, 수세강화, 수간주사 등 생장환경을 개선하거나 수간훼손과 병충해를 제어할 대책을 포함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목부로부터 Flavonoid 및 Lignan 화합물의 분리 (Isolation of Flavonoids and Lignans from the Stem Wood of Lindera obtusiloba Blume)

  • 서경화;백미영;이대영;조진경;강희철;안은미;백남인;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78-183
    • /
    • 2011
  • 생강나무 목부를 80% methanol로 추출, 농축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 butanol (n-BuOH) 및 $H_2O$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수행하여 2종의 lignan과 3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sarinin (1), (+)-catechin (2), (-)-epicatechin (3), hyperin (4) 및 nudiposide (5)로 구조 동정하였다. Asarinin (1)과 nudiposide (5)는 생강나무에서 이번에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간척지에서 재배된 양마(Kenaf)의 해부학적 특성(I)-사부와 목부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차이-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Grown in Reclaimed Land(I)-Differences in Phloem and Xylem with Growth Period and Height-)

  • 이선화;이세나;권성민;이명구;조동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43-49
    • /
    • 2007
  • 국내 간척지에서 생장한 양마(kenaf)의 생장기관과 높이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2006년 5월에 파종한 케나프를 동년 7, 8, 9,10월 총 4회에 걸쳐 채취하고, 각 생장기간 별로 3, 35, 70, 105 cm의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부에는 인피섬유, 방사조직, 사관이 존재하였고 목부에는 도관, 목섬유, 방사조직과 수가 존재하였다. 목질부의 도관은 산재상으로 고립관공과 방사복합관공이 혼재하였고 도관상호간벽공은 교호상 벽공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목부의 방사조직은 단열, 복열 및 다열방사조직이 혼재하였고 방사유세포의 형태는 직립, 평복, 방형세포가 모두 존재하였다.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부와 목부가 증가하였고 수심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부에 있어서 형성층부위에 가까운 인피섬유의 층이 외층부의 인피섬유의 층보다 더 크고 세포수가 많았다. 또한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다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생장 높이가 높아질수록 사부가 증가하였고 목부가 감소하였으며, 인피섬유의 층수와 사부방사조직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장높이가 높아질수록 접선단면에서 단열방사조직이 많이 관찰되었다.

Variable Density Yield Model for Irrigated Plantations of Dalbergia sissoo Grown Under Hot Arid Conditions in India

  • Tewari, Vindhya Prasa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05-211
    • /
    • 2012
  • Yield tables are a frequently used data base for regional timber resource forecasting. A normal yield table is based on two independent variables, age and site (species constant), and applies to fully stocked (or normal) stands while empirical yield tables are based on average rather than fully stocked stands. Normal and empirical yield tables essentially have many limitations. The limitations of normal and empirical yield table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able density yield tables. Mathematical models for estimating timber yields are usually developed by fitting a suitable equation to observed data. The model is then used to predict yields for conditions resembling those of the original data set. It may be accurate for the specific conditions, but of unproven accuracy or even entirely useless in other circumstances. Thus, these models tend to be specific rather than general and require validation before applying to other areas. Dalbergia sissoo forms a major portion of irrigated plantations in the hot desert of India and is an important timber tree species where stem wood is primarily used as timber. Variable density yield model is not available for this species which is very crucial in long-term planning for managing the plantations on a sustained basis.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ariable density yield model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30 sample plots of D. sissoo laid out in IGNP area of Rajasthan State (India) and measured annually for 5 years. The best approximating model was selected based on the fit statistics among the models tested in the study. The model develop was evaluated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tistical criteria which show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sound in prediction. The model can be safely applied on D. sissooo plantations in the study area or areas having similar conditions.

