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dough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6초

라면 면대의 균일한 두께를 위한 압연공정 자동화 (Rolling Process Automation For Uniform Thickness of Dough Sheet of Ramen Noddles)

  • 유동상;유병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97-103
    • /
    • 2012
  • The basic processing unit for instant ramen noodles includes mixing, rolling, boiling, frying, cooling, and packing processes. For uniform thickness of dough sheets in rolling process, the roll-gap in rolling process needs to keep uniform thickness of flour sheets in spite of different kinds of raw material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roll gap adjustment system using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with a touch panel and an AC servo-mechanism to make dough sheets with a good gluten starch-network structure and uniform thickness and to contribute to process standardization by transferring from tacit knowledge of skilled workers to explicit knowledge. The developed system can adjust the roll gap in units of 0.01mm and correspond to various product items which have different thickness specification by recalling the presetting values of the desired thickness from database.

RS-3형태의 저항전분 첨가가 제빵 및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S-3 type resistant starches on breadmaking and quality of white pan bread)

  • 송지영;이신경;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8-194
    • /
    • 2000
  • 고아밀로오스와 보통 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으로 가열-냉각과정을 거쳐 RS-3 형태의 저항전분을 제조하고 RS함량이 5%가 되도록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빵특성과 품질을 밀가루 반죽특성과 제빵특성, 빵의 텍스쳐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Farinograph로 측정한 반죽특성은 RS첨가시 수분흡수력과 반죽형성시간은 증가하고 안정성은 감소하였다. 생전분이나 AVII-RS첨가시 빵의 총부피와 비용적은 무첨가빵보다 향상되었으나 NMS-RS 첨가시 감소하였다. 빵을 저장했을 때, 무첨가 빵은 저장시간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였으나 RS를 첨가한 빵은 수분함량이 유지되었고, 빵의 견고성은 저장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RS를 첨가한 빵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무첨가 식빵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

미성숙 찰쌀보리가루를 첨가한 식빵반죽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added with Immature Chalssalbori Flour)

  • 김예슬;박주연;이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5-39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the chemical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added with 10, 20 and 30% immature chalssalbori flour; furth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during yeast fermentation were assessed. As the addition rate of chalssalbori flour into wheat flour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and viscosity were all increased. Moreover, the bread dough with an increased addition rate of chalssalbori flour demonstrated an increased pH, reduced fermentative expansion power and a darker yellowish color. The bread dough added with chalssalbori flour after mixing showed higher hard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but lower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these texture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during ferment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mixed flour with 10% immature chalssalbori flour conveyed similar pasting characteristics to those of wheat flour; moreover, its bread dough showed higher springiness and fermentative expansion power. Furthermore, a delay effect of starch retrogradation can be expected compared to the control.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과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5020로 배양한 유청발효물이 반죽의 레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y Brew Cultured by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 and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5020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 윤미숙;채수규;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9-156
    • /
    • 2009
  • Lactobacillus helveticus ATCC 55163과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5020로 유청배지를 혼합 배양하여 얻은 유청발효물을 밀가루 대비 10%, 1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로 farinograph, alveograph, Rapid Visco Analyzer, 반죽의 발효팽창력등을 측정하였다. Farinograph에서 유청발효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흡수율, 반죽발전시간, 안정도 약화도 등이 증가하였다. Alveograph에서 P와 W값은 유청발효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L과 G값은 감소하였다. Rapid Visco Analyzer에서 초기호화온도와 최고점도는 유청발효물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최종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다. Set back의 감소로 전분의 노화가 지연됨을 나타냈다. 반죽의 발효팽창력은 유청발효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 PDF

변성 전분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Modified Starch)

