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

검색결과 3,491건 처리시간 0.03초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시 발의 너비와 팔의 자세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Muscle According to Change of the Leg Width and Arm Posture during Sit to Stand)

  • 제민욱;이한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9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tivity of trunk muscles according to width of the foot and posture of the arm during sit to stand (STS). METHODS: Thirty subjects were recruited and examined for variation in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e,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and external oblique during different STS conditions; namely, the cross arm basic sit to stand (CBSTS), overhead basic sit to stand (OBSTS), cross arm wide sit to stand (CWSTS), and overhead wide sit to stand (OWSTS). Repeated measures ANOVA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BSTS condition (p<.05) and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WSTS condition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under any conditions (p>.05). CONCLUSION: During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TS, the CWSTS condition will be useful to decre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OWSTS condition will be useful to incre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external obl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ex to find a suitable exercise method for subjects who have back pain or to strengthen the abdomen.

The Feasibility Study of Sit-to-stand and Stand-to-sit Assistive Chair for Elderly

  • Seonggwang Yu;Seungmuk Lee;Minsoo Kim;Dae-Sung Park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591-597
    • /
    • 2022
  • Objective: The sitting and standing are motions that correspond to the previous stage of rehabilitation to go to walking for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ask times, path length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activity on the vastus femoris muscl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hen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Design: One group cross-sectional design Methods: Fifteen elderly subjects (8 male, 7 female) participated. All subjects were tested three times according to four assist levels (non-assist, lower, middle, and maximal assist) using adjusts the length of spring at sit-to-stand and stand to sit on a chair. The task duration, and COP path length were recorded for the balance function on the Nintendo Wii fit board. Th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was recorded on both legs using surface EM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ask duration of the sit-to-stand and stand-to-si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without assist (p<.05). The activation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without assistance at standing or sitting (p<.05). Conclusions: The assistive chair showed less quadriceps muscle activation during sitting and standing compared to without assistance. We suggest that our assist-standing chair can hel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movements adjusting the spring length for control assist level by safely.

테다소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at Pinus taeda and Pinus densiflora stands)

  • 민홍진;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502-516
    • /
    • 1995
  • 30년생 테다소나무(Pinus taeda)림과 30년생 소나무(Pinus densiflora)림 시험구에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 및 임내강우량(林內降雨量)을 산정(算定)하고 이것에 관여하는 인자(因子)와의 관계(關係)를 밝힌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험기간(試驗期間)의 총강우량(總降雨量)은 3,107.6mm로, 연평균(年平均) 1,035.9mm였으며 시험기간(試驗期間)동안 조사된 일단위우량(日單位雨量)의 강우강도빈도(降雨强度頻度)는 30mm 이하가 전체의 90%(1992년), 81%(1993년), 88%(1994년)였다. 2. 선정(選定)된 총(總) 85회(回)의 단위강우(單位降雨)에 대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은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과 직선관계(直線關係)를 보였다.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은 테다소나무림에서 2,432.5mm(78.3%), 소나무림은 2,699.6mm(86.9%)였으며, 회귀식(回歸式)에 대한 단위 강우당 차단저류능(遮斷貯留能)은 각각 1.1mm와 1.3mm로 추정(推定)되었다. 3. 수관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은 테다소나무림에서 227.3mm(7.3%), 소나무림에서 62.7mm(2.0%)로 나타났으며, 회귀식(回歸式)을 이용하여 추정(推定)된 단위 강우당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의 발생강우량(發生降雨量)은 각각 약 7.2mm와 1.9mm로 추정(推定)되었다. 4.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은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에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과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을 제(除)하여 산정(算定)하였으며, 테다소나무림에서 447.8mm(14.4%), 소나무림에서 345.3mm(11.1%)로 산정(算定)되었다. 5.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과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의 합(合)으로 나타나는 임내강우량(林內降雨量)은 태다소나무림에서 2,659.8mm(85.6%)였고, 소나무림에서 2,762.3mm(88.9%)였다. 6. 수관통과(樹冠通過) 및 수간유하율(樹幹流下率)은 강우량(降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급증(急增)하다가 각각 30mm, 50mm 이상의 강우(降雨)에서 일정(一定)하게 유지되었고, 차단손실율(遮斷損失率)은 강우량(降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급감(急減)하다가 50mm 이상의 강우(降雨)에서 일정(一定)하게 유지되었다.

