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esophageal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초

위장관 종양의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Intraluminal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the Tumors of Gastrointestinal Tract)

  • 최병옥;최일봉;정수미;김인아;최명규;장석균;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43-252
    • /
    • 1995
  • 목적 : 위장관종양에 대한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91년 2월부터 1993년 7월까지 18명의 수술을 할 수 없는 중증의 위장관종양 환자들(식도암-8, 직장암-10)을 대상으로 Iridium-192을 사용하여 원격조정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연령 분포는 47-87세로, 평균 71세였다. 모든 환자들은 이전에 수술적 조작을 받은적이 없었고, 외부 방사선치료 이후 2주 이내에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를 하였으며,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의 일일 조사량은 3-5 Gy (3-4회/1주), 총 조사량은 12-20 Gy로 평균 17 Gy였다. 외부방사선 총 조사량은 41.4-59.4 Gy로 평균 49.0 Gy였다. 추적기간은 3개월에서 31개월이었고, 중앙추적기간은 19개월이었다. 결과 : 식도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는 각각 %로 같은 결과를 보였으며, 중앙 생존기간과 2년 생존율은 10개월과 13%였다 직장암 10명 중 60%의 환자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며, 완전반응은 없었지만, 모든 환자에서 현저한 증상개선을 보였다. 저자는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일일 조사량 및 총 조사량, 외부방사선 조사량이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조사하였다. 이 중,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일일 조사량 및 총 조사량이 직장암의 국소반응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5). 식도암에서는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 총 조사량이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각각 영향을 미쳤으나, 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외부방사선 조사량은 모든 환자에게서 국소반응율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후 현저한 증상개선을 보였으며, 합병증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는데, 대개의 경우 그 증상이 미비하였고, 수일 이내에 회복되었다. 결론 : 이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추적기간과 적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으나,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조작은 위장관 종양의 치료에서 외부 방사선치료의 추가적 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음성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한 무후두 음성의 말 명료도와 병적 음성의 수술 전후 개선도 측정 (Speech Intelligibility of Alaryngeal Voices and Pre/Post Operative Evaluation of Voice Quality using the Speech Recognition Program(HUVOIS))

  • 김한수;최성희;김재인;임재열;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97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bjectively pre and post operative voice quality evaluation and intelligibility of alaryngeal voice using speech recognition program, HUVOIS. Materials and Methods : 2 laryngologists and 1 speech pathologist were evaluated 'G', 'R', 'B' in the GRBAS sclae and speech intelligibility using NTID rating scale from standard paragraph. And also acoustic estimates such as jitter, shimmer, HNR were obtained from Lx Speech Studio. Results : Speech recognition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 operation for pathological vocie samples though voice quality(G, B) and acoustic values(Jitter, HN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ost operation. In Alaryngeal voices, reed type electrolarynx 'Moksori' was the highest bo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recognition rate, whereas esophageal speech was the lowest. Coefficient correl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recognition rate was found in alaryngeal voices, but not in pathological voices. Conclusion : Current study was not proved speech recognition program, HUVOIS during telephone program was not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for assisting subjective GRBAS scale.

  • PDF

Impact of Intravenous Omega-3-Enriched Lipid Emulsion on Liver Enzyme and Triglyceride Serum Levels of Children Undergoing Gastrointestinal Surgery

  • Hanindita, Meta Herdiana;Widjaja, Nur Aisiyah;Irawan, Roedi;Hidayat, Boerhan;Hariastawa, IGB Adri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1호
    • /
    • pp.98-104
    • /
    • 2020
  • Purpos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mega-3-enriched lipid emulsion (LE) on liver enzyme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riglyceride (TG) levels of children undergoing gastrointestinal surgery. Methods: This experimental randomized controlled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included 14 children who underwent gastrointestinal surgery due to duodenal atresia, jejunal atresia, esophageal atresia, and need for parenteral nutrition for a minimum of 3 days at RSUD Dr. Soetomo Surabaya between August 2018 and January 2019. Th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received standard intravenous LE (medium-chain triglyceride [MCT]/long-chain triglyceride [LCT]) and those who received intravenous omega-3-enriched LE. Differences in AST, ALT, and TG levels were measured before surgery and 3 day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nutrition. Results: Liver enzyme and TG levels in each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fore versus 3 days after surgery. However,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mega-3-enriched intravenous LE group (p=0.041) at 3 days after surger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in TG levels was noted at 3 days after surgery between MCT/LCT intravenous LE group and the omega-3-enriched intravenous LE group (p=0.008). Conclusion: The intravenous omega-3-enriched LE had a better TG-lowering effect than the MCT/LCT intravenous LE in children undergoing gastrointestinal surgery.

