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m cuttings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1초

Propagation by Leafy Stem Cuttings Containing Xylem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 Hak Gon, Kim;Seong Hyeon, Yong;Hyung Ho, Kim;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49-255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proliferation of hybrid poplar (P.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an excellent biomass species. It was found that to collect the cuttings of Bonghwa1, it was necessary to use the main stem rather than the axillary branch. Stem growth by green-wood cut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length of the collected cuttings increased, but the survival rate was low. Therefor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was attempt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cuttings. In th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method, 4 leaves were included in the cuttings, and especially, cuttings were performed using cuttings containing 2-4 cm xylem parts. Leafy stem cutting increased root growth and the number of stems, as well as the survival rate of hybrid poplar clone Bongwha1 compared to green-wood cuttings. The root growth of the leafy stem cutting poplar was better as there was more xylem part. Using two-year-old nursery stocks, the leafy stem cutting was used to produce about 66 cutt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ss propagation of high-quality nursery stocks.

감자 'Solara' 경삽묘의 육묘기간에 따른 묘소질 및 수경재배에서의 수량 특성 (Effect of Seedling Quality on the Seedling Raising Period of Stem Cutting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Solara' Potatoes in Aeroponics Cultivation)

  • 강형식;김성용;김태균;홍순영;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0-65
    • /
    • 2017
  • 이 시험은 '솔라라'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해 분무경 수경재배에 적합한 묘를 구명하고자 2015년 3월 16일 배양순화묘 등 8처리의 묘를 분무경 베드에 정식하여 정식 후 70, 78일에 각각 생육과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경장은 경삽 15일묘와 배양순화묘가 작은 편이었고 경삽묘의 육묘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생체중도 경삽 40일묘가 주당 122 g으로 가장 무거웠고 무발근묘와 배양순화묘는 가장 가벼웠다. 1차 복지는 경삽 35일묘에서 주당 12.9개로 가장 많았고 2차 복지는 경삽 35일묘, 배양순화묘, 경삽 30일묘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10주당 총괴경수는 배양순화묘가 145개로 많았으나 3~50 g(상품) 괴경수는 경삽 35일묘가 108개로 가장 많았고, 괴경 무게는 경삽 35일묘가 1,947 g으로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경삽 30일묘였다. '솔라라' 품종 수경재배 시에는 경삽한 후 30일~35일(경장 15 cm, 마디 12절) 묘로 정식하는 것이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

묘삼경의 근형성에 미치는 식물 생장 조절물질의 영향 (Effects of Phytohormone on the Root Formation of Stem Cutting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양덕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42-53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large scale propagation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herefore, the stem cuttings of 1-year old ginseng,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5 seconds (quick dipping) and 24 hours (prolonged soaking), were cultured. The root formation of stem cuttings was varied with the concentrations, kinds, and treatment methods of plant growth regulators. Besides normal-looking roots various malformed roots were observed. In the prolonged soaking method, the culture of stem cuttings, treated with 10 ppm of IBA or NAA, resulted in profuse root regeneration. And stem cuttings, in quick dipping method, treated with 2000 ppm of IBA or NAA resulted in more excellent root regeneration. In general, IBA was more vigorous for the root formation than NAA, The treatment with 50 ppm kinetin or 100 ppm BA brought good result for the retardation of senescence of stem cuttings and BA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kinetin. As for the saponin content of roots derived from stem cutting culture, the roots, formed by non-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were higher in saponin content than those formed by 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 PDF

Seedling Propagation by Stem Cuttings in Yacon

  • Doo, Hong-Soo;Kim, Kyung-Ah;Ryu, Jeom-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4-188
    • /
    • 1998
  •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growth regulators, their concentrations and treatment time, rooting medium, and plant parts for optimum seedling propagation by stem cuttings in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NAA was the most effective on rooting, and followed by IBA 2,4-D, and IAA. Dipping the base of cuttings in 50 or 100 ppm solutions of IBA increased rooting ratios. The 100 ppm solution of IBA was 14% higher than the 50 ppm solution for rooting ratios. Rooting medium with equal volumes of clay loam and sand was the most suitable for rooting of cuttings. Cuttings with both terminal bud and the first node or cuttings with both the first and second nodes were higher in rooting ratios than cuttings with only terminal bud or the first or second nodes. Days to rooting was not affected by plant parts.