  • PDF

삼림(森林)에서 임관(林冠)에 의한 강우차단(降雨遮斷) 손실(損失)에 관(關)한 연구(硏究)(I) (Study on Rainfall Interception Loss from Canopy in Forest(I))

  • 김경하;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331-337
    • /
    • 1988
  • 1986년(年) 7월(月)부터 10일(日)서까지 울대학교(大學校) 관악수목원(冠岳樹木園) 내(內)에서 24년생(年生) 리기테다소나무로 구성된 침엽수림분(針葉樹林分)과 14년생(年生) 신갈나무등으로 구성된 활엽수림분(闊葉樹林分)을 대상으로 삼림(森林)의 강우차단현상(降雨遮斷現像)을 구명(究明)하고자 수관통과량(樹冠通過量)과 수간류하량(樹幹流下量)을 측정(測定)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정기간(測定其間)동안 내린 총강우량(總降雨量)은 77.38mm였으며,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은 침엽수림(針葉樹林)에서 593.3mm(76.7%),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663.1mm(81.8%)이었다.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P)과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T)의 관계(關係)는 침엽수림(針葉樹林) ; T=-1.8675+0.8320P, T=-1.8179-0.8805P에 있다. 2) 수간류하량(樹幹流下量)이 2.5mm이하인 때는 수간류하량(樹幹流下量)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과 수간류하량(樹幹流下量)의 관계식(關係式)은 침엽수림(針葉樹林) ; S=-0.6155+0.0698P, 그리고 활엽수림(闊葉樹林) ; S=-0.0497+0.0183P이었다. 3) 차단손실량(遮斷損失量)은 침엽수림(針葉樹林)에서 총강우량(總降雨量)의 18.5%인 142.9mm,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125.2mm(16.2%)로 침엽수림(針葉樹林)이 활엽수림(闊葉樹林)보다 약14.1%가 많았다. 4) 차단량(遮斷量)(I)과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P)의 관계는 침엽수림(針葉樹林)에서 $I=-0.3693+0.3666P-0.0033P^2$($R^2=0.72$),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I=-0.4817+0.3109P-0.0026P^2$($R^2=0.61$)로 나타났다.

  • PDF

기류속도가 인공광하에서 공정육묘 개체군의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Microclimates of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 김용현;고재풍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0-166
    • /
    • 1996
  • 김등과 Kim등이 재발한 공정묘 생산용 풍동을 사용하여, 인공광하의 묘개체군내외에서 기온, 상대습도 및 포차(vapour pressure deficit) 등의 미기상 특성에 미치는 기류속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온차의 최고치가 초장 근처에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공정묘의 생육이 진행될수록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묘개체군 내부에서는 배지 또는 엽으로부터의 증발산으로 인하여 개체군 외부에서의 기온에 비해서 0.7-l.4$^{\circ}C$ 정도 낮게 나타났는데, 기류속도가 낮을수록 기온차가 높게 나타났다. 묘개체군 내부의 상대습도 분포에 미치는 기류속도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류속도가 증가할수록 묘개체군 내외에서의 상대습도차는 작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류속도의 증가에 따라 엽에서의 water potential이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배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포차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증기 유속의 흐름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생육단계에 따른 포차의 변화는 엽면적 지수가 클수록 수직방향으로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후부에서의 상대습도 및 포차는 중앙부에서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기류속도에 따라 묘개체군의 수직방향 및 기류진행방향으로 기온, 상대습도 및 포차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미기상 요소의 기울기는 묘개체군의 불균일 생장을 초래할 수 있다.

  • PDF

임분형수표조제(林分形數表調製)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tand Form Factor Table)

  • 이흥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186-192
    • /
    • 1988
  • Plotless sompling방법(方法)중 STRAND법(法)으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을 추정(推定)하는데 필요(必要)한 임분형수(林分形數)를 산정(算定)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기(京畿), 강원(江原), 충남북(忠南北), 전북(全北), 경북지역(慶北地域)에서 낙엽송표준지(標準地) 380개소(個所), 잣나무 358개소(個所)에서 임분구성인자(林分構成因子)를 측정(測定)한 자료(資料)를 가지고 임분형수표조제법(林分形數表調製法)을 연구(研究)하였다. 1. 임분형수(林分形數)에 관련성(關聯性)을 구명(究明)키 위하여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를 구한 결과 임분평균수고(林分平均樹高)와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임분평균직경(林分平均直徑), 임령(林令), 수간거리(樹幹距離), 단면적수고(斷面積樹高)의 순(順)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임분형수(林分形數)을 구할 수 있는 적합(適合)한 추정식(推定式)을 낙엽송, 잣나무에 대하여 산출(算出)한 결과(結果) Table 3과 같다. 3. 최적추정식(最適推定式)에 의하여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를 조제(調製)한 결과(結果), 낙엽송은 Table 4, 5 잣나무는 Table 6, 7과 같으며 표(表)의 값과 실측치간(實測値間)에는 회귀계수(回歸係數)가 거의 1인 Y=bx의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성립(成立)하였으며 유의성(有意成) 검정결과(檢定結果) 유의성(有意性)이 없어 적합(適合)함을 알 수 있다. 4.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를 실제(實際)로 사용(使用)할 경우 표(表)값의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낙엽송 임분형수표(林分形數表)는 2.39~4.15%, 잣나무는 1.73% ~2.50%로 아주 작게 나타나 정확(正確)하게 임분형수(林分形數) 산출(算出)에 사용(使用)할 수 있다.