A 20-Year Update on the Practice of Thoracic Surgery in Canada: A Survey of the Canadian Association of Thoracic Surgeons

  • Sami Aftab Abdul;Frances Wright;Christian Finley;Sebastien Gilbert;Andrew J. E. Seely;Sudhir Sundaresan;Patrick J. Villeneuve;Donna Elizabeth Mazia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6호
    • /
    • pp.420-430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provides an update to a landmark 2004 report describing demographics, training, and trends in adherence to thoracic surgery practice standards in Canada. Methods: An upda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ll members of the Canadian Association of Thoracic Surgeons via email (n=142, compared to n=68 in 2004). Our report incorporates internal data from Ontario Health and the Canadian Partnership Against Cancer. Results: Forty-eight surgeons completed the survey (male, 70.8%; mean±standard deviation age, 50.3±9.3 years). This represents a 33.8% response rate, compared to 64.7% in 2004. Most surgeons (69%) served a patient population of over 1 million per center; 32%-34% reported an on-call ratio of 1:4-1:5 days, and the average weekly hours worked was 56.4±11.9. Greater access to dedicated geographic units per center (73% in 2021 vs. 53% in 2004) has improved thoracic-associated services and house staff, notably endoscopy units (100% vs. 91%), with 73% of respondents having access to both endobronchial and endoscopic ultrasound. Access to thoracic radiology has also improved, particularly regard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ners per center (76.9% vs. 13%). Annual case volumes for lung (255 vs. 128), esophageal (41 vs. 19), and mediastinal resections (30 vs. 13), along with hiatal hernia repair (45 vs. 20), have increased substantially despite reports of operating room availability and radiology as rate-limiting steps. Conclusion: This survey characterizes compliance with current practice standards, addressing the needs of thoracic surgeons across Canada. Over 85%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2004 compliance paper, and 35% had applied for resources and equipment in response.

조기위장관암 내시경 치료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

  • 박찬혁;양동훈;김정욱;김지현;김지현;민양원;이시형;배정호;정현수;최기돈;박준철;이혁;곽민섭;김번;이현정;이혜승;최미영;박동아;이종열;변정식;박찬국;조주영;이수택;전훈재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 /
    • 제8권1호
    • /
    • pp.1-50
    • /
    • 2020
  • Although surgery was the standard treatment for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s, endoscopic resection is now a standard treatment for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s without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gh-definition white light endoscopy, chromoendoscopy, and image-enhanced endoscopy such as narrow band imaging are performed to assess the edge and depth of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s for delineation of resection boundaries and prediction of the possibility of lymph node metastasis before the decision of endoscopic resec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an be performed to remove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s completely by en bloc fashion.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made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for lymph node metastasis such as depth of cancer invasion and lymphovascular invasion. Additional treatment such as radical surgery with regional lymphadenectom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endoscopically resected specimen shows risk factors for lymph node metastasis. This is the first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 This guideline was developed by using mainly de novo methods and encompasses endoscopic management of superficial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arly gastric cancer, and early colorectal cancer. This guideline will be revised as new data on early gastrointestinal cancer are collected.

부식성 식도염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orrosive Esophagitis)

