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granul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1초

찰흑미 전분의 호화 특성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Waxy Black Rice Starch)

  • 최경철;나환식;오금순;김성곤;김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92
    • /
    • 2005
  • 찰흑미(상해항혈나) 전분의 호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신선찰벼 전분을 대조구로 SEM, X-ray 회절도, 시차주사열량계와 신속점도계를 이용하여 호화특성을 비교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형태의 변화에서는 6$0^{\circ}C$에서 찰흑미 전분에 비해 신선찰벼 전분의 입자 붕괴가 더 심하였으며, 시 차주사열량계에 의한 관찰에서는 신선찰벼와 찰흑미 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2.$0^{\circ}C$와 63.$0^{\circ}C$, 피크온도는 69.$0^{\circ}C$, 69.4$^{\circ}C$, 호화절정온도는 78.7$^{\circ}C$, 78.9$^{\circ}C$, 호화엔탈피는 각각 8.55 J/g, 8.87 J/g로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 전분의 X-선 회절양상은 두 시료 모두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가열온도에 따른 양상에 있어서 6$0^{\circ}C$$65^{\circ}C$에서 신선찰벼 전분에 비해 찰흑미 전분의 결정형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었으나 $65^{\circ}C$를 경계로 결정형 영역은 완전히 사라졌다. 신속점도계를 이용한 호화특성에서는 최고점도, breakdown, 최종점도, setback은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탈지한 멥쌀과 찹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fatted Nonwaxy and Waxy Rice Starches)

  • 김수경;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7-352
    • /
    • 1992
  • 멥쌀전분인 동진벼와 찹쌀전분인 신선찰벼를 85% 메탄올로 탈지시켜 생전분과 탈지전분과의 이화학적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쌀전분의 입자모양은 다각형이고 X-ray 회절도로부터 얻은 결정형은 A형 이었으며 탈지 후 결정강도는 약간 감소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탈지시키면 약간 증가하였으며 물결합능력은 감소하였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고 탈지 처리 후 각 온도에서 더 높은 팽윤력과 용해도를 보였다. 광투과도에 의한 호화개시 온도는 동진벼전분은 $60{\sim}65^{\circ}C$, 신선찰벼전분은 $55{\sim}60^{\circ}C$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온도는 동진벼와 신선찰벼전분이 각각 $66^{\circ}C$, $64^{\circ}C$ 였는데 탈지시키면 호화온도는 감소하였고 동진벼전분의 경우 최고점도, breakdown이 탈지시 감소했으나 신선찰벼전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찰 전분의 노화특성에 관한 연구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Waxy Starches)

  • 김형수;이미숙;우자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94-800
    • /
    • 1988
  • 재래 찰벼 신선찰벼와 다수계 찰벼. 통일찰벼 및 찰보리(수원 227호), 찰수수, 차조, 율무등의 전분을 분리하여 노화 특성에 관하여 글루코아밀라아제에 의한 노화도 측정법, X-선 회절법, ${\beta}-amylolysis$등으로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6종의 찰 전분을 $0{\sim}5^{\circ}C$에서 20일, 30일 저장했을 때와 냉동, 해동 반복을 20회, 30회 했을 때 노화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두번째, 노화가 잘되는 순서는 찰수수 > 찰보리 > 차조 > 율무 > 통일찰벼 > 신선찰벼의 순이었으며 찰수수와 찰보리는 다른 전분에 비하여 노화가 잘 되었다. 세번째, 노화를 촉진하는 인자로서 냉동, 해동 30회 반복은 $0{\sim}5^{\circ}C$ 냉장 30일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단 하나의 장려 품종인 찰보리(수원 227호)는 보리 한알속에 메 전분 입자가 약15% 혼입되어 있으며 앞으로 찰보리 육종에 참고로 하였으면 한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Isolated from New Potato Cultivars in Korea

  • Lee, Hae-Chang;Kim, Yoon-Sook;Choi, In-Wook;Park, Yong-Kon;Lim, Hak-Tae;Ji, Joong-Ryong;Choi, Hee-D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55-860
    • /
    • 2009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isolated from 3 new potato cultivars developed by Potato Valley Lt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starch isolated from 'Superior' being distributed prominently in Kore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granule size, amylose content, phosphorus content, water binding capacity, swelling power, solubility,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starches from different potato cultivars. Thermal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onset gelatinization temperatire ($T_o$), peak temperature ($T_p$), and enthalpies of gelatinization (${\triangle}H$) of different potato cultivars ranged as $58.0{\pm}0.3-61.7{\pm}0.4^{\circ}C,\;63.7{\pm}0.2-$ $66.5{\pm}0.0^{\circ}C$, and $15.6{\pm}0.5-17.0{\pm}0.3$ J/g, respectively. Past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RVA), and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and final viscosity of different potato cultivars ranged as $65.0{\pm}0.1-68.9{\pm}0.1^{\circ}C$, $8,163.7{\pm}196.3-9,035.7{\pm}6.4$ cp, and $4,397.7{\pm}166.7-7,025.0{\pm}271.3$ cp, respectively. Especially, 'Gogu valley' starch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amylose and phosphorus content among tested potato cultivars and higher water binding capacity,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than those of other tested starches. And it also showed high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trough viscosity, and final viscosity as compared to other tested starches.

