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response spectrum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Vertical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Domestic Earthquakes)

  • 김준경;홍승민;박기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27-234
    • /
    • 2010
  • 최근 발생한 30여개의 중규모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 파형을 이용하여 수작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고 결과를 국내 원자력 관련 구조물의 내진설계 기준과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지반진동 개수는 수직성분 각각 176 개이며 주파수별 지반응답을 구하고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앙거리 의존성이 대단히 큼을 보여주었다. 또한 국내 원자력시설물의 내진기준으로 이용되고 있는 Reg. Guide 1.60과 비교한 결과 특히 약 5~7 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Reg. Guide 1.60 보다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인 표준 설계응답스펙트럼을 3개 지반조건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 자료와 동시에 비교한 결과 약 0.2초(5 Hz) 이하의 단주기 영역의 전체 대역(SD 지반조건)에서 수직 성분 자료처리 결과가 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현상을 보여 주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국내 지각의 주파수별 감쇠 및 부지 직하부의 감쇠 특성 등과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지진활동 실정에 적합한 내진설계 기준 마련을 위해 관측자료의 질적 향상 및 양적인 축적 등을 통하여 특히 수직 성분의 약 5 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응답스펙트럼 기준의 보수성을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평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19 Earthquakes)

  • 김준경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6호
    • /
    • pp.399-407
    • /
    • 2010
  • 최근 발생한 19개의 중규모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 파형을 이용하여 수평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고 결과를 국내 원자력 관련 구조물의 내진설계 기준과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지반진동은 수평성분 130 개이며 고유진동수별 지반응답을 구하고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앙거리 의존성이 대단히 큼을 보여주었다. 또한 국내 원자력시설물의 내진기준으로 이용되고 있는 Reg. Guide 1.60과 비교한 결과 특히 약 5 Hz 이상의 높은 고유진동수 영역에서 Reg. Guide 1.60 보다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인 표준 설계응답스펙트럼을 3개 지반조건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 자료와 동시에 비교한 결과 약 0.3초 이하의 단주기 영역의 전체 대역(SD 지반조건)에서 수평 성분 자료처리 결과가 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현상을 보여 주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국내 지각의 고유진동수별 감쇠 및 부지 직하부의 감쇠 특성 등과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발생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지진활동 실정에 적합한 내진설계 기준 마련을 위해 관측자료의 질적향상 및 양적인 축적 등을 통하여 특히 수평 성분의 약 5 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수평응답스펙트럼 기준의 보수성을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월 및 경주지진 파형의 주파수 분석(II) (Characteristics of Spectrum using Observed Ground Motion from the Yongwol and the Kyoungju Earthquakes(II))

  • 김준경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57-60
    • /
    • 1999
  • Amplification factor spectrum using the observed strong ground motions database 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obtained and compared with Standard Rpectrum which wa suggested by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ttee. The observed ground motions from the Yongwol and the Kyoungju Earthquakes respectively which are supposed to represent domestic seismotectonic characteristics such as seismic source attenuation of the propagation meium and site specific effect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amplification factor spectrum,. The database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those of the second study. Amplification factors have been calcul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peak ground motions with results from responses to the observed horizontal na vertical ground motions. The comparison have shown that the amplification factors resultant from this study exceeds those of Standard Response Spectru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ismic strong ground motion which are supposed to represent the domestic seismotectonic characteristics differs from those of Standard Response Spectrum especially at higher frequencies. The results from the 2nd study are similar to those of 1st analysis.

  • PDF

층간변위를 기반으로 한 다층구조물의 내전성능 평가를 위한 역량스펙트럼법의 개발 (Capacity Spectrum Method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Story Building Based on the Story Drift)

  • 김선필;김두기;곽효경;고성혁;서형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10
    • /
    • 2007
  • The existing capacity spectrum method (CSM) is based on the displacement based approach for seismic performance and evaluation. Currently,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standard concerning seismic design, the CSM to obtain capacity spectrum from capacity curve and demand spectrum from elastic response spectrum is presented. In the multistory building, collapse is affected more by drift than by displacement, but the existing CSM does not work for story drif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CSM to estimate story drift of structures through seismic performance and evaluation. It uses the ductility factor in the A-T domain to obtain constant-ductility response spectrum from earthquake response of inelastic system using the drift and capacity curve from capacity analysis of structure.

  • PDF

2016년 경주지진 스펙트럼과 한국표준설계스펙트럼의 비교 (Response Spectra of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 김재관;김정한;이진호;허태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77-286
    • /
    • 2017
  • On September 12, 2016, Gyeongju earthquake occurred. Its local magnitude was announced to be $M_L=5.8$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Ground motion data recorded at KMA, EMC and KERC stations was obtained from their data bases. From the data, horizontal and vertical response spectra, and V/H ratio were calculated. The horizontal spectrum was defined as geometric mean spectrum, GMRotI50.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ometric mean spectra, a mean plus one standard deviation spectrum in lognormal distribution is obtained.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on this curve to determine the shape of spectrum including transition periods. Applying the same procedure, the shape and transition periods of vertical spectrum was obtaine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which were developed from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records. The response spectra of Gyeongju earthquake were found to be almost identical with the newly proposed design spectra. Even the V/H ratios showed good agree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ethod adopted when developing the standard design spectra were valid and the developed design spectra were reliable.