Acacia mangium Willd. - A Fast Growing Tree for Tropical Plantation

  • Hegde, Maheshwar;Palanisamy, K.;Yi, Jae 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1-14
    • /
    • 2013
  • Acacia mangium is an evergreen fast-growing tropical tree, which can grow up to 30 m tall and 50 cm thick, under favorable conditions. It is a low-elevation species associated with rain forest margins and disturbed, well-drained acid soils. It is native to Papua, Western Irian Jaya and the Maluku islands in Indonesia, Papua New Guinea and north-eastern Queensland in Australia. Due to its rapid growth and tolerance of very poor soils, A. mangium was introduced into some Asian, African and western hemisphere countries where it is used as a plantation tree. A. mangium has good quality wood traits, such as a comparatively low proportion of parenchymatous cells and vessels, white and hard wood, and high calorific value. Therefore, it is useful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furniture, cabinets, turnery, floors, particleboard, plywood, veneer, fence posts, firewood, and charcoal. It is also being used in pulp and paper making because it has good pulp traits, with high yields of pulp, quality of kraft, and produces paper with good optical, physical and surface properties. Because there are significant provenance differences in growth rate, stem straightness, heartwood formation and frequency of multiple leader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also varies depending upon environmental conditions, so genetic improvement programmes have been undertaken in countries like Australia, India,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Taiwan and Thailand. The programme includes provenance identifications and testing, plus tree selection and clonal multiplication, establishment of seed orchards and hybridization. The phenology, reproductive biology, fruit characteristics, silvicultural practices for cultivation, pest and diseases problems, production of improved planting stock, harvesting, wood properties and utilization have been discussed in this paper.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고추의 생육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and Wood Vinegar on the Growth and Nutrient Absorption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 엄미정;박현철;문영훈;김갑철;한수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7-73
    • /
    • 2002
  • 유기농자재인 목초액과 키토산의 농업적 이용을 위하여 고추의 생육과 양분흡수 및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토산 처리구에서 토양의 방선균수가 증가하고 사상균 수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A/F 및 B/F비가 커졌으며, 정식 후 50일에 경경이 약간 큰 편이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처리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해충은 관행에 비해 키토산 및 목초액 처리구 모두 발생률이 많아 병해충의 방제효과는 볼 수 없었다. 식물체 분석 결과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구 모두 Ca, K가 관행보다 다소 높았으며 키토산 처리구는 과실의 무기성분 중 Ca와 K와 같은 양이온 함량이 다소 많은 편이었다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에 의한 수량은 병해충 발생으로 관행에 비하여 모든 시험구에서 감소하여 수량증대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나. 과중 등의 과실특성이 좋게 나타나 키토산 10회 처리의 경우 관행대비 92.4%로 관행에 가까운 수량지수를 보였다.

탄화물이 토양미생물 및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od Charcoal and Pyroligneous Acid on Soil Microbiology and Growth of Red Pepper)

  • 안병준;조성택;조태수;이성재;이윤수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49-56
    • /
    • 2003
  • 목재의 탄화과정 산물인 목탄과 목초액의 농업적 이용의 일환으로 고추 생육 및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탄과 목초액을 토양에 처리할 경우 토양을 중성으로 개량하는데 효과적이고 토양의 이화학적성질이 유용 미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조건으로 변화되어 토양내 유용미생물의 밀도 증가로 나타났다. 고추의 생육에 있어서도 탄화물 처리로 고추모의 길이, 직경생장 및 고추 결과 수가 증가되었다. 특히 결과 수에서는 목탄 1kg, 목초액 1000배액 및 세균처리에 의하여 대조구보다 약 50% 정도의 증수 효과를 나타냈다. 고추모의 길이 및 줄기직경 증가는 노지에서 여러 가지 환경 변화 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하여 최종 수확량의 증대로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길항성 실험에서는 목초액 농도 2배, 10배에서는 곰팡이가 사멸되었고, 100배, 1000배 희석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성장 속도가 둔화되었다.

  • PDF

Carbon Storage in Aboveground, Root, and Soil of Pinus densiflora Stand in Six Different Sites, Korea

  • Park, Gwan-Soo;Choi, Jaeyong;Lee, Kyung-Hak;Son, Young-Mo;Kim, Rae-Hyun;Lee, Hang-Goo;Lee, Sang-Ji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
    • /
    • 2009
  • Due to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and global warming, the importance of forest ecosystems, as a place of carbon accumulation and emission, has received a great amount of recognition late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understand and provide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cycle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verage 35-years-old Pinus densifiora rands in Gongju, Youngdong, Chungsan, Muju, Mupung, and Jangsu regions. Total thirty aboveground sample trees were cut, and ten roots were sampled,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verage carbon concentrations in foliage, branch, stem bark, stem wood, and root were 55.7%, 56.0%, 56.0%, 57.3%, and 56.5%, respectively. Carbon content was estimated by the model $Wt=aD^b$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 (aboveground and root) was 42.39tonC/ha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mwood, root, branch, stem bark, and foliage. Total net primary production (aboveground and root) was estimated at 6.51tonC/ha/yr in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net primary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rnwood, root, branch, foliage and stembark. Soil carbon contents in the study sites was 43.51tonC/ha at 0-50cm soil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