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lked cel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Pelargonium peltatum 분비모의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f Glandular Trichomes in Pelargonium peltatum)

  • 조범석;고경남;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25-136
    • /
    • 1999
  • 제라늄(Polargonium peltatum) 분비모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Pelargonium peltatum의 분비모는 형태와 크기에 따라 short-stalked capitate glands (Type I)와 long-stalked capitate glands (Type II)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두 종류의 분비모는 모두 배축면의 엽백과 엽병에 많이 분포하였다. 분비모는 1개의 분비세포, 3개의 병세포, 1개의 기부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분비세포는 다수의 활면소포체와 색소체, 액포, 골지장치, 미토콘드리아 등을 가지고 있었다. 분비세포의 액포 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자주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분비모의 주된 분비전구물질인 phenolic compound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장대끈끈이주걱 분비모의 미세구조와 peroxidase 활성 (Ultrastructure and Activity Pattern of Peroxidase in Secretory Trichomes of Drosera capensis)

  • 김은수;오승은;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3호
    • /
    • pp.399-414
    • /
    • 1998
  • Glandular trichomes present on the leaf surface of Drosera capensis were examin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 large number of stalked glands exist on the adaxial surfaces of the leaf blade. The secretory head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secretory cells, one layer of middle cells, and the inner tracheids. The secretory cells contain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plastids, Golgi apparatus, and vacuoles. The secretory cells show prominent cell wall ingrowth, and thick cuticle restricted on the subcuticular wall. Frequently, the cuticle has some pores, canal-like structures, showing electron -dense granules being penetrated through them.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using diaminobenzidine showed the electron-dense deposits in the vacuole. No peroxidase activity was seen in the cell wall and cytolasm. The activity of peroxidase (POX) isozymes in Drosera which isoelectric point (pI) is 3.6 and some anionic POX isozymes which pIs are laid between 3.6 and 4.6 were espec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the formation of glandular trichomes. Also, the activity of some POX isozymes which isoelectric points are laid between 4.6 and 5.1 were increased in the regions of leaves which has trichomes.

  • PDF

Transposon Tn5 및 Reverse Field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Caulobuter crescentus의 유전자 분석 연구 (Genetic Analysis of Caulobuter crescentus by Using Transposon Tn5 and Reverse Field Electrophoresis)

  • 구본성;버트일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3-187
    • /
    • 1989
  • 일반적으로 Mu phage를 가지고 있는 plasmid를 장내 세균에 삽입시키면 대부분의 Mu에 민감한 세균들은 zygotic induction이 일어나서 recipient cell 들이 살아남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Mu 저항성 세균을 사용하면 cell이 죽지않고 recipient내에 삽입되는데 그 정확한 현상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Mu의 복제에 필요한 host의 기능이 결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reverse field electrophoresis를 사용하여 insertion mutant 나 deletion mutant들 의 염색체 및 거대 분자 DNA의 변이를 쉽게 비교 분석할 수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Mu phage 저항성 C. crescentus를 사용하여 Tn5에 의한 영향 요구성 돌연변이주 출현률 및 운동성 돌연변이주 출현률을 조사한 결과 2%∼3% 수준으로 돌연변이가 일어났으며 이들 변이주들의 염색체를 Dra I 제한효소로 절단한 다음 reverse field electrophoresis로 분석한 결과 영양 요구성 돌연변이 균주들은 Tn5가 여러 위치에, 운동성에 돌연변이를 일으킨 균주들은 유사한 위치에 Tn5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ybridization 방법으로 확인한 것처럼 동시에 여러 위치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들은 전기장의 교차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Caulobacter의 세포(細胞)의 형태(形態) 및 기능(機能)의 분화(分化)에 대한 염소 및 염소화합물의 영향(影響) (Effects of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on morphology and function of Caulobacter cells)

  • 김치경;박문국;염곤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1982
  • Caulubacter is distinctive in the morphology and replication and ubiquitous in the biosphere, especially in every type of aquatic environment.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have been used as a main disinfectant throughout the world. Therefore, Caulobacter in the waters should be affected by chlorination of the wat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disinfectants on Caulobacter cells and o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cells. The Caulobacter swarmer cells were disinfected by chlorine at pH 7.0 minutes of the reaction with 2.0 mg/l of infected at pH 10.0. The swarmer cells treated with 2.0 or 4.0 mg/l of chlorine for 15 minutes lost their flagella and we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y to be damaged on their cell surfaces, discharging some cellular materials. When the chlorinated swarmers and untreated control samples were recultivated in fresh PYE broth medium, the control swarmers multiplicated exponentially after one-hour lag phase, whereas the chlorinated swarmers extended the lag phase to about four hours. During the extended lag phase, the cells were proved by electron microscopy to be grown and be in predivisional step, but no swarmer cell was found. When the stalked cells were chlorinated, almost all the cells were observed to have their stalks broken and some cellular materials discharged. In those samples recultivated, many cells differentiated to possess an abnormally elongated stalk with several crossbands on it. This suggests that the chlorine-shocked Caulobacter cells can develope to abnormal morphology in water environments which they can survive and regrow in.

