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fermentation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Sources and Levels of Carbohydrat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Hydrogenation of Linoleic Acid by Rumen Bacteria In Vitro

  • Wang, J.H.;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48-53
    • /
    • 2001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urces and the addition levels of carbohydrat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bacterial growth, and hydrogenation of linoleic acid ($C_{18:2}$) by mixed ruminal bacteria. Starch and cellobiose were added to the 200 ml non-selective basal media at the levels of 0.20 and 0.35% (w/v), respectively. Linoleic acid (66.8~79.6 mg) in the absorbed form into the pieces of nylon cloth was also added to the media of 5 treatments including control which was not added with carbohydrate. Three mls of rumen fluid strained through 12 layers of cheese cloth were added to each medium, and were incubated anaerobically in the shaking incubator of $39^{\circ}C$ for 24 hours. During 24 h incubation the pH in incubation media of all treatments was maintained above 6.6 by the addition of sodium bicarbonate. The pH and ammonia concentration of incubation media were not clearly influenced by the sources and addition levels of carbohydrates while additions of carbohydrates increased (p<0.0001) VFA concentration at the 24 h incubation. Molar proportions of acetate were reduced (p<0.0004) while those of propionate were increased (p<0.0006) by the addition of carbohydrates. But th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nd molar proportions of the VFA were small between the sources or the addition levels. Bacterial growth was faster (p<0.0004) in the starch added treatments than in the cellobiose added ones and control,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ddition levels. Increased (p<0.0487) hydrogenation was observed from the starch added treatments compared to the cellobiose added on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ddition levels.

DIGESTION OF STARCH AND NITROGEN IN DIFFERENT PART OF THE ALIMENTARY CANAL OF DEFAUNATED MURRAH BUFFALO (Bubalu bubalis) CALVES

  • Chaudhary, L.C.;Srivastava,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6호
    • /
    • pp.667-670
    • /
    • 1996
  • Four Murrah male buffalo calve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188{\pm}1.6kg$ each fitted with rumen and abomasal cannula were subjected to defaunation followed by refaunation. The animals were offered wheat straw and a concentrate mix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dry matter, starch and nitrogen intake in defaunated and refaunated buffalo calves. Production of ruminal total volatile fatty acid and acetate : propionate ratio decreased (p < 0.01) whereas,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increased (25.8 Vs 19.4% p < 0.01) in defaunated animals. Fermentation of starch in rumen increased (73.9 Vs 65.8%, p < 0.01) but in small intestine decreased (20.2 Vs. 28.2%, p < 0.05) in defaunated calves. The flow of non ammonia nitrogen (NAN) to abomasum (75.1 vs 68.6 g/d, p < 0.01) and its digestion in small intestine (37,6 vs 32.5 g/d, p < 0.01) was improved due to defaunation.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starch and nitrogen was found in defaunated and refaunated buffalo calves.

칡전분 현탁액의 리올로지적 성질 (Rheological Properties of Arrowroot Statch Suspension)

  • 김관;윤한교;김성곤;이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117
    • /
    • 1986
  • 칡 전분현탄액$(2{\sim}6%)$의 리올로지 특성을 $30^{\circ}{\sim}65^{\circ}C$의 온도 범위에서 모세관 점도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4%농도의 경우 $65^{\circ}C$에서 의가소성 유체의 거동을보였다. 점조도지수 값은 전분 농도의 중가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온도 $30^{\circ}{\sim}60^{\circ}C$ 의 경우 전분현탄액의 유동의 활성화에너지는 $0.307{\sim}0.399kcal/mole$이었으나, $60^{\circ}{\sim}65^{\circ}C$의 경우에는 약 $28{\sim}60kcal/mole$이었다.

  • PDF

가열 및 알칼리 호화에 의한 쌀 전분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es Gelatinized with Thermal or Alkali Solutions)

  • 박양균;김성곤;이신영;김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1
    • /
    • 1991
  • 동진벼(일반계)와 삼강벼(다수계) 전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열 및 알칼리 호화액에 대한 리올로지 특성을 회전점도계로 비교 검토하였다. 가열 호화액의 리올로지 특성값은 품종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동진벼 전분이 6.73 및 삼강벼 전분이 6.35 Kcal/mol 이었다. 알칼리 호화액의 리올로지 특성값은 뚜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삼강벼 전분의 항복응력 및 점조도지수 값이 동진벼 전분보다 컸다. 가열 호화액은 알칼리 호화액보다 의가소성, 항복응력 및 점조도지수 값이 큰 결과를 보였다.

  • PDF

Dietary manipulation: a sustainable way to mitigate methane emissions from ruminants

  • Haque, Md Najmu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6호
    • /
    • pp.15.1-15.10
    • /
    • 2018
  • Methane emission from the enteric fermentation of ruminant livestock is a main source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and a major concern for global warming. Methane emission is also associated with dietary energy lose; hence, reduce feed efficiency. Due to the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methane mitigation has come forward in last few decades. To date numerous efforts were made in order to reduce methane emission from ruminants. No table mitigation approaches are rumen manipulation, alteration of rumen fermentation, modification of rumen microbial biodiversity by different means and rarely by animal manipulations. However, a comprehensive exploration for a sustainable methane mitigation approach is still lacking. Dietary modification is directly linked to changes in the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types of end products. Studies showed that changing fermentation patter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of methane abatement. Desirable dietary changes provide two fold benefits i.e. improve production and reduce GHG emiss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biology of methane emission from ruminants and its mitigation through dietary manipulation.