흰찰쌀보리 가루를 이용한 제빵특성 연구 1. 흰찰쌀보리-밀가루 혼합분 박죽의 물성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Waxy Barley-Wheat Flour 1.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Made with Waxy Barley-Wheat Flour Mixture)

  • 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34-1043
    • /
    • 1999
  •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made from waxy barley(Iri28) flour wheat flour mixtures with addi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paration of waxy barley bread using farinograph, extensograph and amy lograph. The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and dough weakness increased as the waxy barley flour level increased in all blends; however, dough stability decreased. Farinogram properties of 1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100% wheat flour. The addition of A.A(ascorbic acid), gluten, HPMC(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In particular, stability and weakness of the dough showed greater dough improving effect by addition of A.A. For the extensograph data, strength, resistance and extensibility of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waxy barley flour. With the addition of additives, extensogram properties were variable for 30% waxy barley flour mixture. Of these additives, gluten had highest value in strength of dough. Addition of A.A and HPMC to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resistance and a decrease in the extensibility.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s showed little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on amylograph data than control. Maximum viscosity reduced as the waxy barley flour level increased. Also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containing A.A and HPMC showed a decrease in maximum viscosity. But addition of gluten to 30% waxy barley flour mixture resulted an increase in the maximum viscosity. All of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with additives had low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than those without additives. In the SEM images, starch granules were dispersed in a protein matrix. A non continuous, loose protein starch matrix was observed in all waxy barley flour mixture by SEM. Addition of additives gave the dough a more continuous structure with interactions between the starch granule and protein component.

  • PDF

향미찹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Flavored Glutinous Rice Varieties)

  • 최영희;김광호;강미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65-769
    • /
    • 2001
  • 향미찰벼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요드정색반응,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그리고 산가수분해도, glucoamylase와 $\alpha$-amylase 가수분해도를 측정하였다. 향미찰벼의 전분입자는 다각형구조이며 직경 4~6$\mu\textrm{m}$였다. 호화특성으로서 호화개시온도는 59.8~62.5$^{\circ}C$였으며 향미찰벼 중 KR92021-B-B-42-3-B와 KR92021-B-B-165-1-B의 호화엔탈피값은 대체로 높았다. 향미찰벼 전분의 아밀로펙틴의 무정형 분획을 품종간 비교하기 위하여 15% H$_2$SO$_4$에 의한 산가수분해도를 측정한 결과 KR92021-B-B-5-2-B와 KR92021-B-B-42-3-B는 산가수분해도가 낮아 아밀로펙틴의 cluster 구조가 다른 품종에 비해 질서있게 나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미찰벼 중 KR92021-B-B-5-2-B는 glucoamylase와 $\alpha$-amylase에 의한 전분가수분해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 PDF

올방개 괴경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in Water Chestnut (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상국;신종희;김수용;김학윤;박신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4-210
    • /
    • 2012
  • 본 연구는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 괴경의 전분에 관한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올방개 괴경 분말의 호화 점도 특성은 최고점도 5,679, 강하점도 426이었고, 괴경 전분의 호화 개시온도는 $64.1^{\circ}C$로 낮았으며 최종온도는 $72.3^{\circ}C$이었다. 전분입자의 X-ray 회절각은 $15.18^{\circ}$, $17.13^{\circ}$, $23.1^{\circ}$에서 강한 피크를 보였으며, $18.1^{\circ}$, $20.06^{\circ}$, $26.69^{\circ}$에서 약한 피크를 보였다. 올방개 괴경 전분의 결정화율은 28.6%이고 괴경 전분 입자의 모양은 둥글면서 부분적으로 눌린형태였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21.5{\mu}m$이었다.

한국산(韓國産)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Sweet Potatoes of Korea Cultivars)

  • 신말식;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1983
  • 한국산 고구마의 두 품종, 수원 147 호와 천미의 전분을 분리하여 전분입자의 성상과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검토하였다. 광학현미경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로 관찰한 고구마 전분은 둥근형과 다각형이었으며, 그 크기는 수원 147 호가 $14{\sim}30{\mu}m$, 천미가 $16{\sim}34{\mu}m$이었다. X-선회절도는 $2{\theta}$가 14.8, 17.2, 22.5에서 약한 결정성을 보이므로 실험한 고구마 전분은 Ca결정형으로 생각된다. Blue value는 수원 147호가 0.342, 천미가 0.279, 아밀로즈 함량은 27.6%, 23.6%, 물결합 능력은 178.7%, 185.5%이었다. 전분의 팽화력은 $50^{\circ}C$까지는 변화가없다가 그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수원 147호가 천미보다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전분 현탁액(0.2%)의 광투과도는 두 전분 모두 $65^{\circ}C$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65{\sim}80^{\circ}C$까지 single stage의 호화 양상을 보였다. 아밀로 그라프에 의한 4% 전분 용액의 호화는 모두 최고 점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92.5^{\circ}C$에서 수원 147호의 점도는 증가하였으나 천미 전분의 점도는 감소하였다.

