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s

검색결과 23,340건 처리시간 0.038초

STATISTICS PRESENT, NEAR FUTURE, AND BEYOND

  • Johnson, Richard 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
    • /
    • pp.5-12
    • /
    • 2001
  • We berlin with a brief review of some important advances made in statistical theory over the last decade. The choice of topics is decidedly influenced by personal interests. Based on this review, we then propose some possible scenarios about the future of statistics.

  • PDF

다항판별지수와 검정통계량 제안 (Proposition of polytomous discrimination index and test statistics)

  • 최진수;홍종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37-351
    • /
    • 2016
  • 현실세계의 예측 문제에서 세 범주 이상의 결과로 예측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기존의 문헌연구에서는 부합성을 짝 접근방법으로 활용한 통계량은 범주의 뚜렷한 구분 없이 표현되었다. 최근 새롭게 표현한 평가자료와 이를 바탕으로 부합성을 재표현하여 통계량들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의미 파악이 가능해졌지만 통계량들의 판단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 통계량들은 가능한 부합성의 짝으로 구성되었지만 실제범주들간에서 예측범주들의 부합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기에 이를 포함한 두 가지 통계량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통계량은 선택된 두 범주로부터 모든 가능한 경우들 사이를 판별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두 가지 통계량은 지시함수로 표현되므로 비모수적 통계량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합성 통계량을 가설검정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재단관리표준을 위한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국가통계분석 및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tatistic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in Korea)

  • 박덕근;오정림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5-61
    • /
    • 2009
  •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는 소방방재청과 부처 간 통계중복 및 연계성 부족으로 정책수립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통계인프라가 빈약하여 과학적 재난관리를 위한 통계관리 및 개발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분류체계를 통합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통계체제 정립 안을 도출하고 통계지표의 개선 및 신규지표를 개발하며,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통합 구축방안 마련에 있다. 또한 유관기관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활용을 위한 법 제도 정비, 방재센서스 실시방안, 통계 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정비를 통한 과학적 재난관리 정책수립의 환경을 조성하고 부처별, 재난 유형별 분산관리에서 통합형 통계관리로의 개선 및 공동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난유형별 국제비교가 가능한 통계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eb GIS 기반 유선도 작성을 통한 인구이동통계의 지리적 시각화 (Geovisualization of Migration Statistics Using Flow Mapping Based on Web GIS)

  • 김감영;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68-281
    • /
    • 2012
  • 인구이동통계는 사회현상에 대한 공간적 이해와 공간과정의 사회적 영향 파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자료 서비스와 분석이 제한되어 왔다. 한편 인구이동통계를 탐색하고 시각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인 유선도 작성(flow mapping)은 아직 상용 GIS 소프트웨어서 완전히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Web GIS를 통한 유선도 제작과 이를 이용한 인구이동통계에 대한 탐색적 공간 분석이 가능함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GIS, 지도학적 관점에서 인구이동통계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O-D 구조의 인구이동통계를 유선도 제작에 적합한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였다. 인구이동통계에 적합하도록 Web GIS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문화하였고, 지도화의 시간, 공간 및 속성 범위의 설정을 통한 탐색적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PDF

통계학책 번역서 네 권에 대한 비평 (A Review of Four Translated Statistics Books)

  • 조재근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573-594
    • /
    • 2004
  • 최근 국내에서 통계학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을 수 있는 통계학 책이 많이 출판되는 현상은 대단히 반가운 일이다. 그 책들 가운데에는 국내 저자가 쓴 것보다는 번역서가 더 많은데, 번역도서의 양적인 팽창은 한편으로 그 책들이 번역되어야할 이유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비롯해서 번역의 질적인 면을 검토할 필요성도 제기한다. 이 글에서는 지난 2003년에 나온 번역서 네 권을 대상으로 그 책들에 담긴 색인과 참고문헌, 통계학 이론과 통계학 용어, 그리고 통계학의 역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그 책들을 소개하는 일간신문의 신간소개나 서평 기사들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의 진단은 번역서들에서 보게 되는 많은 문제점들이 통계학과 거리가 먼 번역자들이 그 책을 옮겼기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내의 통계학 전문가들이 일반 대중을 위한 통계학 책의 필요성, 번역 작업이 갖는 의미, 번역할 책의 선택에 대해 좀더 활발하게 토론하고 무엇보다 직접 번역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겠고, 나아가 일반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된 훌륭한 통계학 책을 쓰는 작업에도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겠다.

