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fire test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1초

표준형 및 속동형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응시간지수와 소화성능 (Response Time Index and Suppression Capability of Standard and Quick Response Sprinkler Head)

  • 정길순;이병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70
    • /
    • 1998
  • In this study, response time index(RTI) of standard and quick response type sprinkler head are measured and compared through ramp and plunge test in heated wind tunnel. Also discharge rate and water distribution, actual delivered density(ADD), fire test with wood cribs are performed to compare the fire suppression capability and the operation time and temperature between standard and quick response type sprinkler head.

  • PDF

지하주차장의 내화성능 평가를 위한 차량연소실험 (The combustion test of assuming in parking space for fire resistance)

  • 강승구;김동준;이재영;原田和典;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8-50
    • /
    • 2013
  • In this study, Car fire for test using ISO 9705 10MW Large Scale Calorimeter. Especially, study on the underground parking for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fire resistance regulations in according to with the standard heating curve in Korea. Because of this burning car through experiments to the propose a new heating curve.

  • PDF

성능위주 소화설비 적용을 위한 표준랙크의 화재확산속도 평가 (Evaluation on Fire Spread Speed of Standard Rack in Korea for Performance 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 조규환;여인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84-91
    • /
    • 2016
  • 물품이 수직 집약적인 형태로 적재되는 랙크식 창고는 화재발생 시 화염의 급속한 상승으로 인해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이에 ESFR 및 In-Rack 스프링클러, 수직 및 수평차단막 등, 다양한 소화설비 적용을 통해 화재확산 억제에 노력하고 있으나 랙크의 크기 및 적재밀도, 적재물품의 종류 등, 매우 다양한 구성조건으로 인해 적절한 소화설비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국내 랙크식 창고 실정을 반영한 표준랙크를 제작하였으며, 발화위치 조건에 따른 화재특성 확인을 위해 실규모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화재확산속도는 향후, 개발 및 적용 예정 소화설비들의 성능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화재확산 저감을 위한 랙크 내 수평차단막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Horizontal Barrier on a Rack to Reduce Fire Spread)

  • 여인환;조규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71-79
    • /
    • 2017
  • 적재밀도가 높으며 수직적인 적재형태를 가지는 랙크식 창고는 화재발생 시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이에 미국, 일본에서는 자국의 랙크식 창고 실정에 맞는 In-Rack 스프링클러 및 수평차단막 등을 적용하여 화재확산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그와 관련한 연구 및 제도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화위치 및 수평차단막 설치간격에 따른 화재특성 확인을 위해 국내 랙크식 창고 실정을 반영한 표준랙크를 대상으로 축소모델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평차단막의 설치간격을 밀접하게 또는 빈번하게 할수록 약 30%씩의 수직 화재확산 억제성능이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평차단막을 경계로 상하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차단막이 설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도분포가 약 2~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평차단막의 설치가 In-Rack 스프링클러의 조기 작동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스터드커넥터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Fire Performance of Stud Connectors)

  • 김성배;한상훈;최승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9-66
    • /
    • 2009
  • 본 연구는 합성구조에 사용되는 스터드커넥터의 화재시 성능에 대한 연구이다. 스터드커넥터는 전단연결재로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시켜 합성 성능을 확보한다. 스터드커넥터에 대한 상세 내화성능은 아직 명확한 자료가 없으며, 향후 성능설계에서 무피복 합성보 등에 대한 설계 자료로 요구 된다. 본 실험의 스터드커넥터 성능시험은 푸시 아웃 실험을 변형하여 특수 전기로와 결합 ISO 표준온도곡선을 기본으로 거동 성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화재 조건의 파괴 형상을 기반으로 성능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기감지기의 내식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Resistance Test of Smoke Detectors)

  • 김형권;윤헌주;권성필;사공성호;백창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5-158
    • /
    • 2008
  • In this study we compared corrosion resistance tests which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ational technique standard and the UL standar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smoke detectors in foul weather. The sensitivity of smoke detectors became so blunt that the least operational smoke concentration was a maximum change of 13% in the national technique standard, while it was a maximum change of 145% in the UL standar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st method of corrosion resistance was made an objective evaluation in the national technique standard.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a basis of developing the test method of corrosion resistance was prepared for our country.