역량스펙트럼법을 이용한 교량의 내진성능평가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or Bridge Structure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 이창수;김승익;김현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75-80
    • /
    • 2000
  • Evaluation method of seismic performance has mainly used elastic spectrum analysis. This method has simplicity of analysis but deficiency of accuracy. And evaluation method of seismic performance using inelastic dynamic analysis reflects accurately inelasticity of material but hardly reflects site effects. This study suggested evaluation scheme of seismic performance for bridge structure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applied inelastic static analysis and standard design response spectrum of Korea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way Bridge. Two results, capacity spectrum method and inelastic dynamic analysis method, are very similar. As a result, this study appropriately supply both simplicity of analysis and accuracy of result.

  • PDF

Fukuoka 연속 지진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평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Fukuoka Earthquakes Series)

  • 김준경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5호
    • /
    • pp.354-365
    • /
    • 2014
  • 2005년 3월 20일 규모 6.5의 후쿠오카 본진이 발생하였고 이후 발생한 규모 3.7 이상의 15 개 중규모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 파형을 이용하여 수평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국내 원자력 관련 구조물의 내진설계 기준과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각각 비교하였다. 수평성분 178개 지반진동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별 지반응답을 구하고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응답값에 대한 진앙거리 의존성이 대단히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국내 원자력시설물의 내진기준인 Regulatory Guide 1.60과 비교한 결과는 일부 구간 즉 약 8 ~ 10 Hz 구간과 약 16 ~ 20 Hz의 2개의 구간에서 표준편차를 더한 값이 Regulatory Guide 1.60 보다 약간 초과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 응답스펙트럼을 3 개 지반조건에 적용한 결과는 거의 모든 주기 대역에서 분석된 응답스펙트럼이 SE 지반조건의 설계 응답스펙트럼(500년 재래주기, 지진구역 1, SE 지반조건)을 초과하고 있다. 500년 재래주기는 가장 약한 내진 설계기준에 해당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주기 대역에서 본 연구로부터 분석된 응답스펙트럼이 해당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신뢰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한반도 및 한반도 주변 해외 발생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진자료를 대폭적으로 보강하여 관측 지진자료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반도 지진특성을 고려하여 모사된 강진동에 대한 가속도 응답스펙트럼 (Th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for Simulated Strong Motions Considering the Earthquak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성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6
    • /
    • 2007
  • 응답스펙트럼은 내진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의 하나이다. 응답스펙트럼을 얻기 위하여,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의 지진원 특성에 근거하여 다수의 강진동을 Boore(2005)에 의해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 SMSIM을 사용하여 모사하였다. 여러 연구결과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하여, 모사에 필요한 입력자료들을 선정하였다. 모사된 강진동으로부터 얻은 응답스펙트럼은 가속도 1.0 g에 대하여 정규화하여 미국 원자력위원회(1973)의 표준응답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응답스펙트럼의 스펙트럼 진폭은 대략 10 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표준 응답스펙트럼 값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력강하량의 변화에 따른 응답스펙트럼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큰 응력강하량에 대한 응답스펙트럼의 스펙트럼 진폭은 저주파 범위내에서 큰 값을 나타냄을 제시하였다.

2017년 포항지진 스펙트럼과 한국표준설계스펙트럼의 비교 (Response Spectra of 2017 Pohang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 허태민;김정한;이진호;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29-137
    • /
    • 2018
  • On November 15, 2017, Pohang earthquake occurred. Its local magnitude was announced to be $M_L=5.4$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Ground motion data recorded at KMA stations were obtained from their data bases. From the data, horizontal and vertical response spectra, and V/H ratio were calculated. The horizontal spectra were defined as GMRotI50 spectra.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MRotI50 spectra, a mean plus one standard deviation spectrum in lognormal distribution is obtained.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on this curve to determine the shape of spectrum including transition periods. Applying the same procedure, the shape and transition periods of vertical spectrum were obtaine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which were developed from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records, and Gyeongju earthquake response spectra. The response spectra of Pohang earthquake were found to be almost identical with the newly proposed design spectra. Even the V/H ratios showed good agreem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ethod adopted when developing the standard design spectra were valid and the developed design spectra were reliable.

계측 기록의 설계스펙트럼 부합 가상 지진 변환 방법 (Conversion of Recorded Ground Motion to Virtual Ground Motion Compatible to Design Response Spectra)

  • 지혜연;최다슬;김정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3-42
    • /
    • 2021
  •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presented in the seismic design standar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tonic environment at a site. However, since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does not represent the ground motion with a specific earthquake magnitude or distance, input ground motions for response history analysis need to be selected reasonably. It is appropriate to use observed ground motions recorded in Korea for the seismic design. However, recently recorded ground motions in the Gyeongju (2016) or Pohang (2017) earthquakes are not compatible with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recorded ground motion in Korea to a model similar to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In this study, several approaches to adjust the spectral acceleration level at each period range were tested. These are the intrinsic and scattering attenuation considering the earthquake environment, magnitude, distance change by the green function method, and a rupture propagation direction's directivity effect. Using these variables, the amplification ratio for the representative natural period was regressed. Finally, the optimum condition compatible with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was suggested, and the validation was performed by converting the recorded ground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