  • PDF

대기전력 측정을 통한 절전 잠재량 예측 (Potential Electrical Energy Saving by Stand-by Power Measurement)

  • 최재원;장우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9년도 학술대회논문집-국제 전기방전 및 플라즈마 심포지엄 Proceedings of 1999 KIIEE Annual Conference-International Symposium of Electrical Discharge and Plasma
    • /
    • pp.253-255
    • /
    • 1999
  • We measured stand-by power of electrical machinery and appliance which are used at office and house. And we estimated potential electrical energy saving through stand-by power and the expecting number of supplied apparatus. As a result, We can reduce electrical energy by minimizing a stand-by power consumption up to three billion kWh which are equal to about 1/3 of an atomic power plant's generating power of 1 year.

  • PDF

우리나라 IMF원인에 관한 연구:Mind Mapping을 통한 시스템 사고 (A Study for Causes of the Korean IMF Stand-by arragement : System Thinking Approach Using Mind Mapping)

  • 전기정;김준성;이상은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권1호
    • /
    • pp.81-102
    • /
    • 2000
  • After the crisis of foreign troubles, various researchers are analyzing the causes of IMF stand-by arrangement in their own ways. But, most research have been lacking in covering the overall aspects of the causes which IMF stand-by arrangement results from. This paper extracts the reasons of IMF stand-by arrangement using Mind Mapping methods and intends to draw up cause & effect map.

  • PDF

수관사진법을 이용한 소나무-굴참나무 천연림에 있어서의 광 조건 연구 (A Study on Light Condi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Natural Mixed Forest Stands by Using the Hemispherical Photo Method)

  • 정등준;김영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7-134
    • /
    • 1999
  •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과 각각의 단순림을 대상으로 사면별(북, 서, 남) 입지조건에 따른 임분 통계량과 천연갱신에 대한 광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합리적인 조림 무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의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과 각각의 단순림을 대상으로 남경사면, 북경사면 그리고 서경사면별로 입지와 생육분포를 고려하여 표본점을 설정하였으며, 표본점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였으며, 표본점내에 평균 30~40본이 포함되도록 표본점의 크기를 0.05 ha(반경 12.62 m)로 하였다. 표본점의 수는 사면별로 상 . 중 . 하부를 구분하여 소나무 단순림 9개,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 8개, 참나무 단순림 6개로 총 23개를 조사하였다. 또한 임분내 광 조건은 어안(fish-eye)lens(180$^{\circ}$)를 이용한 crown-photo 방법과 PAR-sensor를 이용하여 각 Plot에 대한 나지와의 비교를 통하여 임분내 상대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나무 단순림의 울폐도(75.5%)는 혼효림(90.9%)과 굴참나무 단순림(93%)보다 훨씬 적게 나타났으며, 임분내 상대광도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혼효림에 있어서 울폐도는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과 이와 반대로 임분내 상대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임분내 상대광도와 임분 prameter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면적과 N/ha의 증가에 따라 임분내 상대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굴참나무의 천연갱신 수는 임분내 상대광도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직선회귀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특히 남향의 혼효림에서 굴참나무의 천연갱신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소나무의 천연갱신은 전혀 발견하지 못했으며, 이는 임분 내 상대광도가 4~8%로 매우 낮고, 낙엽충의 깊이가 10 cm 이상으로 두껍기 때문에 종자가 발아 할 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소나무 천연갱신의 결정적 인자로는 임분 내의 광 조건과 낙엽 . 부식충의 두께가 결정적인 요소로 판단된다.

  • PDF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갱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I. 생장률(生長率)을 이용(利用)한 미래(未來) 임분구조(林分構造)의 예측(豫測)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I. Prediction of Futures Stand Structure using Rate of Increment)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46-155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및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는 태벌구조(擇伐構造)의 가능성(可能性)을 시사(示唆)하고 있으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여 갱신과정(更新過程)에 있는 것으로 판단(判斷)되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고재(所在) 천연(天然) 횬효임분(混淆林分)을 대상(對象)으로 이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및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파악(把握)을 통하여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변화(變化)를 예측(豫測) 함으로서 이 임분(林分)에 대한 택벌작업종(擇伐作業種)의 가능성(可能性)을 점검(點檢)하였다. 매 1년(年) 단위(單位)로 생장율(生長率)을 이용(利用)한 앞으로 30년간(年間)의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예측(豫測)에 의하면 30년후(年後)에 목표직경(目標直徑) 40cm 이상(以上)에서의 본수(本數)와 ha 당(當) 재적(材積), 그리고 매년(每年) 수확(收穫)이 가능(可能)한 대경목(大徑木) 재적(材積)을 충분(充分)히 보유(保有)할 것으로 예측(豫測)되어 택벌목(擇伐木)으로 경영(經營)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그러나 균형상태(均衡狀態)에 있는 이상적(理想的)인 택벌목(擇伐木)의 대(大), 중(中), 소경목(小徑木)의 경급별(徑級別) 본수(本數) 비율(比率)인 1 : 2 : 7과 재적(材積) 비율(比率)인 5 : 3 : 2를 유지(維持)하지는 못하고 있는데 이는 앞으로 적합(適合)한 조림(造林) 조치(措置)를 통한 조절(調節)이 가능(可能)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