  • PDF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floral morphology in the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Polygonaceae)

  • KONG, Min-Jung;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5-194
    • /
    • 2018
  • A comparative floral morphological study of 19 taxa in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with four taxa related to Koenigi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The flowers of P. sect. Cephalophilon have (four-)five-lobed tepals; five, six, or eight stamens, and one pistil with two or three styles. The size range of each floral characteristic varies according to the taxa; generally P. humilis, P. glacialis var. glacialis and Koenigia taxa have rather small floral sizes. The connate degrees of the tepal lobes and styles also vary. The tepal epidermis consists of elongated rectangular cells with variation of the anticlinal cell walls (ACWs). Two types of glandular trichomes are found. The peltate glandular trichome (PT) was observed in nearly all of the studied taxa. The PT was consistently distributed on the outer tepal of P. sect. Cephalophilon, while Koenigia taxa and P. glacialis var. glacialis had this type of trichome on both sides of the tepal. P. criopolitana had only long-stalked pilate-glandular trichomes (LT) on the outer tepal. The nectary is distributed on the basal part of the inner tepal, with three possible shapes: dome-like, elongated, and disc-like nectary. The nectaries are always accompanied by elongated or spheroidal papillae. Various combinations of floral characters (e.g., the numbers of stamens and styles, the stigma shape, the nectary shape, ACWs, cuticular striation and the trichome type and distribution) of P. sect. Cephalophilon are useful when attempting to recognize the infrasectional levels of P. sect. Cephalophilon recently proposed. Here, we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discuss the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floral characters.

식충식물 긴잎끈끈이주걱 (Drosera anglica Huds.) 분비모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Features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Leaves of Carnivorous Drosera anglica Huds.)

  • 백경연;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21-28
    • /
    • 2008
  • 식충식물의 잎은 결핍된 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곤충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충엽으로 변형된다. 식충식물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는 특수한 모용으로 곤충포칙에 필요한 성분을 분비하여 먹이를 소화하고 흡수할 수 있도록 발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긴잎끈끈이주걱 (Drosera anglica Huds.) 엽신에 발달하는 여러 유형의 분비모 발달양상을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포충엽 발달초기 엽원기 단계에서는 엽신이 접혀진 상태로 분화하여 상피조직은 노출되지 않으며, 하피조직에는 비분비모 및 모용원기들이 발달한다. 또한, 엽연이 접힌 상태로 어린 잎의 단계를 거치나 엽연에 발달하는 분비모는 기저부위만 노출되고 이들의 두정부위 및 다른 유형의 분비모들은 접힌 내부에 발달하여 보호된다. 병세포가 매우 길게 신장하는 엽연의 분비모에는 곤충 포획 시 가장 신속하게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기 위한 세포수준에서의 구조분화도 수반된다. 엽연에는 긴 병세포를 지닌 약 $2.2{\sim}5.1\;mm$의 globose 분비모 (Type I)가 발달한 반면, 엽신의 내부로 갈수록 병세포는 점진적으로 짧아져 중앙 부위에서는 약 $200{\sim}300\;{\mu}m$의 짧은 병세포를 형성한다. 두정부위(head)는 2층의 분비세포, 중간의 장방형의 유세포층, 중앙의 가도관으로 구성된다. 엽연 분비모에 곤충이 접촉되면 이들 분비모는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엽정 부위를 향축면으로 움직여 엽신이 곤충을 포위하게 하여 두정부위에서 분비된 점액성 물질로 곤충을 소화 흡수시키는 능동적인 식충의 기작을 수행한다. 또한, 엽신의 내부에는 분비물질을 분비하는 압핀형 두정부위와 짤은 병세포(ca. $15{\sim}30\;{\mu}m$)로 이루어진 분비모(Type II가 발달한다. 또 다른 유형은 병세포가 형성되지 않는 약 $25{\sim}40\;{\mu}m$의 6세포성분비모(Type III)로 상피 및 하피, 엽병, Type I 및 Type II 병세포 표면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며 위 두 유형의 분비모와 함께 활발한 분비활동을 수행한다. Type III 분비모의 경우, 분비물질은 정단의 두 세포에서만 방출되었다. Type I, II, III 두정부위 분비세포 세포벽에는 큐티클 층이 얇게 발달하며, 세포질 내에는 골지체, 소포체, 분비소낭 등의 막성계 세포내소기관 및 전자밀도가 높은 입자 등이 잘 발달하였다.

