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art-up policy plan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스타트업 창업자의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연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Founders' on Startup Succ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rust in the Business Model)

  • 이일범;강민정;김지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61-370
    • /
    • 2022
  • 본 논문은 창업자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 대한 분석을 통하여 스타트업 창업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확인하여 창업생존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내적 요인(자금조달능력, 위험감수성)과 외적요인(창업환경,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성공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금조달능력과 위험감수성, 창업환경과 창업지원정책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부분매개로 창업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 전문역량과 도전정신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완전매개로 창업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창업전문역량, 위험감수성, 창업지원정책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신뢰를 부분매개로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전정신과 창업환경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신뢰를 완전매개로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IPA를 활용한 보육지원서비스에 대한 창업성장 단계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Supporting Services of Business Incubators by the Entrepreneurship Growth Stages Based on the IPA)

  • 이현아;유미;권대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spc호
    • /
    • pp.54-60
    • /
    • 2023
  • The government focuses on promoting start-ups, fostering ventures, and creating an ecosystem of start-ups through the formation of a strong growth environment for small businesse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ways of improving our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across stages of growth through IPA. To this en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o analyz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support at business incubation center. These results present to provide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the need for differences in support services for each phase of start-up growth. As factors that could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start-up were identified in each phase of the start-up growth, important information needed for policy and strategy was provided. As a practical suggestion, the managers and expert groups are presented with sections to be opened for each start-up growth stage, minimum effort input, and areas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A systematic support plan is established and a foundation is provided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fficient start-up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

창업가 기업가정신 요인, 경영 관리적 요인, 자본적 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용서비스업 분야 소상공인지원정책의 개선방향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Business Management Factors, and Capital Factor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the Center of Ameliorating Small Businesses Supporting Policy by Government in Beauty Service Industry)

  • 곽진만;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9-133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가 개인적 특성 요인, 경영 관리적 요인, 자본적 요인, 점포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미용서비스업 분야의 소상공인지원정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용서비스업체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영 관리적 요인의 하위변수인 인적자원관리와 창업초기 자본적 요인 그리고 점포요인이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서비스업체의 창업성과에 정부지원정책인 자금지원정책, 교육지원정책, 컨설팅지원정책이 조절효과가 있는가에 관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부자금지원정책, 교육지원정책, 컨설팅지원정책은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관리, 창업초기 자본금, 점포요인에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자금지원이 정책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아니라 창업자의 창업성과를 만들어가는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로 하며, 교육지원정책과 컨설팅지원정책은 미용서비스업체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인 반영과 현실적인 교육지원과 컨설팅지원이 필요로 하다고 본다. 특히, 기존의 소상공인의 정책적 지원과는 다른 미용서비스업체의 실질적인 경영활동과 성과창출 과정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창업동기, 창업역량 및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초기기업의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Effects of Startup Motivation, Startup Competence, and Startup Support Policy on Startup Satisfaction in Early Startup Companies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강영철;하규수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1-21
    • /
    • 2022
  • 사회·국가적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신생 기업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만족도를 재고하여 생존율을 높일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창업기업의 창업 동기, 창업역량,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업동기는 세부적으로 경제적 동기와 자아실현 동기로 구분하였다. 창업역량은 세부적으로 경험역량과 마케팅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창업지원 정책은 세부적으로 창업자금지원과 창업컨설팅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온오프라인으로 창업 7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의 경영자 250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은 창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창업컨설팅 지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경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는 경제적 동기, 자아실현 동기, 경험역량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마케팅역량, 창업자금지원, 창업컨설팅 지원은 조절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실현 동기와 경험역량이 창업 만족도 제고에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기 창업가의 자아실현과 경험역량을 극대화할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창업컨설팅 지원 제도의 실효성 제고 노력 등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내 우주기술 기반 벤처창업 사례 및 지원정책 연구 (A Study on Cases and Policy for the Venture Business Based on Space Technology)

  • 김일태;천용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50
    • /
    • 2015
  •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aning) established the 'spa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lan' at 2012. According to this plan, MSIP and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re nuturing space-related venture companies so that those companies are increasing from 2013. In addition, MSIP and KARI held space-related idea festivals last two years, and will run start-up program (STAR-Exploration) this year.