  • 이원상;정승규;최홍식;김상기;김광문;홍원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6-7
    • /
    • 1981
  • 근래 국민 생활이 향상되고 독, 극약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을 뿐 아니라 사회 인식도 개선됨으로서 부식성 약물을 오연하는 경우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물질 문명의 발달과 이를 뒤따르지 못하는 정서 생활의 부조화로 인하여 자살을 기도하고저 연하하는 경우는 아직도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연하하는 부식제의 종류도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공업화로 인하여 다양해지고 있다. 식도 부식증에 관하여는 각종 산성(Pitkin, 1935 Carmody, 1930) 및 알카리성(Tree, 1942, Tucker, 1951) 부식제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협착증에 대해서는 Salzer(1920), Bokey(1924) 등이 조기 확장법을 주장한 이후 Spain(1950)에 의해 Cortison의 투여 효과가 소개되었고 또한 항생제의 동시투여로 그 치료 면에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방법들에 못지않게 조기 식도경 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점으로 이 러한 시도가 최근의 추세라고 하겠다. 이에 저자들은 1971년부터 1981년 3월까지만 10년 3개월간 연세대학교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 가료한 부식성 식도염 환자 96명에 대한 역학적 조사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빈도는 남자와 여자의 비가 1대 1.7이며 연령 분포는 21세에서 30세가 38명 (39.6%)으로 가장 많았다. 2) 약물을 먹은 동기는 자살 목적이 80명 (83.3%), 사고의 경우는 10세미만이 9명 (56.3%)으로 가장 많았었다. 3) 약물은 빙초산 41명 (41.8%), 가성소다 20명 (20.4%), 염산 17명 (17.3%)의 순이었으며 연도별 빈도를 볼때 가성소다의 경우는 감소하였으나 산성부식제 특히 빙초산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위세척을 한 경우는 57명 (59.4%)으로 대부분이조기 도착한 경우였다. 5) 대부분에서 Nasogastic tuhe를 삽입하였으며 (83.3%), 삽입하지 않은 16명 (16.7%)은 늦게 내원이 10명, 삽입 실패 4명, 기타 2명이었다. 6) 기관절개술이 요구된 경우는 호흡기장애가 있었던 17명 (17.7%)이었으며 분비물의 축적이 6명 (35.3%), 상기도폐쇄가 11명 (64.7%)이었다. 7) 조기 식도경 검사를 시행한 11명 (11.5%)중 48시간이내가 6명 (54.5%)으로 가장 많았다. 조기 식도경검사 결과 ; 점막에 중증도의 궤양이 8명 (72.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점막의 종창과 부식 정도가 비교적 경하였던 6명 (54.5%)은 입원 가료가 필요하지 않아서 곧 경구 음식 투여를 시작하였으나 입원 가료가 필요했던 중(重)증의 경우 그 입원 일수는 평균 4주간 이었다. 8) 본 병원에 처음 내원하여 치료를 받은 22명중 Nasogastric tube를 넣은 기간은 평균 11.6일 이었으나 최근에는 tube를 삽입하여둔 기간은 대체로 입원기간과 일치하며 이는 조기 식도경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9) 대부분의 경우에서 Steroid를 투여하였으며 투여하지 않거나 투여가 지연된 경우는 47명 (48.9%)으로서 내용별 분류를 보면 (1) 약물의 종류로 인한 경우(산성, 미상) 12명, (2) 경(輕)하다고 인정된 경우 9명, (3) 늦게 내원한 경우 11명, (4) 비적응증(심한 감염, 합병증, 임신등)이 7명, (5) 기타(사망, 기록미비)가 8명이었다. 10) 협착으로 인한 확장 치료(Bougienage)를 요한 경우가 7명, 급식위루술(feeding gastrostomy)을 시행한 경우가 6명, 그 외에 수술적 치료를 요한 경우가 4명이었다. 11) 입원가료중 합병증이 생긴 경우는 27명 (28.1%)이었으며 심폐합병증, 심한출혈, 식도및 위장 천공, 신부전증의 순으로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사망 및 빈사상태에 회원이 8명이었다. 12) 식도 협착증이 있었던 경우는 13명 (56.5%)이었으며 협착 부위 및 빈도는 (1) 식도의 중간 부위 협착이 5명, (2) 식도의 상부 협착이 3명, (3) 하부 협착이 3명, (4) 전반적인 협착이 1명이였으며, (5) 하인두 및 유문협착이 1명이었다.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 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II. 성체 소화관의 미세구조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Teleostei: Scorpaenidae) - III. Ultrastructure of the Adult Digestive Tract)