  • PDF

고려인삼의 영양번식에 관한 연구 제1보 NAA의 농도 및 잡목용배지가 인삼경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egetative Propagati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1. Effects of the NAA Concentration and the Rooting Media on the Rooting of the Ginseng Stern Cutting)

  • 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7
    • /
    • 1982
  • 고려인삼의 삽목에 의한 영양번식방법을 개발하고저 완전히 전엽된 3매 소엽을 부착한 묘삼경을 삽수로 취하여 NAA의 처리농도가 이들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한편 삽목용토 및 삽목방법이 발근 및 발근후의 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AA는 삽목후 관수시 NAA용액으로 관수하였던 바 1.0ppm 용액의 관수가 발근율 및 발근후의 근생장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삽목용토로는 부엽토와 모래의 혼합토가 가장 이상적이었다. 삽목후 삽수에 부착된 엽에서의 증산을 억제하고 삽수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cril film으로 만든 덮개로 삽수의 지상부를 씌워 주는 것이 삽수의 발근에는 물론 특히 발근후의 근생육에 효과적이었다. 한편 5매의 소엽이 부착되어 있는 2년생 인삼의 엽병을 삽수로 하여 부엽토와 모래의 혼합토에 삽목하고 1.0ppm의 NAA 용액을 관수하였던 바 역시 양호한 발근율과 근생장을 보였는데 근의 생장량은 묘삼에서 취한 경삽보다는 약간 부진하였다.

  • PDF

Clonal Propagation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 Mishra, Dhruv Kumar;Kumar, Devendr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18-225
    • /
    • 2014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tandardize and develop a suitable macro-propagation technology for large scale production of superior clonal stock through stem cuttings in Commiphora wightii Arnott (Bhandari), a data deficient medicinal plant of arid region. For the purpos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was tri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various cutting diameters (0.50-0.75 cm, 0.75-1.00 cm, 1.00-1.50 cm, and >1.50 cm) in combination with varying growing conditions (sunlight, shade house and mist chamber) on shoot sprouting and rooting without using exogenous plant growth regulators. Cutting diameter (size 0.75-1.00 cm) in mist chamber has shown maximum sprouting (90.00%) and rooting (73.33%), primary root (6.67) and secondary root (16.67) followed by 1.00-1.51 cm in mist chamber. Minimum sprouting (40.00%), rooting (33.33%), number of shoot (1.33), primary root (1.00) and number of secondary root (1.00) was recorded in cutting diameter (size >1.50 cm) in sunlight.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find out optimum growth regulator concentration of rooting hormone (100, 200, 500 and 1000 ppm) of Indole-3-acetic acid (IAA) and Indole-3-butyric Acid (IBA)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on cuttings diameter (size 0.25-0.50 cm) in comparison to control. Maximum rooting percentage (93.33%) was recorded in 200 ppm followed by 500 ppm (86.66%) of IBA as compared to control, which showed only 60 per cent sprouting. Third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newly formed juvenile micro-cuttings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IAA and IBA. The juvenile cuttings (size 6-10 cm, basal dia <0.25 cm) were selected as micro-cuttings. The cuttings treated with IBA (500 ppm) showed 64.30% rooting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s of above experiments indicate that cuttings (size 0.75-1.00 cm dia) may be developed in mist chamber for better performance. While using heavier cuttings, no growth promoting hormones is required however; growth regulator 200 ppm concentration of IBA rooting hormone was observed optimum for promoting macro-propagation in stem cuttings of lower diameter class (0.25-0.50 cm).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에서 삽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Sedum sarmentosum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Cultivation System Using a Rice Nursery Tray)

  • 김효진;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6-202
    • /
    • 2008
  •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30{\times}60{\times}3\;cm$)를 이용한 고품질 돌나물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완주 및 금산지역종을 재료로 육모상자당 40, 60, 80개체씩 9월7일에 삽식한 다음, 월동전후 두 지역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삽식후 60일째에 초장과 줄기수는 삽식밀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종의 잎장과 식물체 당 곁가지 수는 40개체보다 80개체 밀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월동후 1차 수확시(4월 20일), 금산 지역종의 생육은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 지역종의 줄기직경, 줄기당 마디수와 잎수 등은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두 계통 모두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지역종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차 수확시(6월 5일)의 생육은 두 지역종 모두 총 줄기수에서만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금산 지역종에서 40개체 삽십보다 60개체 삽식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완주 지역종의 건물중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완주 지역종은 줄기가 두껍고 마디가 짧으며, 잎이 크고 웃자라지 않아, 수량성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시 완주 지역종이 금산 지역종보다 적합하였으며, 재식밀도는 상자당 40개체가 적당하였다.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uttings of Mulberry Trees in Korea(Abstract)