눈개승마속(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genus Aruncus (Rosaceae))

  • 옥민경;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3-152
    • /
    • 2018
  •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times}7.50-16.99{\mu}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times}13.47{\mu}m$)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A. gombalanus (평균 $11.11{\times}8.94{\mu}m$)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모두 불규칙형(anomocytic)으로 확인되었다. 기공의 빈도는 면적당($0.05mm^2$) 평균 27.54개로, A. gombalanus에서 가장 높은 빈도(60.4개/$0.05mm^2$), A. dioicus var. acuminatus에서 가장 낮은 빈도(11.6개/$0.05mm^2$)로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2종류로 짧은 자루의 두상선모(short stalked capitate glandular trichome)와 비선모(non-glandular trichomes)가 확인되었고, 비선모는 부세포(subsidiary cells)의 유무와 발달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타입으로 구별되었다. 불규칙형의 기공형태와 이면기공엽, 두상선모의 분포는 본 속을 인식하는 주요형질로 판단되었으며, 기공의 크기와 빈도, 표피세포의 미세형태, 모용의 종류와 분포양상 등은 일부 분류군을 구별하는 인식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속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nsanella granifera gen. et sp. nov. (Dinophyceae), a new dinoflagellate from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Jeong, Hae Jin;Jang, Se Hyeon;Moestrup, Ojvind;Kang, Nam Seon;Lee, Sung Yeon;Potvin, Eric;Noh, Jae Hoon
    • ALGAE
    • /
    • 제29권2호
    • /
    • pp.75-99
    • /
    • 2014
  • A small dinoflagellate, Ansanella granifera gen. et sp. nov., was isolated from estuarine and marine waters, and examined by light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the identity of the sequences (3,663-bp product) of the small subunit (SSU),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ITS1, 5.8S, ITS2), and D1-D3 large subunit (LSU) rDNA were determined. This newly isolated, thin-walled dinoflagellate has a type E eyespot and a single elongated apical vesicl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Suessiaceae. A. granifera has 10-14 horizontal rows of amphiesmal vesicles, comparable to Biecheleria spp. and Biecheleriopsis adriatica, but greater in number than in other species of the family Suessiaceae. Unlike Biecheleria spp. and B. adriatica, A. granifera has grana-like thylakoids. Further, A. granifera lacks a nuclear fibrous connective, which is present in B. adriatica. B. adriatica and A. granifera also show a morphological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margin of the cingulum. In A. granifera, the cingular margin formed a zigzag line, and in B. adriatica a straight line, especially on the dorsal side of the cell. The episome is conical with a round apex, whereas the hyposome is trapezoidal. Cells growing photosynthetically are $10.0-15.0{\mu}m$ long and $8.5-12.4{\mu}m$ wide. The cingulum is descending, the two ends displaced about its own width. Cells of A. granifera contain 5-8 peripheral chloroplasts, stalked pyrenoids, and a pusule system, but lack nuclear envelope chambers, a nuclear fibrous connective, lamellar body, rhizocysts, and a peduncle. The main accessory pigment is peridinin. The SSU, ITS regions, and D1-D3 LSU rDNA sequences differ by 1.2-7.4%, >8.8%, and >2.5%, respectively, from those of the other known genera in the order Suessiales. Moreover, the SSU rDNA sequence differed by 1-2% from that of the three most closely related species, Polarella glacialis, Pelagodinium bei, and Protodinium simplex. In addition, the ITS1-5.8S-ITS2 rDNA sequence differed by 16-19% from that of the three most closely related species, Gymnodinium corii, Pr. simplex, and Pel. bei, and the LSU rDNA sequence differed by 3-4% from that of the three most closely related species, Protodinium sp. CCMP419, B. adriatica, and Gymnodinium sp. CCMP425. A. granifera had a 51-base pair fragment in domain D2 of the large subunit of ribosomal DNA, which is absent in the genus Biecheleria. In the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SSU and LSU sequences, A. granifera is located in the large clade of the family Suessiaceae, but it forms an independent clade.