  • 김효숙;이승주;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74-483
    • /
    • 2015
  • 밀가루에 3종의 변성 전분(초산 감자 전분, 알파화 찰옥수수 전분, 히드록시프로필화 타피오카 전분)의 첨가량(3, 6, 9, 12, 15%)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이의 텍스쳐 특성과 기호도를 분석하였다. 첨가한 변성 전분 종류별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알파화 찰옥수수 전분은 3% 이상 6% 이하 사용 시, 초산 감자 전분의 경우 사용량 6%까지, 히드록시프로필화 타피오카 전분은 9%까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밀가루에 변성 전분을 첨가할 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식빵의 firmness가 낮아지며, 변성 전분 종류 별로 일정 사용량의 범위에서 기호도가 상승되었다. 최근 식빵 텍스쳐에 대한 기호도가 기존의 일반 식빵보다 찰지고 보습성이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어 밀가루에 변성 전분을 첨가하여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텍스쳐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변성 전분 첨가 식빵이 대조군에 비해 firmness가 낮아짐으로서 변성 전분의 첨가가 식빵의 노화 지연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성 전분 첨가 시에 식빵의 텍스쳐는 향상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지는 특성이 수반됨을 알 수 있었으나, 이들 전분류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빵에 적정량을 첨가할 경우 다양한 텍스쳐의 빵 제품들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ylase와 유화제의 첨가가 빵 반죽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ylase and Emulsifier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Dough)

  • 박범준;황성연;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63-76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곰팡이과 세균에서 유래된 ${\alpha}-amylase$와 유화제인 monogrlyceride(MG), sodium stearoyl-2-laclylate(SSL) 및 diacetyltartaric acid ester of monol and diglycerides(DATEM)을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제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인 falling number, farinogram, alvogram 및 RVA를 이용한 호화특성을 살펴보았다. ${\alpha}-amylase$의 전분분해로 인하여 falling number는 감소하였으나, MG를 혼합한 반죽의 경우 전분과 높은 결합력으로 falling number가 높게 나타났다. Farinogram 특성에서는 곰팡이와 세균에서 유래된 ${\alpha}-amylase$와 유화제가 반죽의 점탄성과 흡수율, 탄력도를 감소시키고, 흡수시간은 증가시켰다. 다만 유화세로 SSL+MG를 사용하였을 때,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탄력도와 흡수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Alveogram 특성에서는 farinogram과 유사하게 $P_{max}$ 값을 감소시켜 탄력도를 감소시켰으며, 신장성, 팽창성 및 탄력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켰다. 반죽의 호화특성에서는 호화개시온도에서는 ${\alpha}-amylase$와 유화제가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alpha}-amylase$의 전분 분해로 인하여 반죽의 점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분지 덱스트린 첨가가 냉동 소프트롤 반죽 및 빵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ched Dextr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Soft Roll Dough and its Bread during Storage)

  • 박진희;임춘선;김일환;김문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7-522
    • /
    • 2011
  • In this study, samples of wheat flour and dough were prepared by adding of 1, 3, or 5% branched dextrin, which is produced from the amylopectin of waxy corn starch using a cyclization reaction with a branching enzyme. The samples were then evaluated qualitatively in terms of farinogram, viscogram, and extensogram characteristics. The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extensogram characteristics, specific volume, baking loss, external/internal surface appearance, and sensory qualities were also examined after 4 weeks of storage at -20$^{\circ}C$ to determine the effect on freeze-thaw sta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branched dextrins in the soft roll bread formulation. Furthermore, the samples along with a control were compared regarding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changes in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during a storage period of 4 days at 20$^{\circ}C$ to determine the effect on preventing retrogradation of the branched dextrin. As the branched dextrin content increased, area and extensibility increased, whereas water absorption,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resistance/extensibility ratio, baking loss, and brownness of the crust decreased. However, the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peak viscosity, resistance, specific volume, taste, overall acceptability,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values than those of the branched dextrin samples, whereas lightness, hardness, and chewiness showed the reverse effect.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lightnes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ereas cohesiveness decreased.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ng 1~3% branched dextrin into a soft roll bread formulation from frozen dough had no positive effect on freeze-thaw stability or preventing retrogradation but may provide good nutritional properties.