  • 진평;이정식;신윤경;김학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1998
  • 조피볼락의 소화관은 인두,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10~11개의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다. 유문수는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하며 바나나 형태의 맹낭을 형성하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1.56(n=10)이다. 식도의 근육층은 바깥쪽의 앓은 종주근층과 안쪽의 두꺼운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상피층은 정단부에 짧은 미세융모를 가진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수의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근육층은 종주근, 사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선의 주세포는 관상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분비과립을 가지지만, 부세포는 소형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액포를 가진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상피층은 주로 원주상피세포, rodlet cell 그리고 dark cell로 구성된다. 흡수기능을 가진 원주세포들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 물질, 음작용포 그리고 다포체를 가진다. Rodlet cell은 발달된 cytoplasmic capsule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다. Dark cell의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미토콘드리아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원주상피세포는 세포연접이 발달되어 있고, 상부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세융모의 내부에서는 세포질에서부터 시작된 actin filament를 관찰할 수 있다. 장 상피의 미세융모는 유문수의 미세융모 보다 길며, 배상세포의 수도 정상피에 더 많다.

  • PDF

인후두 역류환자에서 이동성 24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와 인후두 역류 소견 점수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24-hour Double Probe pH Monitoring and Reflux Finding Score in Patients with LPR)

  • 박영대;강대운;이진춘;이병주;왕수건;김광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6-141
    • /
    • 2008
  • Background and Objectives: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a very common disease among outpatients of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Although there are several diagnostic tools for LPR disease and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s gold standard method, empirical diagnosis by reflux symptom index and reflux finding score (RFS) are mainly used. So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and RFS in patients with LPR. Subjective and Method: Fifty patients with LPR symptoms and abnormal RFS and ambulatory 24-hour double probe monitoring were enrolled. Each items and sum of laryngeal reflux score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pper (UES) and lower (LES) esophageal sphincter.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ES (pH<4 and pH<5) and each item and sum of RFS. However, supine time and reflux number of UES (pH<5) were showed the partial correlations with diffuse laryngeal edema and thick endolaryngeal mucus (p=0.03, p=0.01). Although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LES and sum of RFS,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presented between granuloma and total time (p=0.008), upright time (p=0.008, reflux number (p=0.049) of LES. Conclusion: Although granuloma among items of RFS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mbulatory 24-hour double-probe pH monitoring in UES and LES and items and sum of RFS.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2-648
    • /
    • 1999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 PDF

Is the Diagnostic Trial with Proton Pump Inhibitors Reasonable for School Age Children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s?

  • Yang, Jaeeun;Lee, Jieon;Lee, Hyunju;Lee, Juyeon;Youn, Young Mee;Choi, Jae Hong;Kim, Yoon-Joo;Kang, Hyun Sik;Han, Kyoung Hee;Kim, Seung Hyo;Kang, Ki-S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6호
    • /
    • pp.511-517
    • /
    • 2019
  • Purpose: On the basis of evidence, we aimed to reevaluate the necessity of the empirical proton pump inhibitor (PPI) trial for children with suspecte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ethod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GERD in 85 school-age children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GER) symptoms, who received 24-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and/or upper endoscopy. According to the reflux index (RI), the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normal (RI <5%), intermediate (5%${\leq}$ RI <10%), or abnormal (RI ${\geq}$10%) groups. Results: Fifty six were female and 29 were male. Their mean age was $12.6{\pm}0.5$ (${\pm}$standard deviation) years (range: 6.8-18.6). The RI analysis showed that the normal group included 76 patients (89.4%), the intermediate group included 6 patients (7.1%), and the abnormal group included 3 patients (3.5%). The DeMeester score was $5.93{\pm}4.65$, $14.68{\pm}7.86$ and $40.37{\pm}12.96$ for the normal, intermediate and abnormal group, respectively (p=0.001). The longest reflux time was $5.56{\pm}6.00$ minutes, $9.53{\pm}7.84$ minutes, and $19.46{\pm}8.35$ minutes in the normal, intermediate, and abnormal group, respectively (p=0.031). Endoscopic findings showed reflux esophagitis in 7 patients. On the basis of the Los Angeles Classification of Esophagitis, 5 of these patients were included in group A, 1 patient, in group B and 1 patient, in group C. Conclusion: The incidence of GERD was very low in school-age children with GER symptoms. Therefore, injudicious diagnostic PPI trials would be postponed until the actual prevalence of GERD is verified in future prospectiv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