  • Chung, Tae-Am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38
    • /
    • 1977
  • Since 1972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reveal physiological func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involved in rooting of mulberry cuttings, and the behaviour of ether extractable growth control substances in leaves and stens. Measurements were made on various mulberry varieties for respiration of cuttings, suitable size for the production of cuttings, change of rootability of cuttings with growth of cutting shoots after cutting date, rooting tests on the green beans with ether leaf extract and ether stem extract, and rooting effect of cutting by NAA treatment. (omitted)

  • PDF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한 감자 경삽묘 육묘시 묘소질과 괴경 생산에 대한 LED 광도의 영향 (Effect of LED Light Intensity on Seedling Quality and Tuber Production of Potato Stem Cuttings Grown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조만현;함인기;박권서;조지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68-476
    • /
    • 2020
  • 본 연구는 씨감자 생산에 적합한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광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감자(Solanum tuberosum L.) '수미'와 '추백'의 경정배양묘를 순화한 다음 삽수를 채취하여 경삽하였다. 서로 다른 LED 광도(60, 120, 180, 그리고 240 μmol·m-2·s-1)에서 40일간 육묘하고, 80일간 분무경재배하였다. 1.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경삽묘를 육묘하였을 경우 '수미' 17.3 cm, '추백' 16.1 cm로 두 품종 모두 초장이 가장 길었고, 마디수도 많았다. 광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작고 마디수도 적었다. 2. 품종에 따라 엽면적이나 SPAD 값, Fv/Fm 값은 육묘기의 광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경삽묘의 생체중은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건전묘 생산율도 두 품종 모두 60 μmol·m-2·s-1 광도에서 가장 높았다. 3. 분무경재배에서 LED 광도 60 μmol·m-2·s-1에서 육묘한 경삽묘가 품종간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지상부 경엽중이 가장 무거웠고, 정식판 아래 경삽묘장이 가장 길고 뿌리 무게도 가장 무거웠으며, 광도가 높을수록 가벼웠다. 4. 복지수에 있어서도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60 μmol·m-2·s-1 광도에서 육묘한 경우 '수미' 4.2개/주, '추백' 7.7개/주로 가장 많았다. 또한 60 μmol·m-2·s-1 광도에서 괴경수 및 총괴경중이 가장 좋았는데 광도가 높을수록 두 품종의 총괴경수와 총괴경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폐쇄형식물생산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무경재배용 경삽묘를 생산할 경우, 육묘에 적합한 LED 광도는 60 μmol·m-2·s-1라고 판단되었다.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 Trin.)의 방제를 위한 제초제 스크리닝방법의 확립 - I. 갈대의 육묘 (Establishment of Herbicide Screening Methods for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Control - I. Propagation of Reed)

  • 황인택;최정섭;이희재;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1996
  • 갈대방제용 제초제의 스크리닝재료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여 온실에서 육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종자, 지하경, 달뿌리풀의 포복경 및 갈대의 마디절편의 발아율은 각각 5, 46, 65, 75%로 나타났다. 2. 갈대의 종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지만 발아율이 매우 낮고 육묘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3. 갈대의 지하경은 채취가 어렵고 채취시기도 11~3월로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낮은 발아율, 지하경의 크기와 형태의 불균일, 초기 생육시 개체간의 차이, 보관상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하경을 이용하여 갈대를 육묘할 때는 원예용 부농상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4. 달뿌리풀의 포복경은 발아율이 비교적 높고 채취가 간편하지만 채취시기가 8~9월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5. 갈대의 마디절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확보가 용이 하고 발아율이 비교적 양호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실험재료를 육성할 수 있었다. 마디절편은 채취 후 곧바로 사용해야 하며 중위절의 마디가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 채취한 마디에서의 발아율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온실에서 모주를 재배하면서 필요시 절단하여 사용한다면 제초제 스크리닝용 갈대의 계속적인 육묘가 연중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