Comparison of the number of live births, maternal age at childbirth, and weight of live birth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in 2018

  • Kim, Sun-Hee;Kim, Sooyoung;Park, Byeongje;Lee, Seokmin;Park, Sanghee;Jeong, Geum Hee;Kim, Kyung Won;Kang, Sook Ju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0-4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maternal age at childbirth, the number of live births, and the weight of live birth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using statistical data from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period of 2008-2018. Metho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of Statistics Korea (https://mdis.kostat.go.kr/index.do). Results: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showed a higher age at childbirth in 2018 than in 2008. The percentage of newborns of Korean women with a birth weight of less than 2.5 kg increased slightly for 3 consecutive years from 2016 to 2018, whereas for immigrant women, this percentage increased in 2017 compared to 2016 and then decreased again in 2018. Very low birth weight (less than 1.5 kg) became more common among immigrant women from 2016 to 2018. Birth at a gestational age of fewer than 37 weeks increased both among Korean and immigrant women from 2016 to 2018. In both groups, the percentage of women who had their first child within their first 2 years of marriage decreased from 2008 to 2018. Conclusion: Immigrant women had higher birth rates than Korean women, while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preterm birth.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egnancy and birth needs of immigrant women, and steps are needed to ensure health equity and access in order to prevent preterm births.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reterm birth and birth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mong immigrant women in the future.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and trends in Korea between 2018 and 2020

  • Hyunkyung Choi;Ju-Hee Nho;Nari Yi;Sanghee Park;Bobae Kang;Hyunjung Ja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8-35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using the national population data of South Korea between 2018 and 2020, and to analyze mortality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age, date of death, and cause of death in each group. This study updates the most recent study using 2009 to 2017 data. Methods: Analyses of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were done with data identified through the supplementary investigation system for cases of death from the Census of Population Dynamics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from 2018 to 2020. Results: Between 2018 and 2020, a total of 99 maternal deaths, 2,427 infant deaths, and 2,408 perinatal deaths were identified from 901,835 live births.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11.3 deaths per 100,000 live births in 2018; it decreased to 9.9 in 2019 but increased again to 11.8 in 2020.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increased steeply in women over the age of 40 years. An increasing trend in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found fo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uerperium and hypertensive disorders. Both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continued to decrease, from 2.8 deaths per 1,000 live births in 2018 to 2.5 in 2020 and from 2.8 in 2018 to 2.5 in 2020, respectively. Conclusion: Overall, the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showed improvements. However,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women over 40 years of age and specific causes of maternal death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Korea's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ies.

MSPE를 이용한 임금총액 소지역 추정 (A Small Area Estimation for Monthly Wage Using Mean Squared Percentage Error)

  • 황희진;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2호
    • /
    • pp.403-414
    • /
    • 2009
  • 국내외적으로 지역통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소지역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지역 추정에 사용되는 추정량의 대부분은 MSE(moan squared error)를 최소화하여 얻어진다 (Rao, 2003). 최근 황희진과 신기일 (2008)은 MSPE(mean squared percentage error)를 최소화하는 추정량을 사용한 소지역 추정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통계 중 지청별 일인당 평균 임금총액 추정에 황희진과 신기일 (2008)이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보았으며 2007년 매월 노동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MSE를 최소화 하여 얻어진 여러 추정량과 우수성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노동통계를 위 한 소지역 추정의 실제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노동통계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 매월노동통계조사, 노동력수요동향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mple Design for the Labor Statistics - Monthly Labor Statistics Survey and Labor Demand Survey -)

  • 이기재;전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10권2호
    • /
    • pp.215-226
    • /
    • 1997
  • 노동통계조사(매월노동통계조사, 노동력수요동향조사)는 사업체를 조사대상으로 임금, 근로시간, 근로자수 등을 조사하여 이들의 현황과 변동추이의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높은 전국의 노동통계 산출을 위하여 산업대분류와 사업체 규모를 층화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각 산업대분류내의 각 사업체 규모에서 평균임금과 상용근로자수를 정도 높게 추정할 수 있는 표본설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 노동통계 작성을 위해 각 시,도를 부차모집단으로 간주하여 산업대분류별, 사업체규모별로 노동통계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