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 bracket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6초

다양한 교정용 브라켓 원재료에 부착하는 mutans streptococci 양의 비교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mutans streptococci adhesion to various orthodontic bracket materials in vivo)

  • 유진경;안석준;이신재;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1
    • /
    • 2009
  •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중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서 특히 교정용 브라켓에 대한 세균 부착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표면 특성을 가진 세 종류의 브라켓을 구강 내 장착했을 때 각 재료의 표면에 대한 mutans streptococci 부착 정도를 측정하여 브라켓 재료에 따른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상하악 및 치아 부위별 mutans streptococci 부착 정도의 차이를 배제하고 브라켓 원재료에 따른 차이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균형완전블록 실험계획을 설계하였다. 피실험자인 30세 여성의 구강 내에 장착할 수 있는 tooth positioner 형태로 3세트의 플라스틱 맞춤 트레이를 제작하였으며, 이 트레이에 직육면체의 형태($4{\times}3{\times}2\;mm$)로 제작한 stainless steel, monocrystalline sapphire, polycrystalline alumina 조각을 세트마다 서로 다른 순서로 전치부와 구치부 순면에 부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3종류의 실험장치를 12시간 동안 피 실험자의 구강 내에 장착한 후, 각 브라켓 재료 표면에 형성된 치태를 채취하여 bacitracin이 포함된 mitis salivarius배지에서 48시간 배양 후 colony counting을 통해 그 표면에 부착된 mutans streptococci 양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3세트의 실험장치에 대해서 각각 5회씩 총 15회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상하악 및 치아 부위별 및 브라켓 재료별 세균 부착 정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in vivo condition에서 브라켓 재료의 차이는 mutans streptococci 부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모멘트 변화에 따른 브라켓과 교정용 선재 사이의 마찰력 변화 (Changes in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stainless steel bracket and various orthodontic wires according to a change in moment)

  • 정혜진;김광원;임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7-1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멘트 변화에 따른 건조 환경과 타액 환경에서의 스테인리스강 브라켓과 여러 종류의 교정용 선재 사이의 마찰력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실험에는 $0.022"{\times}0.028"$ 스테인리스강 브라켓과 $0.019"{\times}0.025"$ 스테인리스강, 베타-티타늄, 니켈-티타늄 선재가 사용되었다. 활주 이동될 브라켓에는 0.9 mm 직경의 스테인리스강 선재로 제작된 길이 10 mm의 레버를 부착하였으며 레버에 100 g, 200 g의 추를 부착함으로써 브라켓에 각각 $1000g{\cdot}mm$ $(100g{\times}10mm)$, $2000g{\cdot}mm$ $(200g{\times}10mm)$의 모멘트를 가하고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조건에서 스테인리스강 선재가 가장 작은 마찰력을 보였으며 베타-티타늄과 니켈-티타늄 선재 사이에서는 $2000g{\cdot}mm$ 모멘트의 인공타액 하의 조건에서를 제외하고는 마찰력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든 선재에서 모멘트가 $1000g{\cdot}mm$인 때보다 $2000g{\cdot}mm$일 때 마찰력이 더 컸다. 건조 환경과 타액 환경의 비교에 있어서 $1000g{\cdot}mm$의 모멘트 하에서 인공타액에 의해 스테인리스강 선재의 마찰력은 증가하였으나 베타-티타늄과 니켈-티타늄의 마찰력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2000g{\cdot}mm$의 모멘트 하에서 인공타액에 의해 모든 종류의 선재에서 마찰력이 증가하였다.

건축물에너지 효율을 위한 조적조 열교 차단 브라켓의 성능 평가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sonry Thermal Bridge Blocking Brackets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 김웅회;김형규;이태규;이재현;김규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5-176
    • /
    • 2023
  • The masonry structure is constructed by cement mortar binding material of brick objects and uses reinforced hardware(connected hardware or wall tie) together when building. However, over time, the corrosion of reinforced steel and the deterioration of joint mortar as well as bricks cause the risk of collapse. In particular, when the externally decorated brick wall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girder for each floor, the angle bracket is not constructed or corroded, the full-layer weight load is applied to the wall of 0.5B, which is an example of full-scale or collapse.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bracket, and we plan to carry out a real-life test and long-term performance review of the building using the bracket in the future.

  • PDF

시공성 향상을 위한 제4세대 H형강 기둥-보 약축접합부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ourth Generation H-section Beam-to-Column Weak Axis Connection for Improving Workability)

  • 김필중;부윤섭;양재근;이은택;김상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95-304
    • /
    • 2011
  • 국내외적으로 강구조 약축접합부의 접합방법으로는 브라켓타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브라켓타입의 약축접합부는 기둥-보접합부를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므로 보이음부가 추가된다. 따라서 보이음부의 설치비용 및 공사기간이 증가되므로 강구조물의 경쟁력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준약축접합부를 개선하여 힘의 흐름이 명확하고, 접합상세가 간결하며, 시공성을 향상시킨 신형상 약축접합부를 제안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신형상 약축접합부는 기존의 표준약축접합부보다 최대내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또한 연성적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기존의 표준약축접합부는 스칼럽 또는 보이음용접부에서 응력집중으로 인하여 파괴되는 반면에, 신형상 약축접합부는 응력이 집중되는 스칼럽 및 보이음용접부가 없으며, 또한 H형강기둥과 보를 결합하기 위한 용접플레이트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가 기둥-보접합부의 최대내력 증가 및 연성적 거동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평스티프너를 이용한 철골 기둥-보 약축접합부 상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eam-to-Column Connection Details with Horizontal Stiffeners in Weak Axis of H-shape Column)