전분흡착에 의한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회수 (Recovery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by Adsorption to Starch)

  • 김진현;홍승서;이현수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28-132
    • /
    • 2001
  •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균체를 제거한 후에 전분파의 흡착성 을 증가시켜주기 위하여 ammonium sulface 25% (w/v), 반응 2시간 정도면 95% 이상의 효소가 전분(힐반전분 1%, wfv)에 홉착됨올 일 수 있었다. 효소 흡착인 경우 일반전분(옥수수 전분)이 흡착율 95% 이상으로 가장 효과적이며 탈착의 경우 (탈착용액 : 증류수)에는 산화천분이 1 회 68%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효소의 홉착 및 탈착에 사용되는 전분익 농도 는 효소 역가 205 U/mL 기준으로 1 % (v/v) 정도면 효소의 흡착 및 탈착에 적당하였다. 효소 흡착외 경우 $4^{circ}C$, 정도에서, 탈착의 경우 온도 $50^{circ}C$, 와 pH 8.0에서 효과적이었다 탈착 용액으로 Iris-buffer가 탈착율 98%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발효배양액으토부터 균체외 제거단계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분의 흡착율과 탈착율은 유사하였다.

  • PDF

생전분 분해효소를 이용한 옥수수 알콜발효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of Corn Using Raw Starch Enzyme)

  • 정용진;김경은;신진숙;조혜심;이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9-18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의 무증자 알콜발효조건을 설정하고자 반응표면분석으로 알콜 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 무증자 발효에 가장 적합한 효모는 S. cerevisiae GRJ이었으며, alcohol content, brix, pH 및 총산에 대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R2는 각각 0.8852, 0.9202, 0.8806 및 0.9940이였다. 최적 알콜발효 조건은 효소제 함량 0.18%, 가수량 180%(v/w)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알콜발효조건에서의 예측값은 실제 값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 실증이 검증되었다.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를 달리한 약주의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 권영희;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6-52
    • /
    • 2010
  • 한국의 전통 알코올 음료인 약주를 찹쌀가루, 찹쌀 전분 그리고 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의 차이에 따른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모는 Y90-9를 사용하였고 발효제로는 시판되는 개량누룩(SP1800)을 사용하였으며 덧술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저온에서 발효하였다. 발효기간 중 pH와 당도는 찹쌀가루를 이용한 약주가 찹쌀전분을 이용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약주가 높게 나타났고 발효초기 0.3 이상이었던 산도는 발효 종료 후 전처리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찹쌀가루 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찹쌀가루를 사용한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고 자외부 흡수와 착색도 또한 찹쌀 가루를 사용한 약주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3.5-3.9 mg/mL의 수준이였다. 술에서 맛과 산성도 조정 역할을 하는 유리당의 조성은 glucose > maltose > fructose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검출된 6개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검출된 21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 중 alcohol은 3 종, ester는 17종, 그리고 aldehyde는 1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부드러운 향을 나타내는 ethyl palmitate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호화한 찹쌀가루와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알코올의 수율이 높고 풍부한 향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Multicarbohydrase Enzymes for Non-ruminants

  • Masey O'Neill, H.V.;Smith, J.A.;Bedford,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290-301
    • /
    • 2014
  • The first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outline some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fibre-degrading enzymes in non-ruminants. Secondly, the well-known and understood mechanisms are described, i) eliminating the nutrient encapsulating effect of the cell wall and ii) ameliorating viscosity problems associated with certain Non Starch Polysaccharides, particularly arabinoxylans and ${\beta}$-glucans. A third, indirect mechanism is then discussed: the activity of such enzymes in producing prebiotic oligosaccharides and promoting beneficial cecal fermentation. The literature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on various non starch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 (NSPase) preparations and this review aims to conclude by discussing this body of work, with reference to the above mechanisms. It is suggested that the way in which multi- versus single-component products are compared is often flawed and that some continuity should be employed in methods and terminology.

고효율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공정 탐색 및 동시당화발효 공정 연구 (Study on Optimizing, Pretreatment &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Process for High-efficiency Bioethanol)

  • 최기욱;한민희;김율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76-280
    • /
    • 2008
  • 동시당화발효 공정을 이용한 국내산 원료의 바이오 에탄올 생산성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바이오 에탄올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 에탄올 생산의 전처리 공정인 호화, 액화 공정의 최적조건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원료별 에탄올 생산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각 원료별로 모두 다른 최적의 전처리 조건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원료에 따른 전분 입자의 구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에탄올 생산성에 있어서도 원료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옥수수의 경우 에탄올 전환 수율이 90.45%로 가장 높았고 발효속도 면에서는 절간고구마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원료에서 전분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량은 많았지만 발효 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원료에 포함된 다른 조효소나 보조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고효율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 원료에 따른 특성 파악이 중요하며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