길항세균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

  • 박종영;김한우;김현주;전옥주;정순재;최우봉;이선우;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8-161
    • /
    • 2005
  •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세균으로 보고된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l3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항균물질의 생산능을 조사하고 대량배지를 선발하였다. BW-13 균주의 초기 pH와 배양적온을 조사한 결과, pH는 $6.0\~8.0$에서 , 온도는 $35^{\circ}C$에서 세균의 생육이 가장 높았다. 대량배양을 위한 효율적인 탄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glucose, sucrose, lactose, maltose, manose 등의 저분자 탄소원과 개량제, 미강,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등의 고분자 탄소원을 사용하여 BW-13균주의 생장과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초배지에 $3\%$개량제를 첨가했을 때 BW-13 균주의 세균 증식과 항균활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기초배지($1.25\%\;K_{2}HPO_4,\;0.38\%\;KH_{2}PO_4,\;0.01\%\;MgSO_4{\cdot}7H_{2}O,\;0.5\%\;Yeast extract$)에 개량제 $3\%$ 첨가한 배지(dough conditioner media)를 BW-13 균주의 대량배양용 배지로 선발하였다.

수입밀과 전분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우리밀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 by Formulation of Foreign Wheat Flour and Starch)

  • 박동준;구경형;김철진;이수정;양정례;김양하;김종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4
    • /
    • 2003
  • 국내산 밀품종인 그루밀과 탑동밀의 성분분석과 수입밀과 전분의 대체 비율 또는 가수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반죽 및 국수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내산 밀가루는 수입 연질밀에 비해 단백질과 회분함량이 높았다. 국내산 밀가루반죽은 수입밀보다 수분흡수율과 반죽도달시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정도는 낮고 약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탑동밀의 반죽형성시간이 가장 높았으며, 그루밀이 가장 짧게 나타남으로써 연질밀일수록 반죽형성시간이 짧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탑동과 그루밀에 수입밀 혼합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 흡수율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죽형성시간은 탑동밀에 수입밀 30% 대체까지는 감소하였다. 수입 산 밀가루의 첨가는 국내산 탑동과 그루밀의 연화를 감소시켰으며, 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 시료의 점착성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그루밀의 가수량 65%, 10~20% 수입밀 혼합시 가장 점착성이 높게 나타났다 견고성은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품종별로는 탑동밀이 수입산 밀가루에 비하여 높은 견고성 을 보였다. 국수의 기계적인 조직감은 탑동밀에 수입 밀의 첨가는 인장력은 증가하고 인장길이는 감소되었으며, 그루밀은 이와는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 국수의 견고성은 대조구(수입산 밀가루)>탑동>그루밀 순서였으나, 수입산 전분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품종에 관계없이 견고성, 부착성및 씹힘성 모두 증가하였고, 3%이상 첨가시 대조구와 거의 비슷한 경도를 나타내었다. 전분의 첨가에 따른 조리된 국수가닥의 인장력은 대조구인 수입산 밀가루에 비하여 탑동과 그루밀에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고, 인장길이는 대조구에비하여 전반적으로 늘어나지 않아 국내산 밀이 대조구보다 쉽게 끊어지고 늘어나지도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루와 같은 한국산 연질밀은 아밀로즈 함량이 높거나 단백 질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밀가루를 혼용한다면 수입밀에 뒤지지 않는 제면 성질을 가지며 유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의 특성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 정현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3-648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빵의 관능적 평가는 sourdough가 첨가된 빵인 경우 다소 신맛을 나타내었고 식감과 조직감은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sourdough 100% 첨가한 빵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저장성에서 sourdough 첨가 식빵은 6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3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한 대조구에 비해 보존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에 있어서도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Sourdough 첨가시 빵의 노화속도는 sourdough가 30, 50 및 100%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각각 13, 20 및 36%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