  • 이도형;함정태;김성배;김영호;김상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641-652
    • /
    • 2004
  • 철골 기둥-보 강축 접합부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국내외에서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어 내진성능 및 접합부의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많은 접합 형식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나, 약축 접합 형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시공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브라켓형식 용접 접합부를 선호하고 있으나, 용접량이 많아 취성적인 거동이 우려되며 과대 설계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기존 브라켓 형식 용접접합은 용접량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둥 웨브와 보의 웨브의 용접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기둥-보 약축 접합형식들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기존 브라켓형식 용접접합보다 우수한 내력 및 연성을 보유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체.조립식 모듈러 철골조 기둥-보 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Beam-to-Column Joints for Modular Steel Frame)

  • 정성림;강주원;박성무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89-97
    • /
    • 2008
  • 본 논문은 유닛 모듈러를 구성하는 주구조체인 각형강관 기둥과 냉간성형 LEB C-형강 보로 볼트 접합된 접합부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접합부에서 기둥과 LEB C-형강 보를 접합하기 위한 브라켓의 두께변화, LEB C-형강 보와 브라켓 접합부 볼트 개수 등의 주요변수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증대와 변형성상 및 파괴모드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접합부의 보강형상과 관계없이 또한 접합부의 파괴 없이 LEB C-형강 보의 국부좌굴강도가 지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브라켓 두께 크기에 따라 내력과 강성이 조금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합부에 사용된 볼트 수량에 관계없이 강성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LEB C-형강과 브라켓을 볼트접합으로 반강접합의 역학적 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xperimental, numerical and analytical studies on a novel external prestressing technique for concrete structural components

  • Lakshmanan, N.;Saibabu, S.;Murthy, A. Rama Chandra;Ganapathi, S. Chitra;Jayaraman, R.;Senthil, R.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6권1호
    • /
    • pp.41-57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s of a novel external prestressing technique for strengthening of concrete members. In the proposed technique, transfer of external force is in shear mode on the end block thus creating a complex stress distribution and the required transverse prestressing force is lesser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iques. Steel brackets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end block for transferring external prestressing force and these are connected to the anchor blocks by expansion type anchor bolts. In order to validate the techniqu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post-tensioned end blocks. Performance of the end blocks have been studied for design, cracking and ultimate loads. Slip and slope of steel bracket have been recorded at various stages during the experiment.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simulating the test conditions and the responses have been compared. From the analysi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computed slope and slip of the steel bracket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corresponding experimental observations. A simplified analytical model has been proposed to compute load-deformation of the loaded steel bracket with respect to the end block. Yield and ultimate loads have been arrived at based on force/moment equilibrium equations at critical sections. Deformation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atio of axial deformation to vertical deformation of anchor bolt would follow the same ratio at the corresponding forces such as yield and ultimate. It is observed that the computed forces, slip and slop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corresponding experimental observations.

피로균열이 발생한 강판형 철도교 세로보의 보수보강효과 (An Effect of Repair & Retrofit of Stringer in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with Fatigue Cracks)

  • 홍성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1
    • /
    • 2010
  • In this study, a series of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LUSA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quantitative effects of repair and retrofit of stringer in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with fatigue cracks. And cutoff types of end part of upper flange were considered as right-angled type and round-angled type. Also, as a method of repair and retrofit of fatigue cracks in stringer, perforation of stop-hole and installation of bracket were considered. From the analysis result, it was possible to assess the fatigue safety and fatigue life of stringer with fatigue cracks, and to estimate the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in cut-off part of stringer using J-integral method. Also, 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ation of stop-hole and installation of bracket,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crack propagation life at the cut-off part of stringer.

Hot strip 위치측정을 위한 Vision 기술 적용 (Applied machine vision technique in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hot steel strip)

  • 노경숙;이동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072-1075
    • /
    • 1996
  • In hot rolling process at steel plant, cooling of the rolled strip at the exit of the rolling mi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that would decide the quality of products. To guarantee the thermal equity over the strip, the device called an edge-masking unit is being used.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strip and the sprayers to cover the side edge of the strip from spraying water. The accuracy of positioning the bracket is the key to this operation. A machine vision technique can be applied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side edges before an as-rolled strip enters into the cooling facility to rectify the error of preset position of the bracket. This paper shows the simulation result of applying the machine vision technique to measuring the position of a strip and suggests the solution for the target.

  • PDF

천마 연소관 브라켓 가공공정 개선

  • 김창식;최열경;양재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7-33
    • /
    • 1993
  • 천마 연소관 및 Bracket는 고강도 특수강의 일종인 Maraging steel C-250 Grade로서 유동성형공정 (flow forming process: F/F) 및 용접공정을 거쳐 시효경화후의 경도(HRC 48-52)가 높아 절삭가공 및 Tapping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브라켓 밀링가공(Tapping포함)을 시효경화공정 이전에 완성하는 것으로 공정 FLOW를 설정하였으나, 시효경화 시 유동성형공정 잔류응력 및 재질특성에 의한 수축, 변형 등으로 도면상 요구된 품질(형상 및 위치공차) 만족이 미흡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체 공정 수만 증가하였음. 따라서 연소관 및 Bracket 완성가공을 시효경화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공정 개선 하고자 시험 작업한 결과, 선삭, 밀링작업등 다른 기계가공 공정의 문제점은 대부분 해결할 수 있었으나, Tapping공정만은 해결할 수 없어서 진정한 공정개선을 기할 수 없었음. 그러나,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고려 시효경화 후 Tapping 공정실시 필요성이 강력히 대두되어 Maraging steel 재질특성에 적합한 공구 및 작업조건을 검토, 설정 시험작업 함으로써 공정개선을 이룰 수 있었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