  • PDF

Global Transcriptome-Wide Association Studies (TWAS) Reveal a Gene Regulation Network of Eating and Cooking Quality Traits in Rice

  • Weiguo Zhao;Qiang He;Kyu-Won Kim;Feifei Xu;Thant Zin Maung;Aueangporn Somsri;Min-Young Yoon;Sang-Beom Lee;Seung-Hyun Kim;Joohyun Lee;Soon-Wook Kwon;Gang-Seob Lee;Bhagwat Nawade;Sang-Ho Chu;Wondo Lee;Yoo-Hyun Cho;Chang-Yong Lee;Ill-Min Chung;Jong-Seong Jeon;Yong-Jin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7-207
    • /
    • 2022
  • Eating and cooking quality (ECQ) is one of the most complex quantitative traits in rice. The understanding of genetic regulation of transcript expression levels attributing to phenotypic variation in ECQ traits is limited. We integrated whole-genome resequencing, transcriptome, and phenotypic variation data from 84 Japonica accessions to build a transcriptome-wide association study (TWAS) based regulatory network. All ECQ traits showed a large phenotypic variation and significant phenotypic correlations among the traits. TWAS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285 transcript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x ECQ traits. Genome-wide mapping of ECQ-associated transcripts revealed 66,905 quantitative expression traits (eQTLs), including 21,747 local eQTLs, and 45,158 trans-eQTLs,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43 genes. The starch synthesis-related genes (SSRGs), starch synthase IV-1 (SSIV-1), starch branching enzyme 1 (SBE1), granule-bound starch synthase 2 (GBSS2), and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small subunit 2a (OsAGPS2a) were found to have eQTLs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ECQ associated transcripts. Further, in co-expression analysis, 130 genes produced at least one network with 22 master regulators. In addition, we developed CRISPR/Cas9-edited glbl mutant lines that confirmed the role of alpha-globulin (glbl) in starch synthesis to validate the co-expression analysis. This study provided novel insights into the genetic regulation of ECQ traits, and transcripts associated with these traits were discovered that could be used in further rice breeding.

  • PDF

발효 전후 쌀뜨물의 일반성분 변화 (Proximate Compositions Changed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of Rice Spent Water)

  • 김민주;박성수;김동호;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2-197
    • /
    • 2011
  • 생활하수의 주요 오염원으로 알려져 있는 쌀뜨물은 여러 가지 유익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방면으로 재활용 될 수 있는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활용도가 낮아 자원으로서 낭비가 되고 있다. 이러한 쌀뜨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쌀뜨물 발효액이 이미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쌀뜨물의 발효 전, 후의 성분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쌀뜨물과 쌀뜨물 발효액의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일반성분 내 탄수화물 및 단백질 유래 생리활성 성분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에 쌀뜨물 발효액을 이용하여 쌀음료, 쌀비누, 쌀화장품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성분 함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쌀뜨물과 쌀뜨물 발효액은 99.3%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고형 성분을 0.7% 정도 함유하고 있었다. 이는 쌀을 씻는 과정에서 쌀의 영양성분중 일부가 쌀뜨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쌀뜨물 발효액의 경우 발효전의 쌀뜨물과 비교하여 탄수화물 함량은 44.8% 감소하고,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각각 36.6%, 16.4%, 그리고 18.8% 증가하였다. 실제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starch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쌀가루와 쌀뜨물 검체 내에서는 손상되지 않은 starch granule의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었지만 발효과정을 거친 쌀뜨물 발효액 검체 내에서는 starch가 가수분해 되어 starch granule의 형태를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D-형 및 L-형 lactic acid는 쌀가루와 발효전의 쌀뜨물 검체 내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발효과정을 거친 쌀뜨물 발효액 검체 내에서는 D-lactic acid가 212.13 g/kg, 그리고 L-lactic acid가 181.25 g/kg이 각각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쌀뜨물 내의 탄수화물 성분이 발효되면서 D-형 및 L-형 lactic acid로 전환된 것으로 사료된다. 암모니아태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발효과정을 거친 쌀뜨물 발효액 검체가 발효전 쌀뜨물 겸체 보다 각각 7배, 12배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쌀뜨물 내의 단백질 유래 성분이 발효과정 중 protease 등에 의하여 가수분해가 되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