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al question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4초

개선된 무관질문모형 (Improved Unrelated Question Model)

  • 이기성;홍기학
    • 응용통계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5-421
    • /
    • 1998
  • Mangat(1994)는 Mangat-Singh(1990)이 제안한 2단계 관련질문모형의 사용 절차를 좀 더 단순화시킨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angat(1994)의 개선된 관련질문모형을 무관질문모형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한 무관질문모형이 Mangat의 개선된 관련질문모형과 Greengerg dt al.(1969)의 무관질문모형보다 효율적임을 보였고, 김종호 외(1992) 2인이 제안한 2단계 무관질문모형보다 효율적이 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

검색 기반의 질문생성에서 중복 방지를 위한 유사 응답 검출 (Detection of Similar Answers to Avoid Duplicate Question in Retrieval-based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 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호
    • /
    • pp.27-36
    • /
    • 2019
  • 본 연구는 검색 기반의 질문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미 답변한 내용을 재질문하지 않도록 사용자의 응답과 유사도가 높은 응답을 질문-데이터베이스에서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유사도가 높게 검출된 응답의 질문은 이미 사용자가 아는 내용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질문 후보군에서 제거한다. 유사 응답 검출에는 두 응답간의 동일 단어, 바꿔쓰기 표현, 문장 내용을 모두 사용하였다. 바꿔쓰기 표현은 통계기반의 기계번역에서 사용하는 구절 테이블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문장 내용은 두 문장을 주의-기반 컨볼루션 신경망으로 압축하여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평가를 위해 구축한 100개의 평가 응답에 질문-응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장 유사한 응답을 추출해서 얻은 결과는 MRR값 71%의 성능을 보였다.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questions using question card)

  • 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49-26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질문 생성을 강화하기 위해 구안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교실 문화 인식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가? 실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수학 교실 문화 인식과 수학 학습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질문 카드를 활용한 질문이 있는 수학 수업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실 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학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수업 전략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 설정과 통계적 제 문제-융합적 관점 (Doing social big data analytics: A reflection on research question, data format, and statistical test-Convergent aspects)

  • 박한우;최경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91-597
    • /
    • 2016
  • 타당한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방법론이 중요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소셜 빅데이터 연구는 최근 들어 새롭게 부각되는 연구이지만 아직 이에 합당한 연구방법이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합당한 연구방법론 개발에 앞서, 연구문제의 설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질문의 기본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시되는 6가지 기본 유형에 따른 데이터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SNS로부터 수집되는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통계적인 제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관련 연구자들이 데이터 유형에 맞는 올바른 연구문제를 수립하고 분석함으로써 타당한 정보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TATISTICAL EVIDENCE METHODOLOGY FOR MODEL ACCEPTANCE BASED ON RECORD VALUES

  • Doostparast M.;Emadi M.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167-177
    • /
    • 2006
  • An important role of statistical analysis in science is interpreting observed data as evidence, that is 'what do the data say?'. Although standard statistical methods (hypothesis testing, estimation, confidence intervals) are routinely used for this purpose, the theory behind those methods contains no defined concept of evidence and no answer to the basic question 'when is it correct to say that a given body of data represent evidence supporting one statistical hypothesis against another?' (Royall, 1997). In this article, we use likelihood ratios to measure evidence provided by record values in favor of a hypothesis and against an alternative. This hypothesis is concerned on mean of an exponential model and prediction of future record values.

Definition Sentences Recognition Based on Definition Centroid

  • 김권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13-818
    • /
    • 2007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recognizing definition sentences. Given a definition question like "Who is the person X?", we are to retrieve the definition sentences which capture descriptive information correspond variously to a person's age, occupation, of some role a person played in an event from the collection of news articles. In order to retrieve as many relevant sentences for the definition question as possible, we adopt a centroid based statistical approach which has been applied in summarization of multiple documents. To improve the precision and recall performance, the weight measure of centroid words is supplemented by using external knowledge resource such as Wikipedia and redundant candidate sentences are removed from candidate definitions. We see some improvements obtained by our approach over the baseline for 20 IT persons who have high document frequency.

하이브리드 방법의 사용자 질의 의도 분류 (A Hybrid Method for classifying User's Asking Points)

  • Harksoo Kim;An, Young Hun;Jungyun Seo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_2호
    • /
    • pp.51-57
    • /
    • 2003
  • 질의응답 시스템이 올바른 답변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고 강건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실용적 실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질의 유형 분류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실의 유형 분류기는 규칙 기반의 방법과 통계 기반의 방법을 접목시킨 하이브리드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동으로 규칙을 작성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고 정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에 대한 실험에서 질의 유형을 분류하는데 80%의 정확률을 얻었다.

대체 확률화응답기법 (An alternativ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 류제복
    • 응용통계연구
    • /
    • 제6권2호
    • /
    • pp.311-318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Warner의 확률응답모형 대신에 강요질문모형을 반복 사용하여 응답자들이 진실되게 응답했는가에 대한 가설점검을 하고 Warner모형을 사용한 경우와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또한 강요질문모형을 사용하여 민감한 특성을 갖는 모집단비율의 추정량을 구하고 Warner모형을 사용하여 얻은 추정량들보다 효율적이 되는 조건을 찾았다.

  • PDF

C*-ALGEBRAIC SCHUR PRODUCT THEOREM, PÓLYA-SZEGŐ-RUDIN QUESTION AND NOVAK'S CONJECTURE

  • Krishna, Krishnanagara Mahesh
    • 대한수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789-804
    • /
    • 2022
  • Striking result of Vybíral [51] says that Schur product of positive matrices is bounded below by the size of the matrix and the row sums of Schur product. Vybíral used this result to prove the Novak's conjecture. In this paper, we define Schur product of matrices over arbitrary C*-algebras and derive the results of Schur and Vybíral. As an application, we state C*-algebraic version of Novak's conjecture and solve it for commutative unital C*-algebras. We formulate Pólya-Szegő-Rudin question for the C*-algebraic Schur product of positive matrices.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그래프 지도의 분석 (Analysis of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이자미;고은성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7-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영역의 그래프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지도와 관련된 성취기준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그리기 지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이해 지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계영역의 지도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그래프 그리기를 지도할 때 학생들에게 그래프 그리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지(그리기 횟수)와 그래프의 기본틀을 제시하는지 여부(틀 제공)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교과서의 질문을 그래프 이해의 지도와 관련된 '자료 읽기', '자료 사이의 관계 찾기', '자료 해석하기', '상황 이해하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은 통계적 사고를 함양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그래프 그리기 지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그래프의 해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료해석하기'와 '상황이해하기'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