  • PDF

화재에 의한 지하공동구의 온도 및 응력해석 (Temperature and Stress Analysis of Box Culvert in Fire)

  • 김현준;임초롱;유현경;정철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1-44
    • /
    • 2011
  • This paper has presented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uctural behaviour of box culvert during and after fires. The fire tests were carried out in a furnace on RC slabs using the ISO 834 standard fire curve. The load capacity after cooling of the RC slab that was not loaded during the fire tests was evaluated by means of additional 3 points bending tests. In the past, stress-strain models of concrete under fire loading have been proposed by several researchers. Comparisons are made with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 of RC slabs after fire loading using the existing stress-strain models with temperature, such as Schneider, EUROCODE 2, Lie, Shi and Nan model. By comparing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 Lie model was found to result in a maximum load about 2.0% higher than that of test. Based on the fire test results of RC slabs, this paper presents an extensive analytical study on the fire response of box culvert during and after fires.

해양플랜트용 H-120 등급 방화 댐퍼의 성능 실험 (Performance Experiment of H-120 Class Fire Damper for Offshore)

  • 박창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425-430
    • /
    • 2017
  • This study propose CAE analysis of fire damper and design of the damper control system. Through the design of the damper system for ANSYS-CFX heat transf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tinuance equation of the damper control. Climate system. Finaily, We have obtained a fire damper solution by using orthogonal array. The fire damper of the set of fixture and alveolus are made by using a CAE software. Also, the optimum design offshore structures. The new H-120 class fire damper was designed. In the near future, fire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to obtain class H-120 thermal insulation of fire dampers according to a hydrocarbon fire condition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sulation of the damper blade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ireproof performance of fire dampers concerning the coaming length minimum 500mm on the unexposed side as specified test standard.

Large scale fire test on a composite slim-floor system

  • Bailey, C.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권3호
    • /
    • pp.153-168
    • /
    • 2003
  • This paper discusses the results and observations from a large-scale fire test conducted on a slim floor system, comprising asymmetric beams, rectangular hollow section beams and a composite floor slab. The structure was subjected to a fire where the fire load (combustible material) was higher that that found in typical office buildings and the ventilation area was artificially controlled during the test. Although the fire behaviour was not realistic it was designed to follow as closely as possible the time-temperature response used in standard fire tests, which are used to assess individual structural members and forms the bases of current fire design methods. The presented test results are limited,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instrumentation measuring the atmosphere and member temperatures. The lack of test data hinders the presentation of definitive conclusions. However, the available data, together with observations from the test, provides for the first time a useful insight into the behaviour of the slim floor system in its entirety.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behaviour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structural response of the system, particularly when the end-plate of one of the connections fractured, during the fire.

소방차 펌프의 방수성능 기준 재정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ndard Re-establishment of Water Discharge Performance for the Fire Engine Pump)

  • 민세홍;권용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85-91
    • /
    • 2012
  • 소방차에 설치되는 소방펌프에 대한 방수성능 기준이 현장에서 운용하고 있는 실태와 상이한 부분이 있고,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소방공무원이 화재현장에서 소방펌프의 사용시간, 최대사용압력, 사용 호스 직경 등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소방펌프에 대한 압력별, 호스 직경별 수량별로 다양하게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소방자동차용 소방펌프의 성능에 관한 인정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격방수압력(0.85MPa)과 고압방수압력(1.4 MPa)보다 현장에서는 더 높은 압력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펌프의 성능시험 결과는 방수량 및 방수압력 등이 호스의 직경, 관창에 따라 현재 규정하고 있는 인정기준과 매우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로 새로운 규격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