벤처·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의 효과성 분석 (A study on the policy about regulation improvement for vitalization of technology based startup)

  • 심용호;길운규;김서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21-130
    • /
    • 2015
  • 국내에서는 일자리 창출 및 경기 회복을 위해 ICT 기술을 활용한 벤처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규제개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규제개선 정책시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책 수혜자의 의견이 정책 내용에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의 수혜자인 창업자 중에서도 파급효과가 높은 ICT분야의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CEO를 대상으로 정부에서 발표한 [벤처 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 내용의 중요도를 AHP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2015년 3월 현재 규제개선 내용의 시행여부를 분석하여 이를 앞서 분석한 중요도와 결합하여 정책 시행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5가지 규제개선 내용이 1)효과기대 2) 제도시행의 시급성 필요 3) 미비시항 재정비 4) 검토 후 시행 후보군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정성적인 규제개선 정책의 내용의 중요도를 정량적이고 학술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고, 향후 벤처 창업 활성화 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소상공인 창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Plan for Revitalizing Start-up Performance of Micro-enterprise - Focused on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 이시우;이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중 일반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과 기술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간의 차별점과 특성을 살펴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들의 무분별한 창업을 방지하며 신아이디어를 갖춘 업종으로의 창업기회를 제공하는 기반연구에 있다. 지금까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기술이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기업들에게 지원이 편중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소상공인들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측면에서 소상공인 창업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창업 활성화 필요성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시행되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먼저 살펴본 후, 정부중앙부처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비교함으로써 창업활성화 아카데미의 미래 방향과 신사업창업사관학교만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통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소상공인 창업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프로그램의 향후 기준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농촌지역 유휴공간 인식 분석 - 청년창업 공간으로써 폐교 활용성을 중심으로 - (Analyzing Perceptions of Unused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Big Data Techniques -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s a Youth Start-up Space -)

  • 도지윤;김수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56-5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농촌소멸 대응을 위해 농촌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유휴시설', '폐교' 주제어를 통해 농촌지역 유휴시설에 관한 인식을 파악함과 동시에 '창업', '청년창업', '청년창업+농촌' 키워드를 토대로 유휴시설의 청년인구 유입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빈도분석 및 주요 키워드 분석, 연결망분석, 감성분석과 국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정책 방향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 첫째, 유휴시설 및 폐교는 지역재생을 위한 요소로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지역 청년창업의 경우 농업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거주를 위한 문제가 함께 해결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청년계층의 경우 디지털을 활용한 창업에 적극적임으로 농업을 대상으로한 디지털 활용 구축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우수사례를 통해 청년 유입 및 지역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연계되어 창업뿐만 아니라 문화와 교육 등 다양한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휴시설 활용 및 지역재생을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청년인구 유입을 위한 창업인식을 검토함으로써 농촌지역의 청년창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하여 추가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면 현실에 맞는 정책 목표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창업 붐 확산을 위한 창업지원정책 방안 연구 (A Study on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y measures for Start-up boom spread)

  • 김용태;김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01-209
    • /
    • 2019
  • 최근 정부 및 공공, 민간 분야의 다양한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대다수의 예비 창업자 및 초기 창업자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발전되고 사업화 가능성이 제고되는 있는 반면에 일부 우수 참가자들의 사업 아이디어가 소멸되는 문제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창업경진대회 운영자와 주요 참가자 등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창업경진대회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적이고 실무적인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경진대회 운영에서는 이벤트 성격의 탈피, 대회 진행시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공개 지양, 투입 시간을 고려한 수상금액 책정, 형식적 절차의 축소, 운영자들의 권위적인 태도 지양, 서류양식의 간소화, 발표자료 활용방식 개선, 경진대회의 목적과 모집대상의 정확한 명시 등이 요구된다. 둘째 전문성을 갖춘 심사위원 및 멘토진의 보완이 필요하겠다.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심사위원 멘토 구성, 심사위원 구성 시 지역별 배분, 창업경험 보유 심사위원 위촉, 심사위원에 대한 사후 평가시스템 도입이 필요하겠다. 셋째, 제조업 등에 치중될 것이 아니라 산업분야별로 특성화된 경진대회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영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실증적인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 Study on Policies of Chinese Overseas Talents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Distribution Industry

  • KIM, Byoung-Goo;KIM, Ick-So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1호
    • /
    • pp.79-9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ies on and changes of elite training through overseas study and their impact on China's national development when entrepreneurs return home. In particular, it analyzed returnee entrepreneu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largely analyzed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of attracting foreign talent and the results of the policy.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the Chinese Statistical Yearbook and various literature. This study also used case analysis methods for start-ups by haigui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ines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attract talent. Representatively, the government actively attracts talent through the Hundred Talents Plan, Thousand Talents Plan, Chunhui Program and Chizi Program. In addition, the Changjiang Scholars Program is attracting foreign talent. As a result, many talented people are leading development of the Chinese economy. Conclusions: The Chinese government is actively pursuing policies to attract talents from overseas. In addition, it has established a system in which government minis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can work closely together to secure effectiveness in attracting overseas talents. Through this, overseas talent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new start-up activities including the distribut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